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여성 한시 문학사 서술을 위한 제언

Suggestions for Women’s Chinese Literature History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8, pp.136-159
https://doi.org/10.15686/fkl.2019..48.136
박영민 (고려대학교)

초록

지난 20세기 말 우리문화의 주변부에서 점점 중심으로 부상하기 시작한 여성주의적 시각은 현재 정치·경제·문화 등 다양한 장에서 그때의 문제제기가 얼마나 유효한 것이었던가를 선명하게 검증받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 분야의 자료를 섭렵하고 진지하게 여성, 젠더 연구 방법론을 탐색하는 연구자는 소수에 머물러 있으며, 연구 분야도 고전문학, 한문학계의 몇몇 범주에 국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여성 한시의 연구는 소설, 규방가사, 시조 등 다른 장르의 연구에 비해 그 외연이 더욱 왜소한 실정이다. 지금까지의 한시 연구에서는 여성작가의 한시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것이 별로 효과적인, 생산적인 연구라고 인식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여성작가의 한시가 남성작가의 작품에 비해 그 양에서 현저하게 적은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여성작가의 한시의 의의는 현전하는 양의 다소에 의해 가늠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한시는 중세의 주체들이 문필로 자신의 정감과 사유를 표현하고자 할 때 가장 적극적으로 선택한 장르이다. 그래서 한시에는 중세라는 시공간 속을 살다간 사람들의 삶과 문화가 풍요롭게 드러난다. 여성의 역사와 그 전통에 대한 인식을 보다 균형 있게 하기 위해서는 우선 당대 여성들의 삶과 내면의식을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 때 여성작가의 한시는 가장 중요하고도 의미있는 대상이 된다. 여성작가 한시의 연구에서 나아가 여성 작가 한시 문학사를 구축하는 것은 여성의 역사에 대한 올바른 복원, 그리고 여성문학에 대한 적절하고도 효율적인 이해를 만들어낼 수 있다.

keywords
여성 한시, 문학사, 여성문집, 텍스트비평, 시화, 비평, Women’s Chinese poems, history of literature, women’s literature, and text reviews

Abstract

The feminist view, which began to emerge increasingly from the periphery of our culture in the late 20th century, is now being clearly verified by how valid the problem was at that time in various chapters, including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However, there are still a handful of researchers who search for data in this field and seriously explore methodology, and the field of research is limited to some categories of classical literature and Chinese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research of female Chinese poems is more dwarfed by other genres of research such as novels, lyrics and sijo. This is because previous Chinese studies did not recognize that intensive treatment of Chinese poems by female authors was a very effective and productive study. It is true that the female writer’s Chinese poems are significantly less in the amount than the male writer. But the significance of Han Shi, a female writer,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gauged by the current amount of her poems. Chinese poetry is the genre most actively chosen by medieval subjects when they want to express their sentiments and reasons in writing. Thus, the life and culture of people living in time and space of the Middle Ages are revealed in abundance. In order to make women’s history and perception of their traditions more balanced, they first need to observe the lives and inner consciousness of women of the time. At this time, Chinese poems by female writers are the most important and meaningful subjects. Going forward from the study of female writer Han Shi, building up the history of female writer Han Shi literature can create the right restoration of women’s history and a proper and efficient understanding of women’s literature.

keywords
여성 한시, 문학사, 여성문집, 텍스트비평, 시화, 비평, Women’s Chinese poems, history of literature, women’s literature, and text reviews

참고문헌

1.

姜澹雲, 『只在堂稿』, 계명대학교 소장.

2.

姜澹雲, 『只在堂稿』, 부산대학교 소장.

3.

琴仙, 『琴仙詩』, 단국대학교 연민문고 소장.

4.

『八仙樓集』(개인소장본).

5.

『淸吟』, 단국대학교 연민문고 소장.

6.

허미자, 『한국여성시문전집』, 국학자료원, 2004

7.

이혜순 외, 『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 태학사, 1999, 1-652쪽.

8.

박영민, 『19세기 문예사와 기생의 한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1.

9.

김동준, 「여성문학의 전개와 여성의 목소리」, 『새 민족문학사 강좌』, 민족문학사연구소, 창비, 2009, 405-424쪽.

10.

김명희, 「여성 한문학의 연구사와 과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권,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회, 2000, 353-375쪽.

11.

문희순, 「호서지역 여성한문학의 사적 전개」, 『한국한문학연구』 제39호, 2007, 85-116쪽

12.

박무영, 「21세기 한국한문학사 서술의 여러 문제—여성문학사의 입장에서」, 『한국한문학연구』 제64호, 한국한문학회, 2016, 187-214쪽.

13.

박무영, 「한국문학통사와 한국여성문학사—여성문학사를 위하여」, 『고전문학연구』 제28호, 2005, 79-118쪽

14.

박영민, 「신부용당의 삶과 문학 연구」, 민족문화연구 제58호, 2013, 411-444쪽

15.

박영민, 「팔선회의 수계와 팔선루집의 편찬」,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38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9. 133-163쪽.

16.

박요순, 「삼의당과 그의 시 연구」, 『한남어문학』 제11호, 1985, 118-132쪽.

17.

안대회, 「한시사 서술의 제문제」, 『한국한문학연구』 제64호, 2016, 31-57쪽.

18.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1-166쪽.

19.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필요성에 관하여」, 『여성문학연구』 제1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6, 377-400쪽.

20.

이경하, 「여성/문학/사에 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5, 2002, 231-262쪽.

21.

이종묵, 「16-17세기 한시사 연구: 시풍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23권 4호, 2000.

22.

이종묵, 「조선후기 놀이문화사와 한시사의 한 국면」, 『애산학보』 제34호, 2018, 157-188쪽.

23.

이혜순, 「19세기 여성비평문학의 출현과 그 의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 1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0. 55-80쪽.

24.

정우봉, 「19세기 후반 대구지역 여성문인, 徐藍田의 생애와 문학」, 『대동한문학』제30호, 대동한문학회, 2009, 387-418쪽.

25.

최기숙, 「고전–여성–문학–사를 매개하는 젠더 비평의 학술사적 궤적과 방향」,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25호, 2012, 5-44쪽.

26.

최기숙, 「여성문학사의 역사/문화 공간 생성과 디지털 창의—생산을 위한 시론」, 『여성문학연구』 제43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155-198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