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여성시문학사 서술 방법론 고찰

A Study on Description Methodology for the Literary History of Women’s Poetry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8, pp.160-190
https://doi.org/10.15686/fkl.2019..48.160
이경수 (중앙대학교)

초록

이 논문에서는 젠더시문학사 서술을 위한 과도기의 작업으로서 여성시문학사의 서술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 따라, 여성시문학사 서술에서 요구되는 관점을 살펴본 후 서술 방법론에 대해 제안하고, 여성시문학사 시대 구분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여성시문학사 서술에서 요구되는 관점으로 교차성 페미니즘의 관점을 전유해 여성시에 나타난 ‘행위주체성’을 적극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여성시에 대한 새로운 독법과 새로운 여성시문학사의 구축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 논문에서는 정전 형성의 가치 척도로 논의되어 온 형식적·미적 척도, 내용의 척도, 연관적 척도, 영향과 관련된 척도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재검토함으로써 여성시문학사 서술 방법론으로 활용하고자 제안했다. 네 가지 척도를 활용한 여성시문학사 서술방법론에 따라 여성시문학사의 시기를 1기(1910~1920년대) 근대적 여성 주체의 선언과 좌절의 시기, 2기(1930~1960년대) 국가주의 페미니즘과 여성성의 축소 시기, 3기(1970~80년대) 글쓰기 주체로서 여성 정체성의 확립과 여성주의 미학의 발견 시기, 4기(1990년대) 여성적 글쓰기의 실험과 도전 시기, 5기(2000~2010년대) 젠더적 인식의 확산과 다양한 목소리의 출현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keywords
Literary history of women’s poetry, literary history of gender poetry, agency, description perspective, description methodology, formation of a canon, criterion of value, division of periods, 여성시문학사, 젠더시문학사, 행위주체성, 서술 관점, 서술 방법론, 정전 형성, 가치 척도, 시대 구분

Abstract

Conceived by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that the description of the literary history of women’s poetry was needed as a transitional work for the description of the literary history of gender poetry,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erspectives requir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literary history of women’s poetry, propose methodologies for description, and look into the issue of dividing periods in the literary history of women’s poetry. As for the perspectives required for the description of the literary history of women’s poetry, the study raised the possibilities of reading women’s poetry anew and writing new literary history of women’s poetry by interpreting actively the "agency" in women’s poetr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intersectional feminism. This study reviewed again the formal and aesthetic criteria, content criteria, connective criteria, and influence-related criteria discussed as the criteria of value in the formation of canons from the feminist perspective and proposed their utilization as the description methodology in the literary history of women’s poetry. Based on the description methodology for the literary history of women’s poetry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criteria, the literary history of women’s poetry was divided into five periods: Period 1(1910s~1920s) when modern women subjects made a declaration and experienced a frustration, Period 2(1930s~1960s) when the femininity vested in the nationalism feminism was reduced, Period 3(1970s~1980s) when women’s identity was established as subjects of writing with feminist aesthetics discovered, Period 4(1990s) when there were experiments and challenges with feminine writing, and Period 5(2000s~2010s) when the gender awareness spread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voices.

keywords
Literary history of women’s poetry, literary history of gender poetry, agency, description perspective, description methodology, formation of a canon, criterion of value, division of periods, 여성시문학사, 젠더시문학사, 행위주체성, 서술 관점, 서술 방법론, 정전 형성, 가치 척도, 시대 구분

참고문헌

1.

고규진, 『정전의 해부』, 전북대학교출판문화원, 2016, 104쪽, 304-318쪽.

2.

고 은, 「허무의 주」, 강은교, 『허무집』, 70년대동인회, 1971, 118쪽.

3.

김용직, 『한국근대시사』 상, 학연사, 1994, 1-547쪽.

4.

김용직, 『한국근대시사』 하, 학연사, 1994, 1-488쪽.

5.

김용직, 『한국현대시사』 1, 한국문연, 1996, 34쪽, 59쪽.

6.

김용직, 『한국현대시사』 2, 한국문연, 1996, 266-299쪽.

7.

김윤식·김현, 『한국문학사』, 민음사, 1973, 8-11쪽.

8.

김해성, 『한국현대여류시사』, 대광문화사, 1996, 3-4쪽, 58-62쪽, 74쪽.

9.

오세영 외, 『한국 현대시사』, 민음사, 2007, 1-676쪽.

10.

유종호, 『한국근대시사』, 민음사, 2011, 5쪽, 231쪽, 257쪽, 269쪽.

11.

이수명, 『공습의 시대』, 문학동네, 2016. 13쪽.

12.

이승하 외, 『한국 현대시문학사』(개정증보판), 소명출판, 2019, 6쪽, 405- 408쪽, 434-430쪽, 451-504쪽.

13.

정한모, 『한국현대시문학사』, 일지사, 1974, 1-414쪽.

14.

조동일, 『한국문학통사』5(4판), 지식산업사, 2005, 9쪽.

15.

한우리·김보명·나영·황주영, 『교차성×페미니즘』, 여이연, 2018, 47-48쪽.

16.

리타 펠스키, 이은경 역, 『페미니즘 이후의 문학』, 여이연, 2010, 39쪽.

17.

산드라 길버트·수전 구바, 박오복 역, 『다락방의 미친 여자』, 이후, 2009, 893- 896쪽.

18.

주디스 버틀러, 조현준 역, 『젠더 트러블』, 문학동네, 2008, 8쪽, 352-357쪽.

19.

김양선, 「여성의 관점에서 본 근·현대문학사의 (재)구성」, 『새민족문학사강좌』 02, 창비, 2009, 495-510쪽.

20.

김현자·이은정, 「한국현대여성문학사-시」, 『한국시학연구』 제5호, 한국시학회, 2001.10, 65-91쪽.

21.

박지영, 「1970~80년대 여성노동자 시에 나타난 젠더/섹슈얼리티 정치학」, 『한국시학연구』 제53호, 한국시학회, 2018.2, 39-84쪽.

22.

소영현, 「문학사의 젠더」, 민족문학사연구소 편, 『문학사를 다시 생각한다』, 소명출판, 2018, 185-218쪽.

23.

이경수, 「서정과 젠더-젠더적 관점에서 서정을 말한다는 것에 대하여」, 『시애』제13호, 2019.9, 36-50쪽.

24.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필요성」, 민족문학사연구소 편, 『문학사를 다시 생각한다』, 소명출판, 2018, 219-243쪽.

25.

정영자, 「1960년대 한국여성시문학사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제12집, 한국 현대문예비평학회, 2003.6, 33-69쪽.

26.

정영자, 「1970년대 한국여성시문학사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제17집, 한국 현대문예비평학회, 2005.8, 189-220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