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17-8세기 사족 여성의 언어문자생활—한문·언문·구술의 상관관계

The upper classes women’s orality in the 17th-18th Joseon Korea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8, pp.192-216
https://doi.org/10.15686/fkl.2019..48.192
이경하 (서울대학교)

초록

본고는 여성생활사자료집과 기타 자료들에서 17-8세기 사족 여성의 언어문자생활을 구술을 중심으로 살피는 데 목적이 있고, 이로써 한문, 언문, 구술의 상관성을 생각해보려 하였다. 특히 심육과 권만의 어머니를 중심으로 한문과 언문과 구술의 사이를 생각하였다. 남성의 한문 글쓰기가 인용이나 번역, 구술을 포섭한 것은 사실이나, 여성의 경우 그 배움의 단계부터 한문, 언문, 구술이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한문과 언문은 같은 문자이지만, 한문은 보다 문자문화에 가깝고 언문은 구술문화에 더 가깝다. 여성의 말이 행장 등에 한문 문자로 고착될 때는 부덕이나 ‘번다함’ 등 여러 가지 이유로 변형되는데, 언문은 문자문화이면서 구술문화에 속한다고 보았다. 또한 여성에 관한 상투적으로 보이는 기술이 오히려 정형화를 추구하는 구술문화의 영향이 아닐까 했다.

keywords
collection of Materials of Women’s History, Chinese writing, the Korean script, spoken language, Orality, Literacy, 여성생활사자료집, 한문, 언문, 구술, 구술문화, 문자문화

Abstract

This thesis’s topic is consider aspect of orality of the upper classes women in the 17th- 18th Joseon Korea. Hereby I raise published “collection of Materials of Women’s History”’ s practical use and look furtively possibility of microscopic lives history study of traditional korean women. And I searched aspect of orality divide the upper classes women into three groups, that is daughter, wife, mother in “collection of Materials of Women’s History”. And this thesis explored the Korean script was a kind of spoken language, that is between literacy and orality.

keywords
collection of Materials of Women’s History, Chinese writing, the Korean script, spoken language, Orality, Literacy, 여성생활사자료집, 한문, 언문, 구술, 구술문화, 문자문화

참고문헌

1.

김경미·김기림·이경하·조혜란·황수연 역주,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4』, 2006, 보고사, 1-449쪽.

2.

정형지·김경미 역주,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 2006, 보고사, 1-480쪽.

3.

조혜란·이경하 역주,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3』, 2006, 보고사, 1-492쪽.

4.

황수연·김기림 역주,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2』, 2006, 보고사, 1-442쪽.

5.

강성숙 번역,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4』, 보고사, 2009, 1-643쪽.

6.

강성숙,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5』, 보고사, 2009, 1-579쪽.

7.

김경미·김기림·김현미·조혜란 번역,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3』, 보고사, 2009, 1-843쪽.

8.

김남이 번역,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7』, 보고사, 2009, 1-571쪽.

9.

김남이,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8』, 보고사, 2009, 1-566쪽.

10.

서경희 번역,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6』, 보고사, 2009, 1-674쪽.

11.

이경하 번역,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2』, 보고사, 2009, 1-889쪽.

12.

황수연 번역,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 보고사, 2009, 1-739쪽.

13.

소혜왕후 지음, 이경하 주해, 『내훈』, 파주: 한길사, 2011, 12쪽.

14.

심노숭, 김영진 역, 『눈물이란 무엇인가』, 태학사, 2001, 1-310쪽.

15.

이혜순·정하영 공편, 『표절-인문학적 성찰』, 집문당, 2007, 9-32쪽.

16.

월터 J . 옹, 이기우·임명진 역,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5, 22-92쪽.

17.

김경미, 「18세기 양반여성의 글쓰기의 층위와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1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5-50쪽.

18.

나수호, 「구술성과 기록성의 관계에 대한 영어권 학자들의 초기 탐구에 대한 소고」, 『口碑文學硏究』 제38권, 한국구비문학회, 2014, 29-63쪽.

19.

박다원, 「심노숭 도망문(悼亡文)에 나타난 죽음의 수용 양상과 그 의의」, 『국학연구론총』 제22권, 택민국학연구원, 2018, 317-343쪽.

20.

박무영, 「18세기 祭亡室文의 공적 기능과 글쓰기」, 『韓國漢文學硏究』 제32권, 한국한문학회, 2003, 317-352쪽.

21.

박무영, 「『호연ᄌᆡ유고』와 18세기 여성문학」, 『열상고전연구』 제16권, 洌上古典硏究會, 2002, 63-89쪽.

22.

백두현,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생활 연구 -한글 음식조리서와 여성 교육서를 중심으로-」, 『어문론총』 제45권,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06, 261-321쪽.

23.

백두현, 「조선 시대 여성의 문자 생활 연구 - 조선왕조실록 및 한글 필사본을 중심으로」, 『진단학보』 제97권, 진단학회, 2004, 139-187쪽.

24.

서정민, 「명행정의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60-158쪽.

25.

이경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의 정체성과 지구화 시대의 과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29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4, 355-388쪽.

26.

이경하, 「중세의 여성 지성과 문자의 관계」, 『여성문학연구』 제2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31-55쪽.

27.

이경하, 「17세기 士族 여성의 한문생활, 그 보편과 특수」, 『국어국문학』 제140권, 국어국문학회, 2005, 101-120쪽.

28.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158쪽.

29.

이종묵, 「조선시대 한시 번역의 전통과 양상」, 『장서각』 제7권, 한국학중앙연구원, 2002, 59-89쪽.

30.

정우봉, 「분성군부인 허씨의 한글일기 『건거지(巾車志)』연구(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34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7, 167-197쪽.

31.

정우봉, 「심노숭의 『南遷日錄(남천일록)』에 나타난 내면고백과 소통의 글쓰기」, 『韓國漢文學硏究』 제52권, 한국한문학회, 2013, 261-305쪽.

32.

최기숙, 「조선후기 여성의 ‘문화/문학’적 실천(讀·書·行)을 통한 한국 ‘고전/문학’ 연구의 재성찰」, 『국어국문학』 제176권, 국어국문학회, 2016, 115-149쪽.

33.

최기숙, 「18세기 여성 대상 애제문과 비지문을 통해 본 한문의 “문자적, 구술적” 포용성」, 『古典文學硏究』 제48권, 한국고전문학회, 2015, 259-289쪽.

34.

최원오, 「"구술성"의 문화사적 기여와 인문학적 가치」, 『韓國漢文學硏究』 제57권, 한국한문학회, 2015, 65-101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