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여성문학연구』의 현재와 현재성

The present and present state of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8, pp.30-59
https://doi.org/10.15686/fkl.2019..48.30
오자은 (서울시립대학교)

Abstract

『여성문학연구』는 1998년 창립된 이후 1999년에 1호 창간을 시작으로 학회지『여성문학연구』를 만 20년 동안 발간해 왔다. 이 글은 창립 21주년을 맞아 한국여성문학학회가 그동안 생산해 온 의제들을 검토하면서 동시에 『여성문학연구』 가 어떻게 ‘지금-여기’의 문제와 반응하며 혹은 그 너머를 바라보며 교호해 왔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씌어졌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지난 10년간 발행된 『여성문학연구』의 학문적 기억을 톺아보았으며 그 성과와 의미를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우선 예비적 논의로서 ‘현대문학’ 분과에 한정하여10년 동안 『여성문학연구』의 특집 기획들과 특집 논문들, 그리고 일반 논문들을연구 주제와 연구 대상에 따라 분류해 보았다. 또한 주로 인용된 이론가들을 살피며 그간의 동향과 쟁점들을 검토하였다. 지난 10년 동안 『여성문학연구』가 천착해 온 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된다. 여성문학의 단절성을 벗어나 새로운 연속성을 확보하는 문제, 그리고 이를 위해 여성문학을 분절하거나 왜곡시키는 굴절점들이나 착시 현상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의미화 할 것인지에 대해 문제화해 온 것이 바로 첫 번째이다. 특히 이러한맥락에서 젠더적 관점에서 한국문학사에 접근하거나 80년대 여성문학에 대한역사화를 시도하는 연구들이 최근 다양한 지면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을생각해 보았을 때, 『여성문학연구』가 학계 바깥의 지면들과 서로 교호하면서 한국문학 전체에 대한 재구와 재의미화의 장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맡을 수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그뿐 아니라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으로 ‘혐오’와 ‘난민’, ‘페미니즘 대중화이슈’ 등, 『여성문학연구』가 최근 제시하고 있는 의제들이 이전보다 ‘현재적인이슈들’이라는 점을 살폈다. 이는 최근 몇 년 간 한국 사회가 겪은 여러 가지 사회적, 정치적 진통들에 대한 『여성문학연구』의 적극적인 학문적, 이론적 대응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러한 의제들을 폭넓게 수용하고 발전적으로 재생산하며 ‘지금-여기’의 여성 문제를 다루는데 현재적 위치를 점하는 것을 넘어서, 이제는 우리가 앞으로 다뤄야 할 ‘새로운 의제들’을 발굴하는 일에 노력을 기울일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러한 발굴과 확장의 방식이 앞으로의 새로운 10년간 어떤 형태가 되어야 할지에 대한 고민과 모색 또한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The Academic Society of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History of Women’s Literature, History of Women’s Literature Research, Popularization of feminism, 한국여성문학학회, 여성문학연구, 여성문학사, 여성문학연구사, 페미니즘 리부트

참고문헌

1.

『여성문학연구』 제23호~47호

2.

『연합뉴스』

3.

통계청 홈페이지 kostat.go.kr

4.

김양선,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 소명출판, 2012.

5.

이상경,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6.

정영자, 『한국현대여성문학사』, 세종출판사, 2010.

7.

권명아, 「비교역사적 연구를 통해 본 정동 연구의 사회적 의제: 여자 떼 공포와다스려질 수 없는 힘」, 『여성문학연구』 제3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7~38쪽.

8.

김복순, 「여성-노동소설의 일 계보-김인숙의 경우」, 『여성문학연구』 제43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109~152쪽.

9.

김소륜, 「탈북 여성을 향한 세 겹의 시선: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탈북 여성의문학적 형상화에 대한 고찰」, 『여성문학연구』 제41호, 한국여성문학학회,2017, 109~143쪽.

10.

김양선, 「근대 여성 작가의 지식 지성 생산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 『여성문학연구』 제2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 7~30쪽.

11.

김양선, 「한국 여성문학 연구 장의 변전과 과제-〈한국여성문학학회〉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2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645~669쪽.

12.

김양선, 「전후 감상적 여성소설의 계보」, 『여성문학연구』 제36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645~669쪽.

13.

김양선, 「페미니즘 리부트와 ‘김지영’ 현상- 조남주, 82년생 김지영」, 『여성문학연구』 제42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 283~287쪽.

14.

김연숙, 「가정소설의 번역과 젠더의 기획- 여성번역문학사 정립을 위한 시론」, 『여성문학연구』 제2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115~141쪽.

15.

김영선, 「1970년대 페미니즘 이론의 번역」, 『여성문학연구』 제3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39~62쪽.

16.

김은하, 「탈북여성과 공감/혐오의 문화정치학」, 『여성문학연구』 제3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291~314쪽.

17.

김은하, 「여성들의 정치 혁명과 페미니스트 팸플릿으로서 글쓰기: 박완서의 1980년 여성해방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4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7~36쪽.

18.

김은하, 「발간사-페미니즘 지식 문화의 현재성과 그 너머」, 『여성문학연구』 제 4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3~8쪽.

19.

김주희, 「우에노 치즈코의 젠더-본질주의 비판」, 『여성문학연구』 제4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13~53쪽.

20.

손희정, 「혐오와 절합하고 경합하는 정동들」, 『여성문학연구』 제36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117~141쪽.

21.

신샛별, 「박완서 장편소설 서있는 여자의 페미니즘 정치학적 의미-결혼이라는계약을 통해 본 시민성의 젠더구조」, 『여성문학연구』 제4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37~71쪽.

22.

이명호, 「젠더지형의 변화와 페미니즘의 미래」, 『여성문학연구』 제26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133~161쪽.

23.

이상경, 「박완서와 근대문학사」, 『여성문학연구』 제2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7~27쪽.

24.

이선미, 「박완서 소설과 비평: 공감과 해석의 논리」, 『여성문학연구』 제2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29~58쪽.

25.

이선옥, 「1980년대 여성운동 잡지와 문학논쟁의 의미- 『또 하나의 문화』,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43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7~36쪽.

26.

이경하, 「여성문학사 서술의 필요성에 관하여」, 『여성문학연구』 제1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377~400쪽.

27.

이영아, 「‘여성혐오’의 문학문화사-젠더적 관점의 한국 근대문학문화사 서술을 위하여」, 『인문과학연구논총』 37권 4호,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2016, 13~48쪽.

28.

이혜령, 「신여성과 일본군 위안부라는 문지방들-목가적 자본주의의 폐허에서 식민지 섹슈얼리티 연구를 돌아보며」, 『여성문학연구』 제33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103~132쪽.

29.

이혜령, 「빛나는 성좌들-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탄생」, 『상허학보』 제47호, 상허학회, 2016, 409~454쪽.

30.

임지연, 「여성문학트러블」, 『여성문학연구』 제26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103~132쪽.

31.

조현준, 「나에서 우리로, 젠더에서 인간으로,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과 젠더 허물기 비교 연구」, 『여성문학연구』 제4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239~266쪽.

32.

허 윤, 「페미니즘 2.0」, 『여성문학연구』 제3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453~463쪽.

33.

허 윤, 「포스트 세계문학과 여성-이주-장편서사의 윤리학 :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3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73~98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