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nti-Japanese Communist Women’s Narrative Represented in Cho Sun Hee’s “Three Wome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8, pp.361-392
https://doi.org/10.15686/fkl.2019..48.361
Park Sungeu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women of anti-Japanese movement and communism in colonial Joseon were recreated in Cho Sun Hee’s novel “Three Women”. Anti-Japanese Communist women, who emerged as new political subjects in the 1920s, were consumed not as revolutionaries or activists of the day, but as protagonists of dating scandals. The representation of these women, who remained sexual rather than political, was accepted for a long time. Communist women who had long been forgotten and silenced in the divisions remained transmitted as symbolic representations in the 1920s and 30s and had no chance of being modified for a long time. In that sense, The Three Women, which independently reproduced Communist women not only in anti-communist times but also in literature,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restore the forgotten history. However, because the observers have been ‘unable to see’ narratives of communist women due to the absence of records and ‘invisible’ due to the loss of memory, it is difficult to reproduce them now beyond time and space. It is because they do not know how to put the communist woman, who is the subject of the records and memories of the time, in the place of the subject. In the Three Women, Huh Jung Sook consistently occupies the subject in his life and history, while Ju Se Juk and Go Myung Ja lost their position in frustration in the face of bad times. As a result, it coincides with the contemporary representation of these three women who had been created before Hur Jung Suk, Ju Se Juk, and Go Myung Ja became invisible in colonial Joseon. Over time, the three women’s self-narration, historical records, and testimony left behind in the course of their disappearance in colonial Joseon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production of their narratives. Communist women lacking self-narration and testimony need a window of awareness where their narrative can be heard in order for their narratives to be reproduced.

keywords
Huh Jung Suk, Ju Se Juk, Go Myung Ja, Communist women, Political subject, 허정숙, 주세죽, 고명자, 공산주의자 여성, 정치적 주체

Reference

1.

조선희, 『세 여자—20세기의 봄』 1, 한겨레출판사, 2017, 1-397쪽.

2.

조선희, 『세 여자—20세기의 봄』 2, 한겨레출판사, 2017, 1-377쪽.

3.

김경일, 『신여성, 개념과 역사』, 푸른역사, 2016, 33-247쪽.

4.

김정인,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 책과함께, 2017, 98-109쪽.

5.

심훈, 『동방의 애인』, 글누림, 2016, 84쪽.

6.

이정박헌영전집편집위원회, 『이정 박헌영 전집8』, 역사비평사, 2004, 912-928쪽.

7.

이정식, 『여운형』,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785쪽.

8.

장영은, 「서문—자기 삶을 스스로 이야기하는 여성의 탄생」, 나혜석, 『나혜석, 글쓰는 여자의 탄생』, 민음사, 2018, 8-9쪽.

9.

조선헌병대사령부 편, 『조선3·1독립소요사건』(소화 44년), 암남당서점, 1969, 447-448쪽.

10.

허근욱, 『민족변호사 허헌』, 지혜네, 2001, 223쪽.

11.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 외, 태혜숙 역,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그린비, 2013, 133-137쪽.

12.

강혜경, 「일제하 허정숙의 기자활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제50호,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7, 81-117쪽.

13.

권수현, 「허정숙의 여성론 재구성」, 『페미니즘 연구』 제10호, 한국여성연구소, 2010, 247-283쪽.

14.

김경일, 「식민지 시기 신여성의 미국 체험과 문화 수용—김마리아, 박인덕, 허정숙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제11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6, 49-91쪽.

15.

김정인, 「3·1운동과 그 이후, 여성의 현실 참여」, 『인문과학연구』 제28호,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11-36쪽.

16.

박순섭, 「1920~30년대 정칠성의 사회주의운동과 여성해방론」, 『여성과 역사』제26호, 한국여성사학회, 2017, 245-271쪽.

17.

서형실, 「정열의 여성운동가 허정숙」, 『여성과 사회』 제3호, 한국여성연구회, 1992, 278-287쪽.

18.

소현숙, 「3·1운동과 정치 주체로서의 ‘여성’」, 『한국학논총』 제51호,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385-414쪽.

19.

송진희, 「허정숙의 생애와 활동: 사상과 운동의 변천을 중심으로」, 순천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04, 1-41쪽.

20.

신영숙, 「사회주의 여성운동가, ‘조선의 콜론타이’ 허정숙」, 『내일을 여는 역사』제23호, 내일을 여는 역사, 2006, 166-177쪽.

21.

오혜진, 「서평—여성혁명가 서사와 ‘사회주의’라는 오래된 미래—조선희의 『세여자—20세기의 봄』 1·2」, 『여성문학연구』 제43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379-385쪽.

22.

이꽃메, 「일제강점기 산파 정종명의 삶과 대중운동」, 『醫史學』 제21권 3호, 대한의사학회, 2012, 551-591쪽.

23.

이상경, 「1930년대 사회주의 여성에 관한 연구」, 『성평등연구』 제10호, 카톨릭대학교 성평등연구, 2006, 49-80쪽.

24.

이성우, 「사회주의 여성운동가 고명자의 생애와 활동」, 『인문학연구』 제84호,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247-274쪽.

25.

이소희, 「‘나’에서 ‘우리’로: 허정숙과 근대적 여성주체」, 『여성문학연구』 제3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89-148쪽.

26.

이애숙, 「정종명의 삶과 투쟁」, 한국여성연구소 기타간행물, 한국여성연구소, 1989, 255-280쪽.

27.

이혜령, 「감옥 혹은 부재의 시간들—식민지 조선에서 사회주의자를 재현한다는것, 그 가능성의 조건」, 『대동문화연구』 제64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8, 71-118쪽.

28.

임경석, 「잡지 《콤무니스트》와 국제선 공산주의그룹」, 『한국사연구』 제126호, 한국사연구회, 2004, 177-201쪽.

29.

임정연, 「망명도시의 장소상실과 좌초하는 코즈모폴리턴의 초상—주세죽과 상해, 그리고 모스크바」, 『국제어문』 제77호, 국제어문학회, 2018, 31-56쪽.

30.

임정연 , 「실명소설의 서사권력과 목소리 복원의 난경 — 『검은 땅에 빛나는』과 『코레예바의 눈물』의 경우」, 『어문연구』 제46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293-318쪽.

31.

장영은, 「귀환의 시간과 복권(復權)」, 『여성문학연구』 제22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9, 37-63쪽.

32.

장영은, 「생존과 글쓰기」, 『비교한국학』 제25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7, 71-94쪽.

33.

장영은, 「아지트 키퍼와 하우스 키퍼—여성 사회주의자의 연애와 입지」, 『대동문화연구』 제64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8, 185-214쪽.

34.

장인모, 「1920년대 근우회 본부 사회주의자들의 여성운동론」, 『한국사연구』 제142호, 한국사연구회, 2008, 367-419쪽.

35.

한기형, 「서사의 로칼리티, 소실된 동아시아—심훈의 중국체험과 『동방의 애인』, 『대동문화연구』제63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8, 425-447쪽.

36.

허정숙, 「울 줄 아는 인형의 여자국 북미인상기」, 『별건곤』, 제10호, 개벽사, 1927.12, 74-77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