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How to write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in Gwangju?–Go Jung-Hee’s Acceptance of Third World Humanism and Reorganization of Min-Jung Poetry ⑴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8, pp.323-360
https://doi.org/10.15686/fkl.2019..48.323
Jung Hye Ji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은 고정희의 문학과 운동, 특히 인간해방과의 관련 하에 논의되는 여성해방의 전망을 제2물결 페미니즘의 성과와 한계로 한정하는 것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이러한 의문을 고정희의 문학·삶의 궤적에서 보이는 제3세계 시각의 수용 및 민중시에 대한 문제의식에 주목함으로써 풀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적으로 고정희 문학의 초기 시기에 집중한다. 이 글의 2장에서는 1970~80년대 초중반 한국에서 제3세계 휴머니즘의 수용 맥락과 인간해방 전망의 전개를 고찰한다. 고정희가 참조한 파울로 프레이리의 인간화 개념은 남미 해방신학이 맑스주의를 받아들였던 것과 달리 1970년대 한국의 에큐메니컬 운동이 맑스주의를 적극 수용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맑스주의가 탈각된 실존주의적 휴머니즘으로 한국에 정착했다. 이는 당대 제2물결 페미니즘과 함께 프레이리의 탈식민 해방이론 및 제3세계 페미니즘을 수용한 여성의 인간화 운동이 제2물결의 의제를 상대화하면서 한국 여성들의 하위주체적 현실에 대한 분석을 진척시키지 못했던 배경이기도 했다. 그러나 고정희는 인간화 운동이 민중운동과 거리를 두고 ‘중간집단’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것에서 나아가 그러한 기조 저변에 흐르던 급진화한 인간화 운동의 양상을 심화시켜 인간해방의 전망을 갱신한다. 고정희는 이 과정에서 인간을 민중 또는 여성을 위계적으로 포괄하는 것으로 간주하지 않고 각 범주들을 동시적으로 사유하는 면모를 보인다. 이는 향후 고정희가 제3세계 시각을 벼리게 되는 하나의 토대가 된다. 3장에서는 1983년 무렵 고정희의 민중시에 대한 문제의식이 인간해방의 이념과 연결되어 표출되는 양상을 살펴본다. 고정희는 「인간회복과 민중시의 전개—조태일·강은교·김정환 론」에서 민족주의·민중주의에 휴머니즘을 교차시킨다. 고정희가 타진한 ‘어머니-민중’을 중심으로 하는 휴머니즘 문학으로서의 민중시는 민중 담론을 휴머니즘으로 봉합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 담론과 운동의 장에서 분리/대립돼있던 인간과 민중과 여성을 동시에 사유하는 시도이다. 이는 민중신학의 메시아니즘을 민중시의 이념으로 전유한 것으로서 『초혼제』 이후의 과제, 즉 민중의 수난사 및 죽음의 재현을 넘어 ‘죽은 자는 어떻게 돌아올 수 있는가’, ‘어떻게 그들의 역사를 쓸 것인가’ 질문한 것이었다. 고정희는 민중시가 이러한 도전에 마주함으로써 여성수난사를 극복하고 인간해방의 문학으로 재구성되어야 함을 역설한다. 고정희에게 이 문제의식은 ‘또 하나의 문화’와의 만남을 통해 구체화된다.

keywords
고정희, 파울로 프레이리, 맑스주의 휴머니즘, 제3세계, 제2물결 페미니즘, 여성의 인간화, 민중시, 민중신학, 메시아니즘, 여성수난사, 광주, Go Jung-Hee, Paulo Freire, Marxist humanism, Third World, Second wave feminism, women’s humanization, Min-Jung poetry, Min-Jung theology, messianism, the history of woman’s ordeals, Gwangju

Reference

1.

고정희, 「인간회복과 민중시의 전개」, 『기독교사상』 제27권 8호, 대한기독교서회, 1983, 146-160쪽.

2.

고정희, 『고정희 시전집 1』, 김승희 외 편, 또하나의문화, 2011, 1-648쪽.

3.

고정희, 『고정희 시전집 2』, 김승희 외 편, 또하나의문화, 2011, 1-592쪽.

4.

파울로 프레이리, 선창선 역, 『페다고지—억압받는 자를 위한 교육』, 한국천주교평신도사도직 협의회, 1979, 1-187쪽.

5.

『경향신문』

6.

『동아일보』

7.

『신동아』

8.

『주간동아』

9.

『중앙일보』

10.

『한겨레』

11.

「여성인간 선언 초안」(크리스챤 아카데미 자료 제공)

12.

「참가자명단」(크리스챤 아카데미 자료 제공)

13.

강은교 외, 『하나보다 더 좋은 백의 얼굴이어라—여성해방 시 모음』, 또 하나의문화, 1988, 1쪽.

14.

또 하나의 문화 동인, 『또 하나의 문화』 제9호, 또 하나의 문화, 1992, 56쪽.

15.

강원용, 『역사의 언덕에서 4—미완성의 민주화』, 한길사, 2003, 53-127쪽.

16.

강지희 외, 『문학은 위험하다—지금 여기의 페미니즘과 독자 시대의 한국문학』, 민음사, 2019, 19-46쪽.

17.

안병무, 『역사와 민중』, 한길사, 1993, 1-442쪽.

18.

이소희, 『여성주의 문학의 선구자 고정희의 삶과 문학』, 국학자료원, 2018, 1-349쪽.

19.

조형 외,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또 하나의 문화, 1993, 229쪽.

20.

한국가정법률상담소편집부, 『여성의 인간화 삼십년—한국가정법률상담소 삼십년사』, 한국가 정법률상담소출판부, 1987, 1-636쪽.

21.

홍은광, 『파울로 프레이리, 한국 교육을 만나다』, 학이시습, 2010, 1-275쪽.

22.

벨 훅스, 윤은진 역, 『벨 훅스, 경계 넘기를 가르치기』, 모티브북, 2008, 59-75쪽.

23.

장 폴 사르트르, 박정태 역,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이학사, 2008, 1-144쪽.

24.

찬드라 탈파드 모한티, 문현아 역, 『경계없는 페미니즘』, 여이연, 2005, 36-43쪽.

25.

피터 맥라렌, 강주헌 역, 『체 게바라 파울루 프레이리 혁명의 교육학』, 아침이슬, 2008, 224-257쪽.

26.

김경재, 「안병무의 ‘체현의 신학’—그 화육론과 성령론」, 『신학사상』 제121집, 2003, 25-54 쪽.

27.

김나현, 「1970년대 민중시의 주체 구성—민중시를 둘러싼 몇 가지 분할에 대하여」, 『한국시 학연구』 제53호, 한국시학회, 2018, 9-38쪽.

28.

김란희, 「한국 민중시의 언어적 실천 연구—1970·80년대 민중시에 나타난 ‘부정성’의 의미화 양상을 중심으로」, 서강대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1-190쪽.

29.

김문주, 「고정희 시의 종교적 영성과 ‘어머니 하느님’」, 『비교한국학』 제19권2호, 국제비교 한국학회, 2011, 121-147쪽.

30.

김영선, 「1970년대 페미니즘 이론의 번역/실천과 여성학」, 『여성문학연구』 제3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39-62쪽.

31.

김예림, 「1960~1970년대의 제3세계론과 제3세계문학론」, 『상허학보』 제50집, 상허학회, 2017, 419-451쪽.

32.

김일수, 「사회주의 휴머니즘에 관한 연구—마르크스주의 휴머니즘론을 중심으로」,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1-90쪽.

33.

김정은, 「광장에 선 여성과 말할 권리—1980년대 고정희의 글쓰기에 나타난 젠더와 정치」, 『여성문학연구』 제4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267-313쪽.

34.

김태선, 「프레이리의 인간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92쪽.

35.

박수연, 「현대시와 몽타쥬—김정환의 시를 중심으로」, 『비평문학』 제18호, 한국비평문학회, 2004, 201-221쪽.

36.

박인혜, 「1980년대 한국의 새로운 여성운동의 주체 형성 요인 연구—크리스챤아카데미의 여성의 인간화 담론과 여성 사회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25권 4호, 한국여성학회, 2009, 141-174쪽.

37.

백낙청, 「제3세계와 민중문학」, 『창작과비평』 제14권 3호, 1979, 43-79쪽.

38.

신지연, 「오월광주—시의 주체 구성 매커니즘과 젠더 역학」, 『여성문학연구』 제17권, 한국여성문학회, 2007, 31-73쪽.

39.

안병무, 「민중 예수」, 『신학사상』 제55집, 한국신학연구소, 1993, 103-151쪽.

40.

안병무, 「부활의 그리스도와 그 현장—사도행전 2:22-24」, 『현존』 제71호, 현존사, 1976, 3-9쪽.

41.

안지영, 「‘여성적 글쓰기’와 재현의 문제—고정희와 김혜순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 학연구』 제54집, 한국현대문학회, 2018, 91-127쪽.

42.

오창은, 「‘제3세계 문학론’과 ‘식민주의 비평’의 극복」, 『우리문학연구』 제24집, 우리문학회, 2008, 257-283쪽.

43.

옥창준, 「이론의 종속과 종속의 이론—1970년대 중반~1980년대 한국 사회과학 학계와 종속 이론」, 『역사문제연구』 제41호, 역사문제연구소, 2019, 13-46쪽.

44.

이경수, 「고정희 전기시에 나타난 숭고와 그 의미」, 『비교한국학』 제19권 3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65-98쪽.

45.

이승희, 「나의 학문 나의 인생 이효재—한국여성학 여성운동의 선구」 『역사비평』 통권 26호, 역사비평사, 1994, 237-257쪽.

46.

이유나, 「해방후 이태영의 여성인권론과 인권, 민주화운동」, 『한국기독교와 역사』 제46호, 한 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97-136쪽.

47.

이정자, 「1970년대 크리스챤 아카데미의 여성인간화 교육」, 『젠더연구』 제19호,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2014, 1-18쪽.

48.

이혜령, 「빛나는 성좌들—1980년대, 여성해방문학의 탄생」, 『상허학보』 제47집, 상허학회, 2016, 409-454쪽.

49.

정혜진, 「고정희 전기시 연구—주체성과 시적 실천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동아시아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 1-164쪽.

50.

조연정,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고정희 시를 읽기 위한 시론」, 『우리말글』 제71집, 우리말글학회, 2016, 241-273쪽.

51.

허 윤, 「1980년대 여성해방운동과 번역의 역설」, 『여성문학연구』 제28권,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239-264쪽.

52.

허혜정, 「유신여성과 민중시의 성담론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 제18호, 한국근대문학회, 2008, 371-408쪽.

53.

홍은광, 「프레이리(Paulo Freire) 교육사상의 수용과정과 한국 민중교육운동에대한 영향」, 서울대 교육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1-208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