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The Representation of Diaspora Memories and Possibility of Writing History of the Post Cold War: 'Goodbye My Love, North Korea: Red Youth' and ‘Watershed’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0, v.0 no.49, pp.265-297
https://doi.org/10.15686/fkl.2020..49.265
Hunmi Lee

Abstract

This study deals with ‘Goodbye My Love, North Korea: Red Youth’, a documentary film produced by Soyoung Kim in 2017, and ‘Watershed’, a novel written by Hoesung Lee in 1992, combining postcolonial and diasporic studies, the representation of history through film and literature, and memory studies. Such theoretical selection allows us to signify the North Korean students defecting to the Soviet Union in the late 1950s and their lives thereafter, the subje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ithin a long-term Korean diaspora and away from the trite saying of anti-communism. Especially, this study tried to reveal that the post cold war period Central Asia was the diaspora space where race, nationality, ideology, and gender crossed, and the positionality of the diasporic subject was remodeled. Lastly, this study discussed that diaspora identities do not have a positive or negative nature in itself, but can seek not only for retrograde nationalism but also for universal and democratic values through ‘multi-directionality of memory’ appeared in the diaspora film and literature.

keywords
영상역사, 디아스포라 공간, 다방향적 기억, 희생자 민족주의, 김소영, 굿바이 마이 러브NK, 이회성, 유역, historiophoty, diaspora space, multidirectional memory, victimhood nationalism, Soyoung Kim, Goodbye My Love North Korea, Hoesung Lee, Watershed

Reference

1.

김병학 엮음, 『한진 전집』, 서울: 인터북스, 2011.

2.

이회성, 김석희 역, 『유역(流域)』, 서울: 한길사, 1992.

3.

김소영, 「거류」, 2000

4.

김소영, 「눈의 마음: 슬픔이 우리를 데려가는 곳」, 2014.

5.

김소영, 「고려 아리랑: 천산의 디바」, 2016.

6.

김소영, 「굿바이 마이러브NK: 붉은 청춘」, 2017.

7.

박명진, 『한국영화의 존재방식과 광학적 무의식』, 광명: 도서출판 경진, 2012.

8.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5.

9.

레이 초우, 정재서 역, 『원시적 열정: 시각, 섹슈얼리티, 민족지, 현대중국영화』, 이산, 2004.

10.

로절린드 C . 모리스 엮음, 가야트리 차크라보르티 스피박 외, 태혜숙 역,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서발턴 개념의 역사에 관한 성찰들』, 서울: 그린비, 2016.

11.

알라이다 아스만, 변학수·백설자·채연숙 역, 『기억의 공간』,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2003.

12.

존 루이스 개디스, 강규형 역, 『역사의 풍경: 역사가는 과거를 어떻게 그리는가』, 서울: 에코 리브르, 2004.

13.

헤이든 화이트, 천형균 역, 『메타역사 1』, 서울: 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14.

Brah, Avtar. Cartographies of Diaspora: Contesting Identities, Taylor & Francis e-Library, 2005.

15.

Cohen, Robin. Global Diasporas: An introduction, Taylor & Francis e-Library, 2001.

16.

Kim, Jaeeun. Contested Embrace: Transborder Membership Politics in Twentieth-Century Korea,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6.

17.

Knott, Kim, Seán McLoughlin eds. Diasporas: Concepts, Intersections, Identities, London & New York: Zed Books, 2010.

18.

권금상, 「북한의 전쟁고아 정책과 실천에 관한 연구: 한국전쟁과 재건 시기 『로동신문』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제80호,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5-40쪽.

19.

권윤경, 「기억의 경쟁에서 연대로? 홀로코스트와 프랑스 탈식민화 기억의 다방향적 접합」, 『역사비평』 제112호, 2015, 370-397쪽.

20.

김소영, 「하위주체의 세계주의: 제국을 넘어선 세계와 영화」, 『황해문화』 제89호, 새얼문화재단, 2015, 67-87쪽.

21.

김소영, 「아래로부터의 세계성, 고려인: 망명 삼부작 〈눈의 마음〉 〈고려 아리랑〉 〈굿바이 마이러브 NK〉」, 『문화과학』 제96호, 문화과학사, 2018, 156-175쪽.

22.

김정한, 「서발턴은 마지막 비상구인가?: 서평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김원, 현실문화, 2011)」, 『역사문제연구』 제26호, 역사문제연구소, 2011, 276-291쪽.

23.

김정한, 「서발턴 개념의 한계와 연구 전략」, 경희대학교 대학원보 제205호, 2015년 3월 2일.

24.

김지혜, 「역사와 영화: 영화로 역사 서술은 가능한가」, 『역사비평』 제11호, 역사비평사, 1997, 375-388쪽.

25.

루자 카타린(Ruzsa Katalin), 「냉전초기 사회주의 진영 내부의 우의정치: 한국전쟁 전후 헝가리로 간 북한의 전쟁고아와 장학생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1-119쪽.

26.

박경환, 「디아스포라 주체의 비판적 위치성과 민족 서사의 해체」, 『문화역사지리』 제19권 3호,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07, 1-12쪽.

27.

박오복, 「에이드리언 리치의 위치의 정치학」, 『영어영문학21』 제28권 2호,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15, 165-194쪽.

28.

신인섭·김동현, 「디아스포라 서사의 소통전략: 이회성의 『유역으로』를 중심으로」, 『일본어문학』 제60호, 한국일본어문학회, 2014, 327-345쪽.

29.

안드레 슈미드, 「북한을 역사화하기: 국가사회주의, 인구이동, 그리고 냉전사학」, 『사회와 역사』 제124호, 한국사회사학회 2019, 165-217쪽.

30.

양명심, 「이회성의 새로운 상상력과 구성의 전환점: 『유역으로』를 중심으로」, 『일본문화학보』 제56호, 한국일본문화학회, 2013, 223-237쪽.

31.

오혜진, 「그날 이후의 서정시와 망막적인 것: 다큐/영화의 미학과 정치를 다시 묻기 위해」, 『문화과학』 제75호, 문화과학사, 2013, 303-329쪽.

32.

윤인진, 「코리안 디아스포라: 재외한인의 이주, 적응, 정체성」,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한국사회학회, 2003, 101-144쪽.

33.

이브 로즈네프트, 「히틀러의 흑인 희생자를 상상하기: 다방향 기억과 최근의 홀로코스트 소설」, 『 독일연구』 제42호, 한국독일사학회, 2019, 107-140쪽.

34.

임유경, 「북한 담론의 역사와 재현의 정치학」, 『상허학보』 제56호, 상허학회, 2019, 11-60쪽.

35.

정근식·김윤애·임수진, 「북한에서 소련형 대학 모델의 이식과 희석화」, 『아시아리뷰』 제7권 1호(통권 제13호),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7, 109-150쪽.

36.

정영철, 「남북 관계와 바라봄의 정치: ‘시선의 정치’와 정당성 경쟁」,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편, 세계정치 제16호 『남북한 관계와 국제정치 이론』, 서울: 논형, 2012, 47-80쪽.

37.

정은경, 「국민과 비국민 사이: 이회성의 작품에 나타난 20세기 코리안 디아스포라 루트와 내러티브」, 『어문론집』 제45호, 중앙어문학회, 2010, 61-91쪽.

38.

조영주, 「북한 일상연구에서 나타나는 분단과 젠더정치」, 2019년 12월 17일 서강대학교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국제학술대회 “트랜스내셔널 북한: 잊혀진 기억과 아래로부터의 역사” 자료집, 75-84쪽.

39.

Armstrong, Charles K . “‘Fraternal Socialism’ : The International Reconstruction of North Korea, 1953-62”, Cold War History, Vol.5 No.2, Routledge, 2005, pp.161-187.

40.

Dean, Carolyn J. “Metahistory and Resistance to Theory”,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124 No.4, The American Historical Association, 2019, pp.1337-1350.

41.

Hong, Intaek. 「North Korean selves in the war orphans’ transnational epistolary space: on their experiences and representations of collective selfhood, 1953–1962」,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77쪽.

42.

Lankov, Andrei, Igor Selivanov. “A peculiar case of a runaway ambassador: Yi Sang-Cho’s defection and the 1956 crisis in North Korea”, Cold War History, Vol.19 No.2, Routledge, 2019, pp.233-251.

43.

Lim, Jie-Hyun. “Victimhood Nationalism in Contested Memories: National Mourning and Global Accountability” in Aleida Assman, Sebastian Conrad, eds., Memory in a Global Age: Discourses, Practices and Trajectories,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10, pp.138-162.

44.

Lim, Jie-Hyun. “Triple Victimhood: On the Mnemonic Confluence of the Holocaust, Stalinist Crime, and Colonial Genocide”, Journal of Genocide Research, Published online: 13 Apr 2020. [https://doi.org/10.1080/14623528.2020.1750822] 2020.04.22. 검색완료.

45.

Minh-Ha, Trinh T. “Documentary Is/Not a Name”, October, Vol.52, The MIT Press, 1990, pp.76-98.

46.

Moses, Dirk A. “Hayden White, Traumatic Nationalism, and the Public Role of History”, History and Theory Vol.44, Wiley, October 2005, pp.311-332.

47.

Rosenstone, Robert A. “History in Images/History in Words: Reflections on the Possibility of Really Putting History onto Film”,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93 No.5, The American Historical Association, 1988, pp. 1173-1185.

48.

Schmid, Andre. “Historicizing North Korea: State Socialism, Population Mobility, and Cold War Historiography”,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123 Issue2, The American Historical Association, 2018, pp.439-462.

49.

White, Hayden. “Historiography and Historiophoty”,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93 No.5, The American Historical Association, 1988, pp.1193-1199.

50.

정한석, 「뿌리 깊은 방랑자를 찾아: 〈굿바이 마이 러브NK: 붉은 청춘〉 김소영」, 2019.5.16. 인터뷰. [http://reversemedia.co.kr/article/174] 2020.3.26. 검색완료.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