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87년 이후 광장의 젠더와 계보 —한국여성대회, 장애여성운동, 퀴어문화축제를 중심으로

Gender and the genealogy in the square after 1987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0, v.0 no.49, pp.232-264
https://doi.org/10.15686/fkl.2020..49.232
허윤 (부경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본고는 왜 1990년대의 성정치는 ‘자유’의 맥락에서만 소환되는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한다. 군사정권이 끝나고 민주사회가 도래하였으며, 이념의 시대가 끝나 개인의 욕망과 자유의 시대가 되었다는 1990년대에 대한 해석은 성정치를 자유주의, 혹은 정체성 정치라는 협소한 틀에서 해석하도록 유도한다. 하지만 이는 1980년대부터 대중운동으로 성장해온 여성운동의 역량을 비가시화하는 해석 방식이다. 87년 이후 본격화된 여성운동은 성폭력, 가정폭력, 호주제 폐지 등의 구호를 광장에서 외쳤다. 1985년부터 세계여성의 날을 기념하여 열리는 한국여성대회, 1990년대 중반부터 그 모습을 드러낸 장애여성 운동, 2000년부터 20년째 지속되고 있는 퀴어문화축제 등 젠더 의제는 광장의 주체로 자신의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니 광장의 1980년대 대 내면의 1990년대라는 해석은 광장이 사라진 것이 아니라 광장을 보지 않은 것이라 해도 무방하다. 광장의 역사와 계보에서 ‘차이’는 주변부적인 대상으로 치부되거나 다른 의미로 왜곡되어왔다. 비남성들이 광장의 의제를 제안했을 때, 그들의 구호는 ‘나중에’ 다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들로 분류되었다. 하지만 국가와 공론장이 어떻게 생각했든 간에 성정치는 대중운동으로서 자신의 역량을 축적하고 있었고, 광장에서 자신의 모습을 드러냈다. 장애여성운동, LGBT 운동 등은 광장을 전유하고 교차성을 선취하였으며, 광장의 의제를 선도하는 역량을 키워나갔던 것이다.

keywords
LGBT, 3.8 women’s day, Seoul Queer Culture Festival, the gender in Square, 3.8 한국여성대회, 퀴어문화축제, 장애여성공감, 광장, 젠더, 여성운동

참고문헌

1.

또하나의문화, 『또하나의문화』 10, 또하나의문화, 1994.

2.

장애여성공감, 『공감』, 장애여성공감, 1999~2017.

3.

장애여성공감, 『마침』, 장애여성공감 부설 장 애 여 성 독 립 생 활 센 터 [숨] , 2018~2020.

4.

장애여성공감, 『장애여성공감 10년 활동사』, 한울아카데미, 2010.

5.

한국여성의전화 편, 『한국여성인권운동사』, 한울, 2015.

6.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17-50쪽.

7.

성과재생산포럼, 『배틀 그라운드』, 후마니타스, 2018, 8-11쪽.

8.

전희경, 『오빠는 필요없다』, 이매진, 2008, 199쪽.

9.

천정환·정종현, 『대한민국 독서사』, 서해문집, 2018, 261-262쪽.

10.

너멀 퓨워, 김미덕 역, 『공간 침입자』, 현실문화, 2017, 9-30쪽.

11.

린 헌트, 조한욱 역, 『프랑스 혁명의 가족 로망스』, 새물결, 1999, 83-138쪽.

12.

모니크 위티그, 허윤 역, 『모니크 위티그의 스트레이트 마인드』, 행성B, 2020, 89-90쪽.

13.

Judith Butler, Notes Towards a Performative Theory of Assembly,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p.53.

14.

김미영, 「능력주의에 대한 공동체주의의 해체—능력 공과 필요의 복합평등론」, 『경제와 사회』 제84호, 비판사회학회, 2009, 256-277쪽.

15.

김성일, 「광장정치의 동학—6월 항쟁에서 박근혜 탄핵 촛불집회까지」, 『문화과학』 제89호, 문화과학사, 2017, 146-168쪽.

16.

김영찬, 「‘90년대’는 없다: 하나의 시론, ‘1990년대’를 읽는 코드」, 『한국학논집』 제59호,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5, 7-27쪽.

17.

김영찬, 「무라카미 하루키, 사라지는 매개자와 1990년대 한국문학」, 『한국학논집』 제72호,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18, 7-30쪽.

18.

김 원, 「80년대에 대한 ‘기억’과 ‘장기 80년대’」, 『한국학연구』 제36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9-49쪽.

19.

김현철, 「성적 반체제자와 공공 공간: 2014 신촌/대구 퀴어퍼레이드를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논문』, 2015, 1-105쪽.

20.

조수미, 「퀴어문화추구제 공간의 상징과 의례」, 『한국문화인류학』 제52권 3호, 한국문화인류학회, 2019, 209-272쪽.

21.

조연정, 「문학동네의 90년대와 386세대의 한국 문학」, 『한국문화』 제81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8, 221-246쪽.

22.

조 형, 「또 하나의 문화 10주년 기념 좌담 ‘따로 또 같이 하는 사회운동’」, 『또하나의문화—내가 살고 싶은 세상』 제10호, 또하나의문화, 1994, 466-476쪽.

23.

조혜정·김은실, 「또 하나의 문화, 앞으로 10년」, 『또하나의문화—내가 살고 싶은 세상』 제10호, 또하나의문화, 1994, 477-499쪽.

24.

주은우, 「자유와 소비의 시대, 그리고 냉소주의의 시작: 대한민국, 1990년대 일상생활의 조건」, 『사회와 역사』 제88호, 한국사회사학회, 2010, 307-344쪽.

25.

한윤애, 「‘축제적 전유’를 통한 공공공간의 재구성—핀란드 ‘레스토랑 데이’를 사례로」, 『공간과 사회』 제25권 1호, 한국공간환경학회, 2015, 63-94쪽.

26.

허 윤, 「1970년대 여성교양의 발현과 전화(轉化): 『女聲』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 제44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47-89쪽.

27.

홍예륜, 「지방도시의 퀴어 축제를 통해 형성된 다양성 레짐: 대구, 제주, 부산을 사례로」, 서울대 지리학과 석사논문, 2019, 46-55쪽.

28.

Crenshaw, Kimberle, “Mapping the margins: Intersectionality, identity politics, and violence against women of color”, Stanford Law Review, 1991, pp.1241-1299.

29.

서울퀴어문화축제 www.sqcf.org

30.

한국성폭력상담소 www.sisters.or.kr

31.

한국여성단체연합 www.women21.or.kr

32.

한국여성민우회 www.womenlink.or.kr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