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1950년대와 나쁜 여자의 젠더 정치학 : 강신재의 초기 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1950s and Gender politics of a bad woman : Focusing on Kang Shin-jae’s early short storie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0, v.0 no.50, pp.144-176
https://doi.org/10.15686/fkl.2020..50.144
김은하 (경희대학교)

Abstract

1950년대는 식민지기와 비교해서 수적으로 많은 여성 작가가 데뷔해 문단과 독서 시장에서 무시할 수 없는 위치를 차지하기 시작했던 여성문학의 르네상스기였다. 그러나 1950년대 여성문학은 “부르주아 여류”라는 명명(命名)의 젠더 정치로 인해 적극적으로 평가되지 못했다. 더욱이 모윤숙, 최정희, 장덕조, 손소희등 여성문학 장에서 주류를 차지한 작가들은 연성(軟性)의 힘을 동원한 전쟁에서 ‘전사로서의 남성성’을 찬미하며 전쟁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문화 활동에 나서 한반도에 냉전체제가 형성되는데 공모했다는 것도 그 이유였다. 그러나 강신재, 박경리 등 신진 여성작가들은 해방기 남녀평등의 이상이 좌절되고 성차별주의가 사회의 정상 질서인 양 작동했던 전후 냉전체제 하에서 여성이 처한 억압적 현실을 문제 삼으면서 가부장제 사회에 균열을 내는 방식으로 여성 글쓰기의 정체성을 형성해 갔다. 이 글은 ‘페미니즘 리부트’ 이후 한국 여성문학사에 대한 다시 읽기의 일환으로서 여성 작가의 ‘저자성’ 획득과 여성문학의 정전(canon)화를 염두에 두고 강신재의 초기 단편 소설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강신재는 그간 여성적 섬세함과 부르주아적 세련됨으로 여성의 운명을 그리는 여성 작가로 평가받아왔다. 그러나 작가 자신은 여성의 운명 따위에는 관심이 없으며 “인간의 생태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듯 결정적인 어떤 순간을 포착”하는 데 흥미를 느낀다고 밝힌 바 있다. 강신재는 진화심리학자처럼 경쟁과 유혹의 전략을 통해 사회의 도덕 규범을 어지럽히는 색정증적 여성들을 즐겨 그렸다. 그러나 같은 성 내 경쟁(intra-sexual competition)과 다른 성에 대한 유혹과 질투 같은 성 전략(sexual selection) 이 성공적인 짝짓기, 즉 종족 번식을 위한 투쟁과 무관하다는 점에서 강신재 소설은 진화론과 결정적으로 구별된다. 번식상의 목표와 무관한 성적 쾌락에 대한 추구는 ‘나쁜 여자’가 여성성 규범을 수행하는 것을 거부하고 가부장제 바깥에 서기 위한 여성의 해방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
Kang Shin-jae, 1950s, female writers, women’s literature, bad women, anthology, author, etc., 강신재, 1950년대, 여성작가, 여성문학, 나쁜 여자, 앤솔로지, 저자성 등

참고문헌

1.

강신재, 『희화』, 계몽사, 1958.

2.

강신재, 『여정』, 중앙문화사, 1959.

3.

강신재, 「한국 여류 작가의 위치」, 『사랑과 아픔과 진실』, 육민사, 1966, 282-3쪽.

4.

강신재, 「이별·구원·그 이력」, 『월간문학』 제607호, 월간문학사, 1971, 258쪽.

5.

강신재, 『거리에서 내 마음에서』, 평민사, 1976, 177-178쪽.

6.

강신재, 『시간 속에 쌓는 꿈』, 혜화당, 1993, 107쪽, 144쪽.

7.

강신재, 『강신재 소설 전집』(김은하 엮음), 현대문학, 2013.

8.

김병익, 『한국문단사 1908-1970』, 문학과지성사, 2001, 250쪽.

9.

김양선,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문학제도와 양식』, 소명출판, 2012, 154-181쪽, 129-153쪽.

10.

박경리, 『꿈꾸는 자가 창조한다』, 나남출판, 1994, 128-146쪽.

11.

양윤모, 「전쟁과 사랑을 통한 현실인식: 강신재론」, 『1950년대의 소설가들』, 나남커뮤니케이션스, 1994, 361쪽.

12.

여성사 연구모임 길밖세상, 『20세기 여성 사건사』, 여성신문사, 2001, 135-144쪽.

13.

이상경, 『나혜석 전집』, 태학사, 2000, 187-188쪽.

14.

임옥희, 『메트로폴리스의 불온한 신여성들: 1920년대 런던, 파리, 베를린, 모스크바를 배경으로』, 여이연, 2020, 7-20쪽.

15.

천정환·소영현·임태훈 외,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 한국 현대 문학사의 해체와 재구성』, 푸른역사, 2013.

16.

리타 펠스키, 이은경 역, 『페미니즘 이후의 문학』, 여이연, 2010, 98쪽.

17.

버지니아 울프, 이미애 역, 『자기만의 방』, 민음사, 2006, 100쪽.

18.

베티 리어든, 정희진 기획·감수·해제, 황미요조 역, 『성차별주의는 전쟁을 불러온다』, 나무연필, 2020, 10-12쪽.

19.

캐서린 H.S.문, 「한미 관계에 있어서 기지촌 여성의 몸과 젠더화된 국가」, 일레인 H. 김·최정무, 박은미 역. 『위험한 여성』, 삼인, 2001, 188쪽.

20.

김미현, 「비누 냄새와 점액질 사이의 거리」, 『젊은 느티나무: 강신재 소설선』, 문학과지성사, 2007, 427-428쪽.

21.

김은하, 「문학 정전의 해체와 재구성: 여성 글쓰기의 기원과 정체성을 찾아서」, 『여성문학연구』 제4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60-86쪽.

22.

김은하, 「유미주의자의 글쓰기와 여성 하위주체들의 욕망—강신재의 초기 단편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187~219쪽.

23.

마정윤, 「해방 후 1950년대까지의 여성관련 법제화와 축첩제 폐지운동」, 『이화젠더법학』 제8권 3호, 2016, 160쪽.

24.

박정미, 「“음행의 상습 없는 부녀”란 누구인가?: 형법, 포스트식민성, 여성 섹슈얼리티」, 『사회와역사』 제94호, 사회사학회, 2012, 261-295쪽.

25.

박정애, 「‘여류’의 기원과 정체성: 50-60년대 여성문학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1-152쪽.

26.

심진경, 「전쟁과 여성 섹슈얼리티」, 『현대소설연구』 제39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8, 74쪽.

27.

엄미옥, 「한국전쟁기 여성 종군 작가 소설 연구」, 『한국근대문학연구』 제21호, 한국근대문학회, 2010, 261-292쪽.

28.

연남경, 「현대비평의 수립, 혹은 통설의 탄생—1959년 백철과 강신재의 논쟁에 주목하며—」, 『한국문화연구』 제36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9, 39-78쪽.

29.

염무웅, 「5,60년대 남한문학의 민족문학적 위치」, 『창작과비평』 제78호, 창작과비평사, 1992, 50-64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