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Relationship of Parents and Children in River-novels(2) –New Possibility of Fatherhood Seen through Okwonjaehapkiyeo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0, v.0 no.51, pp.142-169
https://doi.org/10.15686/fkl.2020..51.142
Han Gil-Yeo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In this paper, I tried to explore new possibilities for ‘fatherhood’ through the character ‘Sosong’ in Okwonjaehapkiyeon(玉鴛再合奇緣) created in the 18th century. These days, when the debate is divided over whether fatherhood and motherhood are innate or acquired, a new generation of intimate fatherhood such as friendy father, new father, and androgynous father is emerging breaking away from the stereotyped image of ‘strict father and loving mother’. This shows that the fatherhood and motherhood can be changeable with the times. However, Sosong of Okwonjaehapkiyeon is significant because he already embodies this new fatherhood image in the 18th century when the code of clan regulation was consolidated. Just as a mother raises a child, Sosong practices self-sacrificing love after his wife died, show a relation oriented attitude to his children through horizontal empathy and communication, and takes care of all family members, including children, daughtersin- law and grandchildren. This is due to a special situation in which Sosong has involved the motherhood as a father while staying alone after his wife died. However, Okwonjaehapkiyeon is problematic in that unlike duke Lee Mun-jeong as a strrict father, Sosong, the loving father, is portrayed in a much more positive way. Furthermore, Okwonjaehapkiyeon clearly shows the longing for a new parent image by portraying female figures who are out of the conventional wisdom of motherhood of the time. Nowadays, the fact that the fatherhood and motherhood are not stuck in a ‘complete form’ but are in a ‘progressive type’ that changes with the times is gaining traction. In this reality, Okwonjaehapkiyeon has already won a new fatherhood aspect in the late Joseon Dynasty, setting a foothold for establishing an ideal paternal image in today.

keywords
대하소설, 옥원재합기연, 부성, 모성, 새로운 아버지, 자상한 아버지상, river-novel, Okwonjaehapkiyeon(玉鴛再合奇緣), fatherhood, motherhood, new father, intimate fatherhood

Reference

1.

규장각본 〈옥원재합기연〉 21권 21책(『필사본고전소설전집』 27-30(김기동 편), 아세아문화사, 1980)

2.

강성숙 역주,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4, 보고사, 2010, 1-634쪽.

3.

강성숙 역주,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5, 보고사, 2010, 1-579쪽.

4.

김경미 외 역주,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4, 보고사, 2006, 1-449쪽.

5.

김경미 외 역주,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3, 보고사, 2010, 1-843쪽.

6.

김남이 역주,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7, 보고사, 2010, 1-571쪽.

7.

김남이 역주,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8, 보고사, 2010, 1-566쪽.

8.

서경희 역주,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6, 보고사, 2010, 1-674쪽.

9.

이경하 역주,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2, 보고사, 2010, 1-889쪽.

10.

정형지 외 역주,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 보고사, 2006. 1-350쪽.

11.

조혜란 외 역주,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3, 보고사, 2006, 1-492쪽.

12.

황수연 외 역주,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2, 보고사, 2006, 1-442쪽.

13.

황수연 역주, 『18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 1, 보고사, 2010, 1-739쪽.

14.

조 형, 「여성주의 가치와 모성리더십』,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1-172쪽.

15.

루이지 조야, 이은정 역, 『아버지란 무엇인가』, 르네상스, 2009, 1-508쪽.

16.

사라 러딕, 이혜정 역, 『모성적 사유: 전쟁과 평화의 정치학』, 철학과 실천사, 2002, 1-406쪽.

17.

아드리엔 리치, 김인성 역, 『더 이상 어머니는 없다: 모성의 신화에 대한 반성』, 평민사, 1996, 1-383쪽.

18.

재클린 로즈, 김영아 역, 『숭배와 혐오: 모성이라는 신화에 대하여』, 창비, 2020, 1-307쪽.

19.

Connel, R. W., Masculinity and Power, Oxford: Blackwell, 1989.

20.

Hanlon, N ., Masculinities, Care and Equality: Identity and Nurture in Men’s Lives, Houndmills, Basingstoke, Hampshire ;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12.

21.

Haywood, Chris & Maritin Mac an Ghaill, Men and Masculinities: Theory, Research and Social Practice, Buckingham: Open University, 2003.

22.

Dermott, Esther, Intimate Fatherhood: A Sociological Analysis, London·New York: Routledge, 2008.

23.

강혜선, 「사대부 남성의 눈으로 본 17세기 여성의 삶과 생활, 그 정형성과 다양성: 『17세기 여성생활사 자료집』(보고사, 2006)」, 『한국문화연구』 제11권,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2006, 427-438쪽.

24.

김미라, 「TV매체에 재현된 새로운 남성성(masculinity)과 그 한계—주말 예능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한국콘텐츠학회, 2014, 88-98쪽.

25.

김서윤,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천상계의 특징과 의미: 모자 관계 형상화를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 제68권, 한민족어문학회, 2014, 361-390쪽.

26.

김서윤, 「〈엄씨효문청행록〉의 모자 관계 형상화 양상과 그 의미」, 『고소설연구』 제41권, 한국고소설학회, 2016, 275-309쪽.

27.

김정미·김은주, 「조선후기 아버지의 자녀양육과정을 통해 본 돌봄 담론 분석: 한문학 사료를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제34권 3호, 한국교육사상학회, 2020, 1-26쪽.

28.

나성은,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신 도구적’ 부성의 구성」,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014, 1-197쪽.

29.

박미해, 「16세기 양반가의 가족관계와 가부장권」, 『고문서연구』 제21권, 2002, 51-73쪽.

30.

박영희, 「장편가문소설에 나타난 모(母)의 성격과 의미」, 『한국고전소설과 서사문학』 상(양포 이상택교수 환갑기념논총), 집문당, 1998, 263-282쪽.

31.

양민정, 「18세기 후반 대하장편가문소설의 한 유형적 특징—〈옥원재합기연〉, 〈옥원전해〉를 중심으로」, 『한국학보』 제5권, 일지사, 1994, 52-105쪽.

32.

엄기영, 「〈옥원재합기연〉의 작품세계와 연작관계 연구」,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01, 1-77쪽.

33.

이동옥, 「아버지 양육 담론의 한계와 대안적 부성」, 『젠더와 문화』 제7권 2호,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4, 174-180쪽.

34.

이수정·이승하, 「아버지 상의 사적(私的) 변화 양상—90년대 이후 소설을 중심으로」, 『비평문학』 제36권, 한국비평문학회, 2010, 191-220쪽.

35.

이은경,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어머니의 양상과 의미」, 『개신어문연구』 제21권, 개신어문학회, 2004, 149-181쪽.

36.

이지영, 「조선시대 장편한글소설에 나타난 ‘못된 아버지’와 ‘효자 아들’의 갈등」, 『고소설연구』 제40권, 한국고소설학회, 2015, 83-109쪽.

37.

이지하, 「〈옥원재합기연〉 연작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1, 1-188쪽.

38.

이지하, 「여성주체적 소설과 모성이데올로기의 파기」,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9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4, 137-168쪽.

39.

장시광, 「대하소설의 여성반동인물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4, 1-202쪽.

40.

정병설, 「〈옥원재합기연〉 작가 재론: 조선후기 여성소설가의 한 사례」, 『관악어문연구』 제22권, 서울대 국문과, 1997, 317-332쪽.

41.

정병설, 「〈옥원재합기연〉의 여성소설적 성격」, 『한국문화』 제21권,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1998, 45-62쪽.

42.

정선희, 「17·18세기 국문장편소설에서의 부모–자녀 관계 연구」, 『한국고전연구』 제21권, 한국고전연구학회, 2010, 169-200쪽.

43.

조동일, 「한국고전소설에 나타난 부자(父子) 갈등」, 『일본연구』 제15권,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00, 105-113쪽.

44.

조윤경, 「조선중기 재지사족 가문 아버지들의 자녀양육에 대한 검토」, 『인문학연구』 제82권,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191-213쪽.

45.

조윤경, 「‘아버지 자녀 양육서’에 내재한 젠더 질서–‘아버지됨’과 ‘근대적 남성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제22권, 부산대 여성연구소, 2012, 35-72쪽.

46.

조윤경, 「한국 사회의 구조적 변동과 아버지 양육의 변화」, 『한국융합인문학』 제2권 1호, 한국융합인문학회, 2014, 83-112쪽.

47.

조한혜정, 「여성 정책의 실질적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시론」, 『한국 여성 정책의 뉴 패러다임 정립』, 여성부, 2004.

48.

조혜란, 「〈유효공선행록〉에 나타난 가장권(家長權) 행사의 문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30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5, 155-184쪽.

49.

탁원정, 「국문장편소설 〈완월회맹연〉 속 아버지 형상과 그 의미—자식의 혼사 과정에서 보이는 성향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제45권, 한국고전연구학회, 2019, 5-32쪽.

50.

최길용, 「옥원재합기연」의 작자고」, 『조선조 연작소설 연구』, 아세아 문화사, 1992.

51.

최호석, 「〈옥원재합기연〉에 나타난 윤리적 갈등」, 『고소설연구』 제15권, 한국고소설학회, 2003, 117-138쪽.

52.

한길연, 「대하소설의 의식성향과 향유층위에 관한 연구—〈창란호연록〉·〈옥원재합기연〉·〈완월회맹연〉을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5, 1-276쪽.

53.

한길연, 「장편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어머니의 존재방식과 모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4권,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223-226쪽.

54.

한길연, 「18세기 문제작 〈옥원재합기연〉 연작의 재해석—‘타자의 서사’와 ‘포월의 미학’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제48권, 한국고전문학회, 2015, 331-366쪽.

55.

한길연, 「대하소설에 나타나는 부모–자녀 관계 연구—잘못한 자식에 대한 부/모의 태도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제189권, 국어국문학회, 2019, 269-303쪽.

56.

홍현성, 「〈보은기우록〉 속 아버지 모습과 문제적 부성(父性)의 의미」, 『돈암어문학』 제32권, 돈암어문학회, 2017, 107-132쪽.

57.

Brandth, B. & Kvande, E., "Masculinity and child care: the reconstruction of fathering", The Sociological Review, 46(2), 1998.

58.

Elliott, K ., "Caring M asculinities : Theorizing an Emerging Concept", Men and Masculinities, 2015.

59.

Pleck, J.H., "American Fathering in Historical Perspective", Ed., M. Kimmel, Changing Men : New Directions in Research on Men and Masculinity, NewburyPark : SAGE, 1987.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