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이 글은 해방기 광장과 거리의 대중정치 장에서 여성들이 대대적으로 등장했음을 말한다. 동시에 이같은 여성봉기가 여성작가에 의해서 잘 재현되지 못했음을 지적했다. 이 간극을 사유하기 위해 우선 해방의 소용돌이에서 여성이 단체로 집결하는 운동의 순간을 최대한 재구했다. 다음으로 이 기록들을 당대의 관련 서사와 교차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이때 오히려 탈식민 민족/국가의 틈바구니에서 여성대중이 내세워지기도 하지만, 전략적으로 말해지지 않기도 했음을 드러낼 것이다. 해방기 대중운동의 앙등기에서 여성대중의 봉기는 좌우남북의 급박한 정세를 반영했다. 좌우 여성들의 차이가 폭발적으로 가시화하는 동시에, 이들이 연대한 공창제폐지운동의 맥락에서 기생들의 파업은 거의 주목되지 못했다. 또한 우파 여성이 승기를 쥔 이후, 여성들의 쌀배급 데모는 종종 사회주의자들의 시위로 진압됐다. 해방의 기운을 드러내고자 하는 좌파적 입장에서 여성봉기는 군집적으로만 재현됐고, 탈/식민 문학 장에서 여성작가들은 당대 여성들의 집단적 목소리를 구체적으로 서사화할 수 없었다. 이는 탈/식민 대중을 둘러싼 속성, 즉 변혁의 원천이자 잠재적 혼란 사이의 모순을 그대로 보여준다.
『경향신문』
『동아일보』
『매일신보』
『새한민보』
『서울신문』
『자유신문』
『조선일보』
『녹십자』
『민성』
『백민』
『신천지』
『여성공론』
『인민』
『재건』
『학병』
『혁진』
구명숙 외 편, 『한국 여성문학 자료집 2 해방기 여성 단편소설 Ⅰ』, 역락, 2011, 114-128, 190-203쪽.
김말봉, 「가인의 시장」, 『부인신보』, 1947.7.1.-1948.5.8.
김말봉, 「낙엽과 함께」, 『신여원』, 1949.3.
박화성, 「광풍 속에서」, 『서울신문』, 1948.7.17.-23.
박화성, 「성좌는 부른다」, 『연합신문』, 1949.1.23.-29.
소정자, 『내가 반역자냐』, 방아문화사, 1966, 26-29쪽.
최영희 편, 『격동의 해방3년』, 한림대아시아문화연구소, 1996.8, 32, 460쪽.
김은경, 『학생문화사—해방에서 4월 혁명까지』, 서해문집, 2018, 103-115쪽.
류진희, 「해방기 여성작가들의 문학적 선택」,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오혜진외, 민음사, 92-111쪽.
서정자, 「박화성의 해방 후 소설과 역사의식」, 『박화성, 한국문학사를 관통하다』, 서정자·야마다 요시코·송명희 편저, 푸른사상, 2013, 172-199쪽.
이승희, 『한국현대여성운동사』, 백산서당, 1994, 140-156쪽.
이임하, 『조선의 페미니스트』, 철수와영희, 2019, 179-214쪽.
이임하, 『해방공간, 일상을 바꾼 여성들의 역사』, 철수와영희, 2015, 270-289쪽.
고 원, 「대중이란 무엇인가: 홉스와 스피노자의 정치사상 비교」, 『영국연구』 제16호, 영국사학회, 2006, 29-48쪽.
김경연, 「‘삐라를 든 여자들’의 냉전—해방/전쟁기 여성작가 김말봉의 행로와 문화냉전의 젠더정치」, 『한민족문화연구』 제68권, 한민족문화학회, 2019.12, 165-224쪽.
김주리, 「해방기의 변화와 여성 교양인의 운명—김남천의 연작소설 〈사랑의 수족관〉과 〈1945년 8.15〉에 대하여」, 『여성문학연구』 제2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6, 169-195쪽.
류진희, 「해방기 탈식민 주체의 젠더전략: 여성서사의 창출을 중심으로」, 성균관대 동아시아학과 박사논문, 2015, 187-207쪽.
문경란, 「미군정기 한국여성 운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석사논문, 1988, 32-136쪽.
박지영, 「여성 혁명가의 귀환, 그 이후—해방기 여성혁명가의 형상과 가족서사」, 『여성문학연구』 제2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0.12, 181-223쪽.
배상미,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넘어서려는 연합적 정치들—해방기 최정희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4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4, 64-90쪽.
손희정, 「촛불혁명의 브로맨스—2010년대 한국의 내셔널 시네마와 정치적 상상력」, 『민족문학사연구』 제68호, 민족문학사학회, 2018.12, 521-548쪽.
양동숙, 「해방 후 우익 여성단체의 조직과 활동연구(1945~50)」, 한양대학교 사학과 박사논문, 2010, 24-164쪽.
이성우, 「사회주의 여성운동가 고명자의 생애와 활동」, 『인문학연구』 제84호,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2011, 247-274쪽.
이승희, 「한국여성운동사연구: 미군정기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박사논문, 1991, 58-129쪽.
이혜령, 「그녀와 소녀들: 일본군 ‘위안부’ 문학/영화를 커밍아웃 서사로 읽기」, 『반교어문연구』 제47호, 반교어문학회, 2017.12, 247-284쪽.
조은정, 「‘10월항쟁’의 역사화 투쟁과 문학적 표상—조선문학가동맹의 1947년 위기 극복의 방법론」, 『한중인문학연구』 제46호, 한중인문학회, 2015, 47-72쪽.
진태원, 「대중의 정치란 무엇인가?—다중의 정치학에 대한 스피노자주의적 비판」, 『철학논집』 제19호,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09, 163-199쪽.
최지현, 「해방기 공창폐지운동과 여성 연대 연구—김말봉의 『화려한 지옥』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1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6, 267-29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