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Representation of Women Psychosis in the 60s and Hysteria : Medical Knowledge as Gender Power and Sexualized “Inner”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0, v.0 no.51, pp.221-250
https://doi.org/10.15686/fkl.2020..51.221
Song, In Hwa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은 1962년 한국일보 현상모집에 당선된 장편소설 『회전목마』를 대상으로 60년대 여성 정신병이 문학작품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당대 의학지식과의 관계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신의학지식의 체계화와 대중화로 정신병에 대한담론이 확장되었던 60년대 작품에 역동정신의학으로서의 정신분석과 일제 식민지기 우생학, 그리고 가부장이데올로기가 여성을 어떻게 중첩적으로 규율하고 단속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작품에서 여성은 공동체를 위협하는 대상으로 과잉 성애화 되고 정신병을 가진 여성들은 초자아에 의해 관리되지 못한 미성숙한 아노미로 재현된다. 또한 정신병을 세대를 통해 유전되는 죄로 규정함으로써 우생학적 처벌의 필연성을 강조한다. 여성이 60년대 기초 공동체인 가족을 위협하는 공포의 대상으로 재현된 것으로 일제 시기 우생학과 최신 서구 의학지식인 정신분석이 이중으로 개입하여 여성을 억압한다. 나아가 여성 정신병의 원인과 구제 방식에서도 정신분석이 가부장이데올로기와 결합하여 여성을 공격한다. 정신병의 원인을 금기를 어긴 사촌과의 사랑 때문인 것으로 제시하고 문제의 초점을 병리적 질병이 아닌 부계 윤리의 파계에 맞춤으로써 전통과 집단의 질서를 이탈한 죄를 정신병의 응징이라는 방식으로 여성에게 전가한다. 낭만적 사랑에 의해 아버지를 배반하고 개인적 사랑과 결혼을 실행한 아들의 죄의식이 작동한 것으로 죄의 원인을 여성에게 전가함으로써 여성의 정체성은 과잉 에로스화 된다. 정신분석학이 가부장이데올로기와 결합되어 유혹하는 에로스로 여성을 성애화하는 것으로 이러한 성차별은 구제 방식에서도 확인된다. 여성이 자살, 살해, 병사로 죽거나 수녀원에 스스로를 가두는 자아 부정을 통해 생명을 보존하는 것과달리 남성은 죄의식을 적절하게 억압하고 승화시킴으로써 문화와 예술을 창조하는 고뇌하는 지성으로 나타난다. 남성은 리비도를 관리하는 성숙한 문화적 창조자로, 여성은 가족 공동체를 위협하는 에로스 과잉의 미성숙한 아노미적 존재로 재현된다. 미성숙하고 성애로 채워진 여성의 내면은 언제든 공동체를 위협하는감시와 처벌의 대상이 되는 것이고 정신의학은 가부장이데올로기, 우생학 등과 중첩적으로 결합하여 젠더화된 과학/지식으로 체계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keywords
Woman psychosis, Psychoanalysis, Eugenics, Patriarchalideology, Sexualization, Inner, Romantic love, Guilt, Punishment, Sublimation, Genderization, Science/ Knowledge, 여성 정신병, 정신분석학, 우생학, 가부장이데올로기, 성애화, 내면, 낭만적 사랑, 죄의식, 처벌, 젠더화, 과학/지식

Reference

1.

이건영, 『회전목마』, 문예출판사, 1968.

2.

『사상계』, 1961.1, 1963.12~1964.11.

3.

권보드레, 천정환, 『1960년을 묻다: 박정희 시대의 문화정치와 지성』, 천년의 상상, 2012, 1-663쪽.

4.

김창엽 외, 『나는 ‘나쁜’ 장애인이고 싶다』, 삼인, 2002, 1-312쪽.

5.

대한신경정신의학회, 『한국정신의학 100년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9, 1-386쪽.

6.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정신과학교실 100년을 넘어』, 2016, 1-91쪽.

7.

정창권, 『근대 장애인사—장애인 소외와 배제의 기원을 찾아서』, 사우, 2019, 1-334쪽.

8.

Antoine Vergote, 김성민 역, 『죄의식과 욕망』, 학지사, 2009, 1-468쪽.

9.

에드워드 쇼터, 최보문 역, 『정신의학의 역사』, 바다출판사, 2009, 1-541쪽.

10.

장-다비드나지오, 표원경 역, 『히스테리—불안을 욕망하는 사람』, 한동네, 2017, 1-253쪽.

11.

킴 닐슨, 김승섭 역, 『장애의 역사』, 동아시아, 2020, 1-319쪽.

12.

크리스니나 폰 브라운, 엄양선·윤명숙 역, 『히스테리』, 여이연, 2003. 1-492쪽.

13.

김양선, 「195·60년대 여성–문학의 배치—『사상계』 여성문학 비평과 여성작가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2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127-163쪽.

14.

김양선, 「전후 여성 지식인의 표상과 존재방식—박경리의 『표류도』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45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9, 235-256쪽.

15.

김은정, 「질병의 의미를 중심으로 이청준의 〈퇴원〉 읽기」, 『우리말글』 제77호, 우리말글학회, 2018, 245-271쪽.

16.

김은하, 「중산층 가정소설과 불안의 상상력: 강신재의 장편 연재소설을 대상으로」, 『대중서사 연구』 제22호, 대중서사학회, 2009, 115-145쪽.

17.

김정관, 「권위주의적 사회구조와 소설의 형식」, 『반교어문연구』 제32호, 2012, 463-491쪽.

18.

송인화, 「1960년대 여성소설과 ‘낭만적 사랑’의미—강신재와 한무숙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1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 221-250쪽.

19.

송인화, 「강신재 소설의 여성성과 윤리성의 문제」, 『한국문예비평연구』 제19호,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6, 133-158쪽.

20.

송인화, 「1960년대 『여원』 연재소설 연구—연애담론의 사회, 문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19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293-336쪽.

21.

심영덕, 「황순원 소설 「별」에 나타난 ‘소외’ 양상」, 『한민족어문학』 제74호, 한민족어문학회, 2016, 471-499쪽.

22.

심지현, 「김승옥 소설의 정신분석적 연구—〈생명연습〉을 중심으로」, 『한국말글학』 제25호, 한 국말글학회, 2008, 67-89쪽.

23.

양선규, 「황순원 소설의 분석심리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1992, 1-192쪽.

24.

우찬제, 「李淸俊 小說에 나타난 不安 意識 연구」, 『어문교육』 제33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189-212쪽.

25.

이승준,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정신분석 연구—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현대 소설연구』 제17호, 현대소설학회, 2002, 347-367쪽.

26.

임지연, 「1960-70년대 한국 정신의학 담론 연구–정신위생학에서 현대 정신의학으로–」, 『의학사』 제26권 2호, 대한의사학회, 2017, 181-214쪽.

27.

정원채,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웃음의 미학」, 『현대소설연구』 제38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8, 387-412쪽.

28.

최애순, 「1960년대 정신분석의 도입과 근대적 공포 코드의 전환: 이청준 소설의 ‘정신병자’와 정신분석 치료의 충돌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제76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273-311쪽.

29.

최윤경, 「여성의 정신건강에 대한 고찰: 젠더 편향과 여성 고유의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젠더와 문화』 제3권 1호,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0, 203-232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