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the Children's Life-Writing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0, v.0 no.51, pp.264-283
https://doi.org/10.15686/fkl.2020..51.264
Kang Do-He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keywords

Reference

1.

석정남, 『공장의 불빛』, 일월서각, 1984.

2.

유인성 편, 『꿈이 있는 교실』, 지식산업사, 1987, 140쪽.

3.

이오덕, 『글짓기 교육—이론과 실제』, 아인각, 1965, 5쪽.

4.

이오덕, 『삶을 가꾸는 글쓰기 교육』, 한길사, 1984, 48-49쪽.

5.

이오덕, 「시정신과 유희정신」, 『시정신과 유희정신』, 창작과비평사, 1977, 185쪽.

6.

이오덕, 『아동시론』, 세종문화사, 1973, 25쪽.

7.

이오덕, 『이오덕 일기 1』, 양철북, 2013, 103쪽.

8.

이오덕 편, 『우리반 순덕이』, 창작과비평사, 1984, 87쪽.

9.

이오덕 편, 『일하는 아이들』, 청년사, 1978, 4쪽; 12쪽.

10.

채수명, 채승석 역, 『생명과 희망』, 예찬사, 1986, 46쪽.

11.

「소년문단」, 『소년』 제1호, 신문관, 1908, 75쪽

12.

『어린이』 제2호, 1924, 35쪽.

13.

안건혁, 「어린이글 出版界 인기」, 『경향신문』, 1987.3.5.

14.

「全대통령, 민방위대 창설기념식 유시 “KAL機 피격사건 국력 신장 위한 교훈”」, 『매일경제』, 1983.9.22.

15.

박붕배, 『한국국어교육전사上』,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87, 366-376쪽.

16.

가라타니 고진, 박유하 역, 『일본 근대문학의 기원』, 도서출판b, 2004, 161-188쪽.

17.

도날드 위니캇, 이재훈 역, 『놀이와 현실』,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31쪽.

18.

레이먼드 윌리엄스, 성은애 역, 『기나긴 혁명』, 문학동네, 2008, 71쪽.

19.

마리아 미즈, 최재인 역,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갈무리, 2014, 238-245쪽.

20.

자크 랑시에르, 양창렬 역, 『무지한 스승』, 궁리, 2008, 221쪽.

21.

자크 랑시에르, 진태원 역, 『불화』, 길, 2015, 71-81쪽.

22.

주디스 버틀러, 윤조원 역, 『위태로운 삶』, 필로소픽, 2018, 56쪽.

23.

파울로 프레이리, 성찬성 역, 『페다고지』, 한마당, 1995, 33-42쪽.

24.

프리모 레비, 이소영 역, 『휴전』, 돌베게, 2010, 34-35쪽.

25.

필립 아리에스, 문지영 역, 『아동의 탄생』, 새물결, 2003.

26.

Ranciere, Jacques, Proletarian Nights, New York: Verso, 2012, pp.9-10.

27.

김대성, 「역사적 합창으로서의 노동자 글쓰기」, 『문화과학』 제90호, 문화과학사, 2017, 215-235쪽.

28.

배하은,「1980년대 문학의 수행성 연구—양식과 미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98-112쪽.

29.

신홍범, 「허구시대의 논픽션의 의미」, 『창작과비평』 제43호, 창작과비평사, 1977, 164-171쪽.

30.

오자은, 「‘문학 여공’의 글쓰기와 자기 정체화」, 『한국근대문학연구』 제37호, 한국근대문학회, 2018, 7-52쪽.

31.

천정환, 「1980년대 문학·문화사 연구를 위한 시론(1)—시대와 문학론의 ‘토픽’과 인식론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제56호, 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389-416쪽.

32.

천정환, 「그 많던 ‘외치는 돌멩이’들은 어디로 갔을까—1980~90년대 노동자문학회와 노동자 문학」, 『역사비평』 제106호, 역사비평사, 2014, 173-205쪽

33.

한기형, 「최남선의 잡지 발간과 초기 근대문학의 재편—『소년』, 『청춘』의 문학사적 역할과 위상」, 『대동문화연구』 제45호,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4, 221-260쪽.

34.

허재영, 「국어과에서의 쓰기교육 변천 연구—근대계몽기로부터 건국기까지의 쓰기교육」, 『어문론총』 제42호, 한국문학언어학회, 2005, 99-134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