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Writing counter affect persistently, against the sexual violence negationism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2, pp.230-262
https://doi.org/10.15686/fkl.2021..52.230
Kwon Myoung A

Abstract

이 연구는 『김지은입니다』를 한국 사회에서 성폭력 부정주의가 어떻게 집단적으로 조직되는가를 공개적으로 증언한 정치적 텍스트로 해석하고 자리매김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이른바 ‘진보정치 집단’ 출신의 광역 단체장 성폭력 사건에 대한논의를 비판하고 이 사태를 역사적이고 이론적으로 다루기 위한 문제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세부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김지은입니다』를 통해 민주화 세대의 지배적 정동과 정동 정치가 성폭력을 산출하는 조직 구조를 어떻게 구성하고 재생산하는지를 밝힌다. 둘째, 진보 집단 출신 정치인 중심의 조직 구도에서 노동 구조는 신분제에 가까운 노예화에 기반하고 있음에 주목고자 한다. 이런 조직 구조는 이중 노동 시장 이론과 일치한다. 셋째, 광역 단체장 성폭력 사건은 ‘진보 정치’ 집단의 ‘노동’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와 관련이 있다. 넷째, 진보 집단의 정파주의와 민주화 세대의 정동을극단적인 진영 대립의 원인으로 살펴본다. 성폭력 부정주의 연구는 우리를 대안 정치 이념이자 주체로서 반차별 정치의 이념과 주체가 형성되는 생생한 대안 정치로 이끈다. 오래된 정동 정치를 무력화하는 대안 정동의 현장이 바로 성폭력 부정주의 연구의 현장이다.

keywords
김지은입니다, 성폭력 부정주의, 정파주의, 부인의 수사, 끈질김, 대안 정동, 반차별 정치, negationism, denialism, sexual violence negationism, “I’m Kim Ji-eun”, anti- discrimination politics, writing counter affect, dominant affect system of ‘democratic mouvenent generations’

Reference

1.

김지은, 『김지은입니다: 안희정 성폭력 554일간의 기록』, 봄알람, 2020, 1-384쪽.

2.

권명아, 「사건 이후의 인간학」, 인문학협동조합, 『팽목항에서 불어오는 바람』, 현실문화연구, 2015, 39-76쪽.

3.

권명아, 「젠더·어펙트 연구에서 연결성의 문제: 데이터 제국의 도래와 ‘인문’의 미래」, 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 연구소, 『약속과 예측』, 산지니, 2021, 125-169쪽.

4.

김숨, 『숭고함은 나를 들여다보는거야』, 현대문학, 2018, 7-210쪽.

5.

부산성폭력상담소, 「2019년도 2차 피해 사례 분석 및 법정 내 2차 가해 근절을 위한 제언」, 부산성폭력상담소 토론회 자료집, 2019, 14-15쪽.

6.

최윤정, 『산업재해로서의 직장 내 성희롱』, 푸른사상, 2019, 29-30쪽.

7.

Ahmed, Sara, Willful subject, North Carolina: Duke University Press, 2014, pp.1-204.

8.

권명아, 「신냉전 질서의 도래와 혐오발화/증오 정치 비교역사 연구」, 『역사문제연구』 제20호, 역사문제연구소, 2016, 11-45쪽.

9.

권명아, 「여성 살해 위에 세워진 문학/비평과 문화산업」, 『문학과 사회』 제121호, 문학과지성사, 2018, 140-167쪽.

10.

김명희,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부인(denial)의 정치학」, 『한국여성학』 제33호, 한국여성학회, 2017, 240쪽.

11.

김양선, 「70년대 노동현실을 여성의 목소리로 기억/기록하기: 여성문학(사)의외연 확장과 70년대 여성노동자 수기」, 『여성문학연구』 제3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7-38쪽.

12.

김은하, 「여성들의 정치 혁명과 페미니스트 팸플릿으로서 글쓰기: 박완서의1980년대 여성해방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4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7-36쪽.

13.

김효영, 「미투운동에서 객관적 진실의 딜레마: 안희정 사건 관련 담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8, 1-144쪽.

14.

배하은, 「흔들리는 종교적·문학적 유토피아: 1970~1980년대 기독교 사회운동의 맥락에서 살펴 본 노동자 장편 수기 연구」, 『상허학보』 제56호, 상허학회, 2019, 401-443쪽.

15.

안지영, 「‘여공’의 대표 (불)가능성과 민주주의의 임계점—1970~1980년대 여성–노동자들의 수기를 중심으로」, 『상허학보』 제55호, 상허학회, 2019, 381-420쪽.

16.

오자은, 「‘문학 여공’의 글쓰기와 자기 정체화」, 『한국근대문학연구』 제19호, 한국근대문학회, 2018, 7-52쪽.

17.

이선미, 「‘여성’의 사회적 해석과 1976년의 박완서 소설—《휘청거리는 오후》의 대중성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제51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571-611쪽.

18.

이승윤 외, 「여성은 왜 외부자로 남아 있는가?」, 『한국사회정책』 제23호, 한국사회정책학회, 23(2), 2016, 201-237쪽.

19.

정고은, 「2015~2016년 페미니즘 출판/독서 양상과 의미」, 『사이間SAI』 제22호,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7, 167-198쪽.

20.

허윤, 「광장의 페미니즘과 한국문학의 정치성」, 『한국근대문학연구』 제19호, 한국근대문학회, 2018, 123-151쪽.

21.

Zarzycka, Marta and Domitilla Olivieri, “Affective encounters: tools of interruption for activist media practices”, Feminist Media Studies, Routledge, 2017, p.527-534.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