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non)political collusion between historical films and Korean-style melodrama: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female characters in the 5·18 films in the 2000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2, pp.202-229
https://doi.org/10.15686/fkl.2021..52.202
Jeong, Ye-I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May 18 films have changed their narratives affecting by changes in the political landscape of Korean society. This article criticizes the capitalized male-centered history of historical films, including the May 18 films, focusing on “The Old Garden”(2007) and “A Taxi Driver”(2017). Since the 2000s, the representation of national violence cases has been processed with a newly emerged way of writing history reflecting changes in the socio- cultural landscape and public perception. In particular, the May 18 films have intended to reflect the point of view that describes its national violence as nonlinear history by emphasizing a mentalité of individual who was placed on the national violence. During the process, May 18th was sealed as the past, and the parties of the incident were otherized. This article points out how the process links to the narrative of the May 18 films. Since the 2000s, the May 18 films have constructed the two parties of “Knower” and “Doesn’t knower” and highlighted it by setting up a melodramatic heterosexual relationship in 2007 and by building up a men solidarity or Father-daughter relationship in 2017, respectively. Through these Korean Melodramatic setups, the national violence was reorganized based on the intimate relationships presumed as non-political, whilst female characters assisted in the capitalized male-centered history as over-represented figures or eliminated ones. Therefore,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presenting methods of female characters, this article identifies the possibility of ‘sharing and owning a violent incident’

keywords
The Old Garden, A Taxi Driver, May 18 film, historical film, representation of women, paternalism, Korean melodrama, 오래된 정원, 택시운전사, 5·18 영화, 역사영화, 여성재현, 가부장, 한국형 멜로드라마

Reference

1.

영화 「박하사탕」

2.

영화「화려한 휴가」

3.

영화「오래된 정원」

4.

영화「스카우트」

5.

영화「택시운전사」

6.

사카이 나오키, 최정옥 역, 『일본, 영상, 미국: 공감의 공동체와 제국적 국민주의』, 그린비, 2008, 199-238쪽.

7.

오카 마리(岡真理), 김병구 역, 『기억·서사』, 소명출판, 2004, 3-194쪽.

8.

벤 싱어, 이위정 역, 『멜로드라마와 모더니티』, 문학동네, 2009, 9-436쪽.

9.

피터 브룩스, 이승희·이혜령·최승연 역, 『멜로드라마적 상상력: 발자크, 헨리 제임스, 멜로드라마, 그리고 과잉의 양식』, 소명출판, 2013, 3-58쪽.

10.

강현아, 「5·18 민중항쟁 역사의 양면성」, 『여성이론』 제3집,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0, 120-148쪽.

11.

권은선, 「멜로드라마: 눈물과 시대의 이야기」, 문재철 외, 『대중영화와 현대사회』, 소도, 2005, 49-66쪽.

12.

김진실, 「‘오월 광주’의 영화콘텐츠화 연구: 「박하사탕」, 「화려한 휴가」, 「택시운전사」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1-122쪽.

13.

박명진, 「한국 영화의 역사 재현 방식: 광주 항쟁 소재 영화를 중심으로」, 『국제어문』 제41호, 국제어문학회, 2007, 217-254쪽.

14.

배경민, 「역사영화의 정치적 무의식 연구: 1987년 이후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156쪽.

15.

배주연, 「5·18 민주화운동의 영화적 재현: 광주 비디오를 넘어 다시, 광주로」, 『문학들』 제59호, 심미안, 2020, 41-58쪽.

16.

손희정, 「21세기 한국 영화와 네이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203쪽.

17.

손희정, 「촛불혁명의 브로맨스: 2010년대 한국의 내셔널 시네마와 정치적 상상력」, 『민족문학사연구』 제68집,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521-548쪽.

18.

이승희, 「‘한국적 신파’ 영화와 ‘막장’ 드라마의 젠더: 2000년대 전후 ‘통속’의 두경로」, 오혜진 외, 『원본 없는 판타지: 페미니스트 시각으로 읽는 한국 현대문화사』, 후마니타스, 2020, 287-323쪽.

19.

이영재, 「서평: 유령을 보(지 않는)는 사람–일본인은 분절가능하며, 분절해도 좋은가–酒井直樹 『日本/映像/米國–共感の共同體と帝國的國民主義』(청토사(靑土社), 2007)」, 『사이(SAI)』 제3권,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7, 351-369쪽.

20.

이현승·박영석, 「2000년대 한국영화에서 재현된 국가폭력의 역사에 대한 고찰」, 『영화연구』 제58호, 한국영화학회, 2013, 333-360쪽.

21.

이현진, 「5·18영화의 전개와 재현양상 연구: 영화의 역사서술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07쪽.

22.

이혜령, 「빨치산과 친일파: 어떤 역사 형상의 종언과 미래에 대하여」, 『대동문화연구』 제100권,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445-475쪽.

23.

조혜영, 「항쟁의 기억 혹은 기억의 항쟁: 5·18의 영화적 재현과 매개로서의 여성」, 『여성문학연구』 제1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139-174쪽.

24.

주유신, 「눈물과 폭력: 남성 멜로와 액션에서의 남성 정체성과 육체」, 『영상예술연구』 제8권, 영상예술학회, 2006, 61-89쪽.

25.

천정환, 「‘역사전쟁’과 역사영화 전쟁」, 『촛불 이후, K –민주주의와 문화정치』, 2020, 188-231쪽.

26.

최정기, 「과거청산에서의 기억 전쟁과 이행기 정의의 난점들: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보상과 피해자의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제14권 제2호, 한국지역사회학회, 2006, 3-22쪽.

27.

허윤, 「‘딸바보’ 시대의 여성혐오: 아버지 상(father figure)의 변모를 통해 살펴본 2000년대 한국의 남성성」, 『대중서사연구』 제22권 제4호, 대중서사학회, 2016, 279-309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