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그 여자의 상사뱀, 그 남자의 상사뱀

His Lovesick Serpent and Her Lovesick Serpent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3, pp.194-222
https://doi.org/10.15686/fkl.2021..53.194
이지영 (충북대학교)

초록

이 글은 화자의 성별에 따른 상사뱀 설화의 구연 양상을 비교하고, 이를 성적 욕망에 대한 남녀의 인식 차이로 해석하였다. 상사뱀 설화는 상사병으로 죽은 남자가 뱀이 되어 사랑하는 여자의 몸에 들러붙는다는 남성 상사뱀 설화와, 남자를 사랑한 여자가 죽어 뱀이 되는 여성 상사뱀 설화로 나뉜다. 남성뱀 설화의 여성 화자는 상사뱀이 붙은 여성에 공감하면서 구술하는 반면, 남성 화자는 상사뱀에게공감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남성 상사뱀을 미리 방비한 이야기는 여성 화자들만구연했는데, 상사뱀에 대한 여성들의 혐오감이 표현된 것이다. 남성의 배신으로여성이 뱀이 되는 유형에서, 여성 화자는 약속을 저버린 남성에 대한 분노와 떠난남성을 기다리는 여성의 기다림을 자세하게 서술하였는데, 남성 화자는 여성의감정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았다. 여성이 남성을 짝사랑하다 뱀이 되는 유형은 남성 화자의 구연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남성 화자들은 여성의 구애를 거부하면 안된다는 시각을 보였다. 여성 화자가 구연한 남성뱀 설화에서 특히 뱀에 대한 혐오감이 두드러진 이유는 여성이 성폭행에 취약한 현실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반면, 남성 화자들은 여성의 성적 욕망을 포용해야 한다는 견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조선시대 야담집에 나타난 사대부 남성의 시각과 유사하다. 남성이 향유한 텍스트에 표현된 여성의 성적 욕망은 여성이 아닌 남성의 욕망을 투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
상사뱀, 화자의 성별, 남성 화자, 여성 화자, 일방적 사랑, 성적 욕망, 욕망의 투사, 상사뱀에 대한 혐오감, tales of lovesick-serpent, Sangsabaem, storyteller’s gender, female story teller, male story teller, one-sided love, sexual demand, aversion to serpent, projection of desire

Abstract

Tales of lovesick serpents (sangsabaem) are divided into male snake tales and female snake tales. In male snake tales, men die for one-sided love and stick themselves to a woman’s body after becoming a snake. Female storytellers tend to sympathize with the woman who the snake sticks himself to, while male storytellers tend to sympathize more with the man who became a snake. Tales of a snake retreating due to a woman’s tricks were told only by women, and this reflects women’s aversion to lovesick serpents. In female snake tales, women who love men become snakes. Tales of women’s one-sided love were told mostly by male storytellers, and male storytellers expressed a view that woman’s sexual demands should be accepted. Women’s aversion to male serpents is linked to the real existence of the threat of sexual assault, while men who do not reject female snakes project their sexual desire through female snake tales.

keywords
상사뱀, 화자의 성별, 남성 화자, 여성 화자, 일방적 사랑, 성적 욕망, 욕망의 투사, 상사뱀에 대한 혐오감, tales of lovesick-serpent, Sangsabaem, storyteller’s gender, female story teller, male story teller, one-sided love, sexual demand, aversion to serpent, projection of desire

참고문헌

1.

『한국구비문학대계』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1-850쪽.

2.

『한국구비문학대계』5-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1-726쪽.

3.

『한국구비문학대계』6-1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1-668쪽.

4.

村山智順, 노성환 역, 『조선의 귀신』, 민음사, 1990, 1-516쪽.

5.

이우성·임형택 편역,『이조한문단편집1』, 창작과비평, 2018, 1-470쪽.

6.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yoksa.aks.ac.kr)

7.

한국고전종합DB, (db.itkc.or.kr)

8.

한국구비문학대계(gubi.aks.ac.kr)

9.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www.koreanhistory.or.kr)

10.

강미정, 「상사뱀 설화와 영화 「페인티드 베일」의 비교를 통해 본 일방적 사랑의문제」, 『문학치료연구』 제28호, 한국문학치료학회, 2013, 165-197쪽.

11.

강성숙, 「성 정치로 본 상사뱀 설화」, 『고전문학연구』 제39호, 한국고전문학회, 2011, 161-194쪽.

12.

강성숙, 「연결불가능한 신체, 상사뱀의 정치지형」, 『이화어문논집』 제53호, 이화어문학회, 2021, 79-118쪽.

13.

강진옥, 「상사 설화의 ‘몸 바꾸기’를 통해 본 욕망과 규범의 문제」, 『고전문학연구』 제18호, 한국고전문학회, 2000, 115-148쪽.

14.

김영희, 「구전이야기 현지조사연구의 문제와 시각」, 『구비문학연구』 제17호, 한국구비문학회, 2003, 451-500쪽.

15.

김영희, 「한국 구전서사 속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신경증 탐색」,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25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2, 45-89쪽.

16.

김용덕, 「상사뱀 설화의 구조분석과 의미 연구」, 『한국언어문화』 제18호, 한국언어문화학회, 2000, 351-381쪽.

17.

김호, 「조선후기 ‘인간위핍률’의 이해와 다산 정약용의 비판」, 『진단학보』 제117호, 진단학회, 2013, 119-145쪽.

18.

박상란, 「여성 화자 구연 설화의 특징」, 『구비문학연구』 제19호, 한국구비문학회, 2004, 277-316쪽.

19.

서영숙, 「「이사원네 맏딸애기」 노래의 서사적 특징과 현실의식」,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22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375-411쪽.

20.

유승희, 「유혹하는 몸과 정절의 경계」, 『여성이론』 제20호, 여성문화이론연구소, 2009, 199-215쪽.

21.

유진아, 「‘구렁덩덩 신선비’에 나타나는 여성의 스키마와 상흔」, 『정신문화연구』제39권 2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31-57쪽.

22.

이인경, 「구비설화에 나타난 ‘출가외인’ 담론과 여성의 정체성」,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5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2, 187-230쪽.

23.

이정아, 「「이선달네 맏딸애기」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시각」, 『한국민요학』 제38호, 한국민요학회, 2013, 147-170쪽.

24.

이주라, 「근현대 상사뱀 모티프의 변화와 한국 공포물의 특징」, 『비교한국학』 제24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6, 173-203쪽.

25.

카이미, 「한일상사뱀 설화의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88쪽.

26.

한양하·장시광, 「상사뱀 설화로 본 남명의 남성성」, 『남명학연구』 제65호, 경상대 경남문화연구원, 2020, 99-129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