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Politics of Discord Appeared in Poems of Goh Jung Hee –Focusing on Madang-gut poem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3, pp.161-191
https://doi.org/10.15686/fkl.2021..53.161
Lee Eun Young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Goh Jung Hee’s Madang-gut poem transcends boundaries and projects reality, causing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the patriarchal order, the political order caused by the military dictatorship, and the social hierarchy. Through this, the aspect of a compartmentalized social order is revealed, triggering tension and conflict. Madang-gut poem is a style of poetry that the poet sought as a way to emphasize the sense of vocation of the times through the formal change of poetry. And the content of Madang-gut poem gradually visualizes the social situation of the 1980s with the passage of time. In the first and second Madang-gut poems, the object sung by the magical narrator appears as “us” of the oppressed people, but in the third Madang-gut poem, in a specific aspect, they are individually called out. Also, the social situation that Madang-gut poem reveals is revealed in the first Madang-gut poem in the form of a remorse that longs for us at the borderline between life and death. However, in the second Madang-gut poem, by paradoxically staring at the real world as a haunted situation, the invisible is made visible by inflicting a rift on the order of the fixed share of society in the 1980s. After that, in the third Madang-gut poem, the voice is clearly expressed in discord with the political and social forces that are trying to fix the existing ruling order. It shows the structure and situation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surrounding workers, peasants and women, and criticizes the military dictatorship harshly. And it reproduces that those who fought against the military dictatorship were workers who were excluded from the center of the community in the social structure of discrimination who did not have a linguistic system to represent them. Although they have been excluded from the political framework of society as people without authority and ability and without a share, they appear in the form of legitimately claiming their voice and share through a conflict that causes cracks in the divided world. And Madang-gut poem visualizes the politicity of Goh Jung Hee’s poetry by creating a new form of political subjectivization by showing that our society is closer to equality and liberated through the power of this discord.

keywords
고정희, 마당굿시, 굿시, 장시, 여성시, 불화, 정치성, 감각의 나눔, 1980년대, Goh Jung Hee, Madang-gut poem, Gut poem, Long poem, Feminine poem, Discord, Politics, Sharing of senses, 1980s

Reference

1.

고정희, 『고정희 시전집』 1·2,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2011.

2.

조형 외 편,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93.

3.

고현철, 『현대시의 패러디와 장르이론』, 태학사, 1997, 130-188쪽.

4.

서대석 외,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 집문당, 2007, 139-231쪽.

5.

이상일, 『한국인 굿과 놀이』, 문음사, 1981, 156-231쪽.

6.

이소희, 『여성주의 문학의 선구자 고정희의 삶과 문학』, 국학자료원, 2018, 25-26쪽.

7.

이은영, 『고정희 시의 역사성』, 국학자료원, 2018, 222-261쪽.

8.

정이담 외, 『문화운동론』, 도서출판 공동체, 1985, 104-107쪽.

9.

자크 랑시에르, 양창렬 역,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 도서출판 길, 2008, 15-208쪽.

10.

자크 랑시에르, 오윤성 역, 『감성의 분할—미학과 정치』, 도서출판b, 2008, 72-76쪽.

11.

자크 랑시에르, 유재홍 역, 『문학의 정치』, 인간사랑, 2009, 11-312쪽.

12.

자크 랑시에르, 주형일 역, 『미학 안의 불편함』, 인간사랑, 2012, 12쪽.

13.

자크 랑시에르, 진태원 역, 『불화-정치와 철학』, 도서출판 길, 2015, 17-215쪽.

14.

폴 헤르나디, 김준오 역, 『장르론』, 문장, 1983, 109-110쪽.

15.

구명숙, 「80년대 한국 여성시 연구—고정희 시에 나타난 여성성 일탈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제6호, 숙명여대한국학연구소, 1996, 34-56쪽.

16.

김란희, 「고정희 “굿시”에 나타난 기호적 코라의 특성—『저 무덤 위에 푸른 잔디』를 대상으로」, 『비교한국학』 제19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149-171쪽.

17.

김문주, 「고정희 시의 종교적 영성과 ‘어머니 하느님’」, 『비교한국학』 제19권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121-148쪽.

18.

김승구, 「고정희 초기시의 민중신학적 인식」, 『한국문학이론과비평』 제11권4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7, 249-275쪽.

19.

김승희, 「상징질서에 도전하는 여성의 목소리, 그 전복의 전략들」, 『여성문학연구』 제2호, 한국여성문학학회, 1999, 135-166쪽.

20.

김승희, 「한국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제국주의의 남근 읽기」, 『여성문학연구』 제7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80-104쪽.

21.

김양선, 「486세대 여성의 고정희 문학체험-80년대 문학담론과의 길항관계를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제19권 3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39-63쪽.

22.

김정은, 「‘광장에 선 여성’과 말할 권리」, 『여성문학연구』 제4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267-313쪽.

23.

문혜원, 「고정희 연시의 창작 방식과 의미-『아름다운 사람하나』를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제19권 2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201-229쪽.

24.

박기순, 「랑시에르와 민중개념-민중에 대한 낭만주의적 해석과 그 대안의 모색」, 『진보평론』 제59호, 2014, 48-73쪽.

25.

송명희, 「고정희의 페미니즘 시」, 『비평문학』 제9호, 한국비평문학회, 1995, 137-164쪽.

26.

송영순, 「고정희 장시의 창작과정과 특성」, 『한국문예비평연구』 제44호, 한국문예비평학회, 2014, 37-66쪽.

27.

양경언, 「고정희 시에 나타난 의인화 시학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134쪽.

28.

이경수, 「고정희 전기시에 나타난 숭고와 그 의미」, 『비교한국학』 제19권 3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65-98쪽.

29.

이소희, 「『밥과 자본주의』에 나타난 “여성민중주의적 현실주의”와 문체혁명:「몸바쳐 밥을 사는 사람 내력 한마당」을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제19권3호,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99-144쪽.

30.

이소희, 「고정희 글쓰기에 나타난 여성주의 창조적 자아의 발전과정 연구: 80년대 사회운동 및 사회문화적 담론과의 영향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3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221-318쪽.

31.

이은영, 「1980년대 시에 나타난 자본주의적 세계에 대한 재현과 부정성—고정희, 허수경의 시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제59호, 한국문예비평학회, 2018, 205-238쪽.

32.

임진택, 「80년대 연희예술운동의 전개—마당극·마당굿·민족극을 중심으로」, 『창작과비평』 18권 3호, 창작과비평사, 1990년 가을, 314-335쪽.

33.

정혜진, 「광주의 죽은 자들의 부활을 어떻게 쓸 것인가?—고정희의 제 3세계 휴머니즘 수용과 민중시의 재구성 ⑴」, 『여성문학연구』 제4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323-360쪽.

34.

정효구, 「고정희 시에 나타난 여성의식 연구」, 『인문학지』 제17권 1호, 충북대인문학연구소, 1999, 43-86쪽.

35.

조연정,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고정희 시를 읽기 위한 시론」, 『우리말글』 제71호, 우리말글학회, 2016, 241-273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