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중 대중기억 속의 역사적 트라우마 서사 비교연구 —영화 「꽃잎」과 「슈슈」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Historical Trauma Narratives in Korean-Chinese Cinema —An analysis of the Films A Petal and XiuXiu: The Sent-Down Girl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3, pp.391-417
https://doi.org/10.15686/fkl.2021..53.391
유효만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고는 영화 「꽃잎」과 「슈슈」의 서사전략을 비교함으로써 한국과 중국에서 역사적 트라우마에 관한 대중기억이 어떻게 구축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한국 영화「꽃잎」은 소녀의 히스테리적 증상을 통해서 ‘5·18 광주’로 인한 역사적 트라우마를 영상화시키는 작품이다. 기억상실, 실어증, 그리고 히스테리적 발작 등 소녀의영상 이미지에는 은폐되고 호도되었던 80년대 ‘광주’에 관한 대중기억이 함축되어 있다. 이와 달리 중국 영화 「슈슈」는 트라우마적 경험에 대한 재연이다. 천진난만에서 편집증 성향이 보인 이미지로 타락한 소녀 슈슈를 통해서 ‘문혁’에 휘말린 ‘즈칭’(知青) 전체의 비극적 운명이 재현되고 있다. 비록 두 편 영화의 재현방식이 다르지만 어린 소녀의 이미지를 통해서 정치적 폭력에 짓밟힌 대중의 역사적 트라우마가 형상화된다는 점은 유사하다. 두 영화는 개인의 기억/경험을 집단적인 트라우마로 재구축하는 과정에서 모두 ‘소녀–화자–중년남자’의 삼각 구도를 선택하였다. 민중을 대표하고 있는 장씨가 소녀의 트라우마를 자신의 몸에옮겨서 죄의식의 몫을 담당했다면 거세된 소속민족인 라오찐은 소녀를 구원하는신격화된 이미지로 스스로 죽음을 선택한다. 이로써 「꽃잎」과 「슈슈」는 부채의식과 자기처벌을 통과한 집단적 책임감이 형성되어 정치적·윤리적 주체로 나아가는 과정을 재현함으로써 한국과 중국의 트라우마의 극복방식에서 현저한 차이를 보여준다. 두 편 영화의 차이점은 90년대라는 시공간에서 ‘즈칭’과 ‘386세대’ 가 문화적인 성찰을 한 결과와 관련 있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Historical trauma, the Cultural Revolution, Gwangju Uprising, Educated youth, 386 Generation, 역사적 트라우마, 문화대혁명, 5·18 광주, 즈칭(知青), 386세대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how popular memories of historical trauma have been constructed in Korea and China by comparing the narrative strategies of the films A Petal and XiuXiu: The Sent-Down Girl. A Petal represents the historical trauma of the Gwangju Incident through the hysterical symptoms of a girl. The girl’s amnesia, aphasia, and hysterical seizures are a metaphor for the concealed and misleading popular memories of Gwangju in the 1980s. In contrast, the movie XiuXiu is a representation of traumatic experiences. By recreating Xiuxiu’s process of degenerating from a state of innocence to a state of paranoia, she portrays the tragic fate of all of the “educated youth” caught up in “the Cultural Revolution.” Although the methods of representation are different, both films recreate the historical trauma of the people traumatized by political violence through the image of a girl. Both the hysterical girl in A Petal and the obsessed girl in XiuXiu are objectified as victims in these historical narratives. In addition, both films employ a triangular structure composed of a “girl-narrator-middle-aged man”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individual memories/ experiences into collective trauma. The subaltern Mr. Jang takes on part of guilt himself by transferring the girl’s trauma into his body. In this way, a sense of collective responsibility is formed through guilt and punishment, leading to a political and ethical subject. By reproducing the process of forming a sense of indebtedness and collective responsibility through guilt and self-punishment, the films A Petal and XiuXiu demonstrate different approaches to overcoming trauma. This difference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he cultural reflection of “educated youth” and the “386 Generation” in the 1990s.

keywords
Historical trauma, the Cultural Revolution, Gwangju Uprising, Educated youth, 386 Generation, 역사적 트라우마, 문화대혁명, 5·18 광주, 즈칭(知青), 386세대

참고문헌

1.

레이 초우, 정재서 역, 『원시적 열정』, 이산, 2004, 64쪽.

2.

유지나 외, 『한국영화사공부: 1980-1997』, 서울: 이채, 2005, 118쪽.

3.

최윤, 「저기 소리없이 한 점이 꽃잎이 지고」, 『꽃잎처럼』, 공선옥 외 공저, 풀빛,1995, 12, 152, 169쪽.

4.

Hannah Arendt, Responsibility and Judgment,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09, p.147.

5.

Slavoj Zizek, Event: A Philosophical Journey Through A Concept, Brooklyn: Melville House, 2014, p.12.

6.

刘小萌, 『中国知青史·大潮』, 当代中国出版社, 2009, 303쪽.

7.

严歌苓, 『本色陈冲』, 春风文艺出版社出版, 1998, 264쪽.

8.

김창환, 「‘몸’을 통한 기억과 ‘오빠’의 나르시시즘」, 『한국 뉴 웨이브의 정치적기억』, 연세대학교 미디어아트연구소 편,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195-217쪽.

9.

서영채, 「죄의식과 1980년대적 주체의 탄생 임철우의 백년여관을 중심으로」,『인문과학연구』 제42호,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39-68쪽.

10.

이영재, 「대중주권과 영화, 그 이후.「곡성」과 「1987」, 관객성의 두 가지 문제」, 『문학과사회』 제31권 2호, 문학과지성사, 2018년 여름, 56-73쪽.

11.

이효인, 「‘순수.민족.누이’를 열망하는 서로 다른 고백 또는 콤플렉스 「꽃잎」과「박하사탕」」, 『사회비평』 제26호, 나남출판사, 2000, 162-172쪽.

12.

Freud, S. “Draft K1 The Neuroses of defence from Extracts from the Flies Papers”(1892), Strachey, J.(Ed.),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ume Ⅰ (1886-1899): Pre-Psucho-Analytic Publications and Unpublished Drafts, 1966, pp.220-229.

13.

MYHB Heart, “The historical trauma response among natives and its relationship with substance abuse: a Lakota illustration,” J Psychoactive Drugs, Vol.35 (1), 2003, pp.7-13.

14.

戴锦华,「重写女性: 八、九十年代的性别写作与文化空间」, 『女性文学』, 1998(5), pp.51-55.

15.

郭冉, 「新中国成立70年人口流动的社会变迁」, 『河南社会科学』, 2019(09), pp.97-106.

16.

李達, 「‘原欲’背後—以〈崗上的世紀〉、〈天浴〉為探討中心」, 『中國現代文學半年刊』 第29期, 2016, pp.155-171.

17.

李杨, 「重返“新时期文学”的意义」, 『文艺研究』, 2005(1), pp.5-11.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