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As K-pop has emerged as a representative cultural product of Korea, the masculinity that K-pop reproduces is being exported to the global market on behalf of Korea. The bodies of K-pop idols, which are typically well-trained, disciplined, and skinny, are read as “queer” masculinity in the global market. However, Korean idols embody well-disciplined gender norms contained within the “queer” body. The story of former K-pop idol Jay Park also demonstrates the multiple trajectories of K-pop, which collided at the intersections of normality and queerness. The fact that Jay Park, who later returned to Korea, became a hiphop artist featuring male solidarity and sincerity can be understood in conjunction with his identity as an Asian-American who grew up in the United States. Ethnic minorities are reborn as subjects who perform surplus hegemonic masculinity, which is successfully combined with masculine hip-hop narratives. As a minority, Jay Park’s actions have conflicted with the norms of the K-pop idol industry. He actively speaks about political issues such as the BLM movement and raises the subject of racism as a Korean American. This has caused several repercussions for Jay Park, as his outspokenness clashes with K-pop’s implicit norm of not talking about political issues. If K-pop is marketing to the global market that also plays the role of a kind of “model Asian,” then the time has come to critically assess such normality and the future path of the minority.
김민재, 「‘해투3’ 로꼬 “박재범이 2억 빚 청산해줬다…‘감아’로 돈 다 갚아”」, 『아시아경제』, 2016.8.26.
김영대, 「아이돌 힙합의 이유」, 『아이돌로지』, 2014.8.12.
박재범, 『인스타일』 2010년 9월호.
박재범「ABOVE AND BEYOND」, 『W Korea』, 2015.8.17.
박재범, 「락네이션 최초의 아시아 아티스트」, 『하이프비스트』, 2018.5.28.
박주연, 「케이팝과 퀴어가 무슨 관계냐고요?」, 『일다』, 2020.6.28.
양승준, 「BTS가 보여준 새 남성상… 맥도널드가 증명한 세계화 표준」, 『한국일보』, 2021.6.12.
이은호, 「‘게이팝’ 혐오 딛고… BTS가 제시한 대안적 남성상」, 『쿠키뉴스』, 2021.7.13.
황혜진, 「박진영 밝힌 JYP 인성교육 “진실 성실 겸손 세 가지 가치 지켜야”」, 『뉴스엔』, 2017.11.29.
김봉현, 『힙합: 블랙은 어떻게 세계를 점령했는가』, 글항아리, 2014, 206-247쪽.
연혜원 기획, 『퀴어돌로지』, 오월의봄, 2021, 7-65쪽.
bell hooks, We real cool: Black men and masculinity, Routledge, 2004, pp.1-14.
Eve Kosofsky Sedgwick, Between Men,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5, pp.1-27.
권김현영, 「민족주의 이념논쟁과 후기 식민 남성성」, 『문화과학』 제49호, 문화과학, 2007, 39-54쪽.
김수아·홍종윤, 「“슬픈 랩스타”: 머니 스웨거와 진정성의 맥락화」, 『대중음악』제15호, 한국대중음악학회, 2015, 13-14쪽.
김수아·홍종윤, 「한국 힙합에 나타난 루저 남성성 담론과 여성 혐오: 블랙넛 사례를 중심으로」, 『대중음악』 제18호, 한국대중음악학회, 2016, 60-99쪽.
김수아, 「남성 아이돌 스타의 남성성 재현과 성인 여성 팬덤의 소비 방식 구성」,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9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5-38쪽.
김수아, 「소비자–팬덤과 팬덤의 문화 정치」, 『여성문학연구』 제5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10-48쪽.
김혜정, 「서구 속의 동아시아 남성성–영국에 거주하는 한국 남성 이민자들의 남성정체성 연구」, 『공간과 사회』 제26호, 한국공간환경학회, 2006, 220-252쪽.
류진희, 「팬픽: 동성(성)애 서사의 여성 공간」, 『여성문학연구』 제2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163-184쪽.
송화숙, 「대중음악에서의 진정성(Authenticity) 개념」, 『대중서사연구』 제21호, 대중서사학회, 2009, 345-370쪽.
이지행, 「서구미디어의 지배담론에 대한 방탄소년단 글로벌 팬덤의 대항담론적실천 연구」, 『여성문학연구』 제5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79-114쪽.
이혜수, 「한국 팬덤의 민족주의 정체성 전략에 관한 연구」, 『사회사상과 문화』제22권 2호, 동양사회사상학회, 2019, 237-268쪽.
정민우, 「초/국적 시대 민족주의 정치학과 대중문화의 역학–‘재범 사건’의 의미구성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18권 3호,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0, 35-70쪽.
정희준·김무진, 「민족주의의 진화: 스포츠, 그리고 상업적 민족주의의 탄생」,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4권 4호,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1, 101-11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