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Men in their Twenties Angry at Feminism : Discourse Analysis of “Megal and the Finger Controvers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3, pp.443-475
https://doi.org/10.15686/fkl.2021..53.443
Kim Sooah

Abstract

This article clarifies the context in which anti-feminist arguments have prevailed in online spaces since the late 2010s. By applying the discourse-historical approach, this article analyzed the discourse surrounding megal and the finger controversy. Through an analysis of media reports, this paper reveals the key agents in the field of discourse that is constituted by the media, politics, social media, online knowledge services, and Blue House petitions. In this discourse, feminism has been conceptualized as a system of unfair ideas. Moreover, a discourse has formed whereby men in their twenties who are angry at feminism and claim to be victims of ‘misandry’ have sought to build a consumer movement based on ethical beliefs in order to bring about justice. It has been argued that the ruling party of the government and progressive powers have turned away from the discourse of fairness, and the opposition party has in turn conceptualized fairness as mechanical balance and competition, which is offered as an alternative to feminism. Social media and online knowledge services have conceptualized feminism as being against gender equality, and men have formed a “we narrative” about how men have endured ‘misandry’, and they have built a capacity for collective action centered on consumer civic-mindedness. These discussions criticized the negative recontextualization of feminism and identified points that must be debated to reconstruct the meaning of feminism.

keywords
페미니즘, 반 페미니즘, 성평등, ‘남성혐오’, 담론역사적 관점, feminism, anti-feminism, ‘misandry’, gender-equality, discourse-historical approach

Reference

1.

김수아 외, 『온라인 성인지적 내용분석 지표개발 연구』,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2020, 23-27쪽.

2.

마경희 외, 『청년 관점의 젠더 갈등: 진단과 포용 국가를 위한 정책적 대응 방안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20, 336-338쪽.

3.

이상길, 「순수성의 모랄: 촛불시위에 나타난 오염에 관한 단상」, 당대비평기획위원회, 『그대는왜 촛불을 끄셨나요』, 산책자, 2009, 96쪽.

4.

임혜경, 『경기도 20대 성차별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2020, 경기도여성가족재단, 97쪽.

5.

천관율·정한울, 『20대 남자: ‘남성 마이너리티’ 자의식의 탄생』, 시사IN북, 2019, 59-100쪽.

6.

우치다 다쓰루(内田樹), 「반지성주의자들의 초상」, 우치다 다쓰루(内田樹) 편, 김경원 역, 『반지성주의를 말하다 : 우리는 왜 퇴행하고 있는가』, 이마, 2016. 33-40쪽.

7.

Judith Butler, The force of nonviolence, London: Verso, 2019, p.57.

8.

Matin Reisigl and Ruth Wodak, “The discourse-historical approach”, eds., John Flowerdew & John E. Richardson, The Routledge handbook of critical discourse studies, Routledge, 2017, p.90, pp.92-94.

9.

권명아, 「젠더갈등 프레임과 고용유연화와 신체 정치: 불태워지는 것은 여성들만이 아니다」, 젠더어펙트 연구소 긴급토론회 발표문(2021.6.5.), 6-16쪽.

10.

김보명, 「젠더 갈등과 반페미니즘의 문법」, 『비교문화연구』 제56호, 경희대학교비교문화연구소, 2019, 1-25쪽.

11.

김선기, 「납작한 당사자주의의 한계와 ‘이대남’ 정치」, 젠더어펙트 연구소 긴급토론회 발표문(2021.06.05.), 18-23쪽.

12.

김성윤, 「“우리는 차별을 하지 않아요”」, 『문화과학』 제93호, 문화과학, 2018,93-119쪽.

13.

김수아, 「남성 중심 온라인 공간의 미투 운동에 관한 담론 분석」, 『여성학논집』35권 2호, 한국여성연구원, 2018, 3-35쪽.

14.

김수아·이예슬, 「온라인 커뮤니티와 남성–약자 서사 구축」, 『한국여성학』 제33권 3호, 한국여성학회, 2017, 67-107쪽.

15.

김영미, 「계층화된 젊음: 일, 가족형성에서 나타나는 청년기 기회 불평등」, 『사회과학논집』 제47권 2호,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27-52쪽.

16.

김지영·김상현, 「온라인청원을 통한 정치 참여의 특성: 청와대 국민청원을 중심으로」, 『지역사회학』 제21권 2호, 지역사회학회, 2020, 131-164쪽.

17.

박대아, 「남성혐오표현과 여성혐오표현의 상호작용 연구–반사형(反射型) 혐오표현을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제76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95-118쪽.

18.

박은아·박민지, 「누가 불매운동에 참여하는가?: 기업의 비윤리적 사건에 대한 불매운동 참여의도 형성요인에 관한 구조모형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19권 1호, 한국심리학회, 2018, 121-138쪽.

19.

신진욱·조은혜, 「세대 균열의 현실, 세대 담론의 재현: 세대 불평등 담론의 유래에 관한 질적 담론사 연구」, 『시민사회와 NGO』 제18권 1호, 한양대학교제3섹터연구소, 2020, 49-99쪽

20.

양정애, 「유튜브 이용자들의 ‘유튜버’에 대한 인식」, 『미디어 이슈』 제7권 1호, 한국언론진흥재단, 2021, 2-3쪽.

21.

오재호·박원익, 「젠더갈등을 넘어 성평등한 사회로」, 『이슈&진단』 제441호, 경기연구원, 2020, 1-25쪽.

22.

유정미, 「반격의 “양성평등”에서 “(양)성평등”의 재정립으로」, 『한국여성학』 제35권 2호, 한국여성학회, 2019, 1-35쪽.

23.

이민주, 「#피드백 운동의 동역학」, 『인문잡지 한편』 제2호, 2020, 91-112쪽.

24.

이설희·김수아·홍남희, 「온라인 성차별적 혐오표현의 특징과 내용 규제 쟁점」, 『미디어, 젠더 & 문화』 제35권 3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61-103쪽.

25.

이준웅·박장희, 「모든 더러운 말들: 증오발언 규제론 및 규제반대론 검토」, 『서울대학교 법학』 제59권 3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1-43쪽.

26.

정희진, 「‘남성 혐오’는 가능한가」, 『인물과사상』 제210호, 인물과사상사, 2015, 110-124쪽.

27.

주재원, 「민주화 이후 한국 언론의 반공 담론 연대기」, 『언론과 사회』 제25권3호, 언론과 사회, 2017, 158-220쪽.

28.

최종숙, 「‘20대 남성 현상’ 다시 보기: 20대와 3040세대의 이념 성향과 젠더 의식 비교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제125호, 비판사회학회, 2020, 189-224쪽.

29.

Deborah Tollefsen and Shaun Gallagher, “We-Narratives and the Stability and Depth of Shared Agency,” Philosophy of the Social Sciences, 47(2), 2017, pp. 95-110.

30.

강푸름, 「‘한남충’이 모욕죄? 그럼 맘충·김치녀는?」, 『여성신문』, 2017.07.24.

31.

김명일·최혁, 「인터뷰–이준석 “공정한 남녀관계 요구하는 것이 여혐인가?”」, 『한국경제』, 2021.05.08.

32.

김지은·이유진, 「“쌤, 페미죠?” 교실도 휩싸인 백래시」, 『한겨레』, 2021.05.17.

33.

디지털뉴스제작팀, 「GS25 포스터 속 남성혐오 이미지 논란…“억지 주장”vs“남혐”」, 『MBC』, 2021.05.03.

34.

민주언론시민연합, 「‘집게 손가락 포스터’ 논란 언론이 키운 백래시」, 『미디어오늘』, 2021.06.28.

35.

박고은·이주빈, 「‘성평등 반대’ 내세운 백래시, 경찰은 왜 타협하나」, 『한겨레』, 2021.05.05.

36.

신지예, 「‘이대남’이라는 헛소리」, 『여성신문』, 2021.04.29.

37.

유성운, 「이젠 남혐 경계령…박나래·GS25 이어 ‘1박2일’ 난타당했다」, 『중앙일보』, 2021.05.05.

38.

이기범, 「“왜 여성민우회 팔로우했나?”… 게임업계 페미니즘 사상 검증 논란 확산」, 『블로터』, 2018.03.28.

39.

이다원, 「워마드 비하·혐오 유해게시물 시정요구 1년간 5.7배 급증」, 『서울경제』, 2018.10.26.

40.

이동준, 「남혐 논란에 ‘숨은 메갈’ 찾아 삭제하기 바빠… 교촌, 인스타서 이미지삭제」, 『세계일보』, 2021.05.07.

41.

이재희, 「‘페미니즘 세뇌교육은 아동학대다’」, 『연합뉴스』, 2021.5.18.

42.

이현미, 「이준석, 당 대표 도전 “2030 젠더 갈등 제대로 대응해야”」, 『세계일보』, 2021.05.07.

43.

장근욱, 「“저 손모양 뭐냐” GS25 포스터에 ‘이대남’ 발끈한 이유」, 『조선일보』, 2021.05.02.

44.

조해람·이홍근·한수빈, 「“페미들은 우리 못 이겨” 좌표 찍고 몰려가 공격 ‘댓글부대’ 있다」, 『경향신문』, 2021.08.10.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