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Women and Girls in Korean Poems in the 2000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3, pp.69-101
https://doi.org/10.15686/fkl.2021..53.69
Yeonjung Cho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overlapping oppression of women and children in Korean literature in the 2000s, a period during which feminism began to disappear. To this end, this article attempts two tasks. First, I revealed that the “misogynistic” attitude that appeared in the works of the 2000s was overlooked in the process of appreciating the subversive elements that appeared in the works of the time. When violent scenes appeared in literature in the 2000s, I critically assessed how criticism in the 2000s praised these scenes for their aesthetic value. Furthermore, the article demonstrates that criticism of the time did not fully imply the feminist views in poems of the 2000s. To this end, this article looked at the process by which “genderlessness” was represented in poems of the 2000s. Most importantly, these scenes are similar in that they all feature girls. In short, the article tried to critically reveal how criticism in the 2000s aestheticized “violence” and politicized the “genderless” subject while erasing feminist views and understanding “children” only figuratively. Furthermore, I analyzed the poems of Kim Min-jung, Lee Min-ha, and Kim Haeng-sook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nd traced the genealogy of feminist poetry that survived even throughout the 2000s.

keywords
여성, 여자아이, 폭력, 여성혐오, 무성성, 김민정, 이민하, 김행숙, women, girls, violence, misogyny, genderlessness, Kim Min-jung, Lee Min-ha, Kim Haeng-sook

Reference

1.

김민정, 『날으는 고슴도치 아가씨』, 열림원, 2005

2.

김행숙, 『사춘기』, 문학과지성사, 2003.

3.

김행숙, 『이별의 능력』, 문학과지성사, 2007.

4.

이민하, 『환상수족』, 열림원, 2005.

5.

이민하, 『음악처럼 스캔들처럼』, 문학과지성사, 2008.

6.

권혁웅, 『미래파』, 문학과지성사, 2005.

7.

김영찬, 『비평극장의 유령들』, 창비, 2006, 174-195쪽.

8.

김형중, 『변장한 유토피아』, 랜던하우스중앙, 2006, 148-159쪽.

9.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397-428쪽.

10.

박상수, 『귀족예절론』, 문학동네, 2012, 62-84쪽.

11.

소영현 외, 『#문학은_위험하다: 지금 여기의 페미니즘과 독자 시대의 한국문학』, 민음사, 2019, 95-121쪽.

12.

손희정, 『페미니즘 리부트: 혐오의 시대를 뚫고 나온 목소리들』, 나무연필, 2017, 17-46쪽.

13.

심진경, 『떠도는 목소리들』, 자음과모음, 2009, 150, 224쪽.

14.

심진경, 『여성과 문학의 탄생』, 자음과모음, 2015, 221-248쪽.

15.

오혜진 외,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페미니스트 시각으로 읽는 한국 현대문학사』, 민음사, 2018.

16.

이경수, 『바벨의 후예들 폐허를 걷다』, 서정시학, 2006, 315-316쪽.

17.

이경수, 『이후의 시』, 파란, 2017, 462-484쪽.

18.

이명호, 『누가 안티고네를 두려워 하는가: 성차의 문화정치』, 문학동네, 2014.

19.

이장욱, 『나의 우울한 모던 보이』, 창비, 2005, 350-372쪽.

20.

조연정, 『만짐의 시간』, 문학동네, 2013, 146-170쪽.

21.

황종연, 『탕아를 위한 비평』, 문학동네, 2012, 169-196쪽.

22.

슐라미스 파이어스톤, 김민예숙·오숙열 역, 『성의 변증법: 페미니스트 혁명을 위하여』, 꾸리에, 2016, 109-152쪽.

23.

주디스 버틀러, 김응산·양효실 역, 『연대하는 신체들과 거리의 정치: 집회의 수행성 이론을 위한 노트』, 창비, 2020, 204-221쪽.

24.

강동호, 「파괴된 꿈, 전망으로서의 비평」, 『문학과사회』 제26권 제1호, 문학과지성사, 2013년 봄, 334-365쪽.

25.

강지희, 「2000년대 여성소설 비평의 신성화와 세속화」, 『대중서사연구』 제24권 제2호, 대중서사학회, 2018, 41-68쪽.

26.

김미현, 「이브, 잔치는 끝났다」, 『문학동네』 제6권 제1호, 문학동네, 1999년 봄, 1-19쪽.

27.

김신식·황인찬·이자혜 인터뷰, 「미지×희지 Vol. 1: 쩌는 세계」, 『세대론–픽션: 문학과사회 하이픈』, 문학과지성사, 2016년 가을, 129-171쪽.

28.

김양선, 「2000년대 한국 여성문학 비평의 쟁점과 과제」, 『안과밖』 제21호, 영미문학연구회, 2006, 40-61쪽.

29.

김영옥, 「90년대 한국 ‘여성문학’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상허학보』 제9호, 상허학회, 2002, 93-120쪽.

30.

김영찬, 「비루한 동물극장」, 『문학동네』 제12권 제4호, 문학동네, 2005년 겨울, 1-16쪽.

31.

남진우, 「황병승의 불량시 레시피」, 『문학동네』 제20권 제3호, 문학동네, 2013년 봄, 1-15쪽.

32.

박상수·이경재·조강석·조연정 좌담, 「관계의 영도, 환상의 극점」, 『문학동네』 제15권 제3호, 문학동네, 2008년 가을, 1-40쪽.

33.

백지은, 「전진(하지 못)했던 페미니즘」, 『대중서사연구』 제24권 제2호, 대중서사학회, 2018, 69-96쪽.

34.

복도훈, 「유머로서의 비평—축제, 진혼, 상처를 무대화한 비평의 10년을 되돌아보기」, 『메타–크리틱: 문학과사회 하이픈』, 문학과지성사, 2018년 봄, 90-122쪽.

35.

서영인, 「1990년대 문학 지형과 여성문학 담론」, 『대중서사연구』 제24권 제2호, 대중서사학회, 2018, 9-40쪽.

36.

소영현, 「페미니즘이라는 문학」, 『문학동네』 제24권 제3호, 문학동네, 2017년가을, 1-16쪽.

37.

신수정·김미현·이광호·이성욱·황종연 좌담, 「다시 문학이란 무엇인가」, 『문학동네』 제7권 제1호, 문학동네, 2000년 봄, 1-54쪽.

38.

신형철, 「문제는 서정이 아니다—웰컴, 뉴웨이브 포–에티카」, 『문학동네』 제12권 제3호, 문학동네, 2005년 가을, 1-16쪽.

39.

신형철, 「2000년대 시의 유산과 그 상속자들: 2010년대 시를 읽는 하나의 시각」,『창작과비평』 제41권 1호, 창작과비평사, 2013년 봄, 362-383쪽.

40.

심진경, 「여성 폭력의 젠더 정치학」, 『젠더와 문화』 제4권 제2호,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1, 109-131쪽.

41.

양경언, 「최근시에 나타난 젠더 하기(doing)’와 ‘허물기(undoing)’에 대하여」, 『문학동네』 제24권 제2호, 문학동네, 2017년 여름, 1-20쪽.

42.

이경수, 「여성시문학사 서술 방법론 고찰」, 『여성문학연구』 제4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160-190쪽.

43.

장은정, 「침투」, 『문학성–역사들: 문학과사회 하이픈』, 문학과지성사, 2017년봄, 22-41쪽.

44.

조연정, 「‘충분히 근본적인’ 교란을 위하여」, 『문학동네』 제14권 제1호, 문학동네, 2007년 봄, 1-18쪽.

45.

황종연, 「매 맞는 아이들의 정치적 상상력」, 『문학동네』 제14권 제3호, 문학동네, 2007년 가을, 1-20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