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This study focuses on the emergence and direction of feminist criticism by examining women’s literature theory raised by female subjects who were accessing the network of female intellectuals associated with the feminist book-magazines Women and Alternative Culture. Although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ir perspectives and positions, it is true that they both criticized the fact that the sensibility of the “problematic individuals” who represent Korean society is male-centered. Of course,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ebate surrounding Park Wan-seo, they also went through a period of “confrontation,” and the fact that they had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status of the female writer as well as the “problematic” of criticism pursued at this time is also an important topic of discussion in this study.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fact that critical practices originating from the feminist publishing movement continued into the 1990s. When this group, which began with Women and transitioned to Women and Society, raised the “position” theory that women’s literature can contribute to renewing realism, Alternative Culture presented a refutation of the place of “universality,” which remained unquestioned throughout the 1990s. This continuation and deepening can be said to confirm that the language of feminist criticism, which originated from feminist book-magazines of the 1980s, had not ceased.
고정희, 「소재주의를 넘어 새로운 인간성의 실현으로」, 『문학사상』, 1990.2, 82-93쪽.
김경연·전승희·김영혜·정영훈, 「여성해방의 시각에서 본 박완서의 작품 세계」, 여성사연구회 편집부 편, 『여성』 2, 창작사, 1988, 201-236쪽.
김성례, 「여자의 자기 진술의 양식과 문체의 발견을 위하여」, 『여자로 말하기, 몸으로 글쓰기』,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992, 115-137쪽.
김양선, 「근대극복을 위한 여성문학의 논리」, 『창작과비평』 제23권 4호, 1996 겨울, 136-154쪽.
김영옥, 「소수 집단 문학으로서의 여성 문학과 그 정치학」, 『“근대”, 여성이 가지 않은 길』,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2001, 209-239쪽.
김영희·이명호·김영미, 「포스트모던 여성해방론의 딜레마」, 『여성과 사회』 제3호, 한국여성연구소, 1992, 35-79쪽.
김영희, 「근대체험과 여성」, 『창작과비평』 제23권 3호, 1995 가을, 69-92쪽.
김은하·박숙자·심진경·이정희, 「90년대 여성문학 논의에 대한 비판적 고찰」, 『여성과 사회』 제10호, 한국여성연구소, 1999, 139-161쪽.
박혜경, 「사인화된 세계 속에서 여성의 자기 정체성 찾기」, 『문학동네』 제2권 3호, 1995 가을, 20-40쪽.
여성사연구회 편집부, 「한국 여성해방이론의 전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여성』 2, 창작사, 1988, 174-200쪽.
이선희, 「여성해방관을 통해 본 김지하의 생명사상」, 『여성』 1, 창작과비평사, 1985, 256-271쪽.
임규찬, 「세계사적 전환기에 민족문학론은 유효한가」, 『창작과비평』 제26권 2호, 1998 여름, 65-94쪽.
정은희·박혜숙·이상경·박은하, 「여성의 눈으로 본 한국문학의 현실」, 『여성』 1, 창작과비평사, 1985, 6-52쪽.
조혜정, 「성의 사슬 풀고 자기 언어 가지기」, 『문학사상』, 1990.2, 70-81쪽.
조혜정, 「박완서 문학에 있어 비평이란 무엇인가」, 『작가세계』 제3권 1호, 1991 봄. (조한혜정, 「박완서 문학에 있어 비평이란 무엇인가」, 『박완서論』, 삼인행, 1991, 127-178쪽)
한설아 외, 「낭만적 결혼의 환상과 위력」, 『새로 쓰는 결혼 이야기 2』, 또 하나의문화, 1996, 293-302쪽.
『동인회보』
권김현영 편,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교양인, 2018, 202-236쪽.
김항·이혜령, 『인터뷰 한국 인문학 지각 변동』, 그린비, 2011, 506-533쪽.
백낙청, 『분단체제 변혁의 공부길』, 창작과비평사, 1994, 134-145쪽.
여성평우회 창립 20주년 기념행사 준비위원회, 『여성평우회 발자취』, 동방기획, 2003, 317쪽.
조혜정,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지성사, 1988, 344쪽.
한국여성연구회 문학분과 편역, 『여성해방문학의 논리』, 창작과비평사, 1990, 171-196쪽.
로절린드 C. 모리스 편, 『서발턴은 말할 수 있는가』, 그린비, 2013, 47-59쪽.
샌드라 하딩, 조주현 역, 『누구의 과학이며 누구의 지식인가』, 나남, 2009, 167-246쪽.
스튜어트 홀, 임영호 편역, 『문화, 이데올로기, 정체성』, 컬처룩, 2015, 494-496쪽.
아네르스 블록·토르벤 엘고르 옌센, 황장진 역, 『처음 읽는 브뤼노 라투르 – 하이브리드 세계의 하이브리드 사상』, 사월의책, 2017, 20-21쪽.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유정완 역, 『포스트모던의 조건』, 민음사, 2018, 208-211쪽.
조안 스콧, 공임순 외 역, 『페미니즘의 위대한 역사』, 앨피, 2017, 56쪽.
김정은, 「또 하나의 집회」, 『구보학보』 제27호, 구보학회, 2021, 213-270쪽.
김정은, 「전망으로서의 여성과 여성 지성의 ‘자리’ : 이효재와 조한혜정의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 제56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215-247쪽.
서영인, 「1990년대 문학지형과 여성문학 담론」, 『대중서사연구』 제24권 2호, 대중서사학회, 2018, 9-40쪽.
손유경, 「페미니즘의 포스트모던 조건」, 『여성문학연구』 제5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377-416쪽.
안지영, 「‘여성주의 리얼리즘’의 문화정치학」, 『한국현대문학연구』 제63호, 한국현대문학회, 2021, 365-404쪽.
최가은, 「‘90년대’와 ‘여성문학특집’」, 『민족문학사연구』 제75호, 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61-94쪽.
허윤, 「광장의 페미니즘과 한국문학의 정치성」, 『한국근대문학연구』 제19권 2호, 한국근대문학회, 2018, 123-152쪽.
박완서, 「포스트식민지적 상황에서의 글쓰기」, 대산재단, 2000.
백낙청, 「민족문학론, 분단체제론, 근대극복론」, 『창작과비평』 제89호, 1995 가을, 8-26쪽.
소영현, 「페미니즘이라는 문학」, 『문학동네』 제24권 3호, 2017 가을, 519-539쪽.
염무웅, 「사회적 허위에 대한 인생론적 고발」, 『세계의 문학』 제2권 2호, 1977 여름.
이동하, 「한국 대중소설의 수준」, 『집없는 시대의 문학』, 정음사, 1985.
조강석, 「메시지의 전경화와 소설의 ‘실효성’」, 『문장웹진』, 2017.4.1., 〈https://webzine.munjang.or.kr/archives/139778〉, 2022.2.28. 최종검색.
조한혜정·김정은·홍승진, 「애벌레가 고치를 지어 나비가 되어야 할 시간」, 『다시개벽』 제1호, 2020 겨울, 42-7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