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Denied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a Strange Peace : An Analysis of Kim In-suk’s The Long Night and Quickly Approaching Morning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2, v.0 no.55, pp.52-81
https://doi.org/10.15686/fkl.2022..55.52
Lee Hannah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고는 법문화(legal culture)에서 여성이 겪는 상해(injuries)는 자주 인식되지않거나 그 피해가 배상되지 않는다는 점에 초점을 둔다. 김인숙의 『긴 밤, 짧게다가온 아침』을 법적 조치의 범위 바깥에 놓인 여성의 고통을 서술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여성주의 법학의 관점에 기대어 다시 읽고자 한다. 학출 송은재와 그녀에게 일방적으로 사랑을 약속하는 인물 정만우의 만남을 그리며 ‘노동자의 고통을 사랑으로 위로하는 소설’로서 위치 지어져 온 이 작품을 본고에서는송은재의 마음에 주목하여 재독한다. 성폭력이 육체적인 폭력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의 자기결정의 자유와 자율성에 대한 억압이라는 사실을 시사하는 ‘성적 자기결정(sexual self-determination)’ 은 당대 여성운동 내부에서도 자리매김이 녹록지 않았다. 성폭력 피해자 여성의 ‘성’보다는 ‘인간’, ‘민족’이라는 광의의 개념에 초점이 맞춰지는 것에 대한 위기감이 공유되고 있던 이때, 자신을 강간한 정만우를 “훌륭한 진짜 노동자”로 성장시키려는 마음과 그를 향한 “적의”를 동시에 품고 있는 은재의 ‘부끄러움’이라는 감정은 주목된다. 이 ‘눈에 띄지 않는 부끄러움(low-visibility shame)’은 요컨대 사회적 순응을 의심하는 강한 ‘적대’로 남아 시민의 위계(subordination of women)를 독자에게 노출하고 있다. 노동자의 함성과 성폭력 피해자 여성의 함성이 모두 ‘소란’ 정도로 축소되어 잘 들리지 않던 시기, 법정이라는 장치 위에 노동자의 외침은 가득히 울려 퍼지는 것으로, 성폭력 피해 여성의 절규에 가까운 외침은 기이한 “평화” 속에 잦아들게 되고 마는 것으로 재현(representation)하는 이 소설은, 민주주의가 시민들의 동의에 기초한다고 했을때, 민주주의 체제에 돌입했다고 여겨지는 1990년대 초 한국에서 그렇다면 누가‘민주시민’으로서 호출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일찍이 던지고 있었다.

keywords
Kim In-suk, The Long Night and Quickly Approaching Morning, 1990s, legal culture, female critics, sexual self-determination, low-visibility shame, hostility, court, shout, representation, democratic citizen, consent, 김인숙, 『긴 밤, 짧게 다가온 아침』, 1990년대, 법문화, 여성주의 법학, 성적 자기결정, 눈에 띄지 않는 부끄러움, 적대, 법정, 함성, 재현, 민주시민, 동의

Reference

1.

김인숙, 『긴 밤, 짧게 다가온 아침』, 동광출판사, 1991.

2.

김인숙, 「먼 길」, 『실천문학』 제37호, 1995 봄.

3.

김인숙, 『먼 길』, 문학동네, 1995.

4.

김인숙, 『시드니 그 푸른 바다에 서다』, 푸른숲, 1995.

5.

『경향신문』

6.

『동아일보』

7.

『매일경제』

8.

『여성신문』

9.

『한국일보』

10.

『한겨레』

11.

구해근, 신광영 역, 『한국 노동계급의 형성』, 창작과비평사, 2002, 148쪽.

12.

김정한, 『비혁명의 시대—1991년 5월 이후 사회운동과 정치철학』, 빨간소금, 2020, 1-368쪽.

13.

심영희 외, 『한국 젠더정치와 여성정책』, 나남, 2006, 291-299쪽.

14.

마사 누스바움, 강동혁 역, 『분노와 용서—적개심, 아량, 정의』, 뿌리와이파리, 2018, 377쪽.

15.

마사 누스바움, 조계원 역, 『혐오와 수치심—인간다움을 파괴하는 감정들』, 민음사, 2015, 537쪽.

16.

캐롤 페이트먼, 이평화·이성민 역, 『여자들의 무질서』, 도서출판 b , 2018, 120쪽.

17.

J.M. 바바렛, 박형신·정수남 역, 『감정의 거시사회학—감정은 사회를 어떻게 움직이는가?』, 일신사, 2007, 176-212쪽.

18.

MacKinnon, Catharine A., Only Words, Harvard University Press, 1993, pp.1-152.

19.

MacKinnon, Catharine A., Toward a Feminist Theory of the Stat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9, p.168.

20.

고미숙, 「‘새로운 중세’인가 ‘포스트 모던’인가—《상상》의 ‘동아시아 문화론’에대한 비판적 검토」, 『문학동네』 제4호, 1995 가을, 417-437쪽.

21.

권명아, 「성폭력 부정주의의 정동적 힘과 대안적 정동 생성의 ‘쓰기’」, 『여성문학 연구』 제52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 230-262쪽.

22.

김남일, 「다시, 서울에서 김인숙을 만나다」, 『월간 말』 제107호, 1995.5, 192-197쪽.

23.

김양선, 「근대 극복을 위한 여성문학의 논리」, 『창작과비평』 제24권 4호, 1996 겨울, 136-154쪽.

24.

김은하, 「1990년대 여성 서사의 귀환과 ‘낭만적 사랑’의 종언」,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제22권 1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203-231쪽.

25.

김인숙, 「1994년, 어느 날」, 『문학동네』 제100호 특별부록, 2019 가을, 47-50쪽.

26.

김인숙·류보선, 「(대담)파국의 세상과 인간이라는 구원의 힘」, 『문학동네』 제82호, 2015 봄, 78-112쪽.

27.

김철, 「진정한 대중문학을 위하여—김인숙의 《긴 밤, 짧게 다가온 아침》」, 『실천문학』 제22호, 1991 가을, 394-401쪽.

28.

남인영, 「출발점에 선 ‘여성영화’—〈물 위를 걷는 여자〉와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여성과 사회』 제2호, 한국여성연구소, 1991, 305-313쪽.

29.

도정일 외, 「(지상토론)90년대 문학계의 신쟁점을 논한다」, 『실천문학』 제38호, 1995 여름, 133-188쪽.

30.

류보선, 「전환기적 현실과 민족문학의 운명」, 『문학동네』 제1호, 1994 겨울, 64-80쪽.

31.

신상숙, 「성폭력의 의미구성과 ‘성적 자기결정권’의 딜레마」, 『여성과사회』 제13호, 한국여성연구소, 2001, 6-43쪽.

32.

신상숙, 「제도화 과정과 갈등적 협력의 동학—한국의 반(反)성폭력운동과 국가정책」, 『한국여성학』 제24권 1호, 한국여성학회, 2008, 83-119쪽.

33.

오자은, 「전환기의 내면, 진정성의 분화—김인숙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제62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17, 285-318쪽.

34.

오태호, 「상실의 사랑에서 기억의 회복으로—김인숙론」, 『작가세계』 제24권 2호, 2012 여름, 59-79쪽.

35.

이혜령, 「포스트 80년대, 비범한 날들의 기억—신경숙과 김인숙 소설을 중심으로」, 『반교어문연구』 제39호, 반교어문학회, 2015, 515-544쪽.

36.

임규찬, 「새로운 출발을 위한 일상의 길트기」, 『칼날과 사랑』, 창작과비평사, 1993, 320-334쪽.

37.

MacKinnon, Catharine A., “Feminism, Marxism, Method, and the State: Toward Feminist Jurisprudence,” Signs: Journal of Women in Culture and Society, Vol.8, No.4,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3, pp.635-658.

38.

Dalton, Clare, “Where We Stand: Observations on the Situations of Feminist Legal Thought,” Berkeley Women’s Law Journal, Vol.3, University of Berkeley Law School, 1988, pp.1-13.

39.

Morris, Herbert, “Persons and Punishment,” The Monist, Vol.52, No.4, Oxford University Press, 1968, pp.475-501.

40.

West, Robin, “The Difference in Women’s Hedonic Lives: A Phenomenological Critique of Feminist Legal Theory,” Wisconsin Women’s Law Journal, Vol.3, University of Wisconsin Law School, 1987, pp.81-145.

41.

Scheff, Thomas J., “Shame and Conformity: The Deference-Emotion System,”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53, No.3,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988, pp.395-406.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