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남편을 위한 한글 제문의 서술 전략과 의미 – ‘독처의 제문’을 중심으로

The Narrative Strategy and Meaning of Korean Ceremonial Writings for Husbands : A Study Focusing on a Ceremonial Writing of Dokch’ŏ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2, v.0 no.56, pp.159-185
https://doi.org/10.15686/fkl.2022..56.159
서경희 (한신대학교)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독처의 제문’을 대상으로 여성 저자가 쓴 한글 장편 제문의 문학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이 제문은 남편이 병을 앓다가 사망한 뒤 소기를 맞을 때까지의 일을 담고 있다. 화자는 40세를 앞둔 나이로 자식들을 일찍 여의어서 벼슬을 살던 남편이 여러 해 앓다가 세상을 떠났을 때 상주를 세울 수 없었다. 이런 배경에서 화자는 외로운 남편의 혼백을 위로하기 위해 제문을 쓴다고 작성 이유를 밝혔으나, 위로의 대상인 사자(死者) 외에도 자신의 시름과 처지에 대한 진술을 들어줄 다른 청자를 의식하고 있다. 화자는 남편이 병을 앓을 때 무심해 보이던 자신의 태도에 대해 해명한다. 또 자신이 남편의 회복을 위해 정성을 다하고 속앓이를 했던 것을 몰라주고 의심하며 임종할 기회를 주지 않은 친지들을 원망한다. 그리고 남편의 3년 상을 치를 때까지만 살기로 한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며 그 누구도 알아주지 않은 고독한 삶에 대한 울분을 쏟아낸다. 이처럼 독처의 제문은 남편과의 일상, 정서적 경험에 대한 기억보다 자신의억울함, 섭섭함, 고독함에 의한 서글픔을 많은 비중으로 서술하고 구체적인 수사로 표현해낸다. 제문은 여성의 글쓰기로 용인되고 자신의 삶과 깊숙이 연결된 친지의 죽음을 계기로 작성된 까닭에, 제문 저술의 표면적 목적을 압도하는, 저자의 자기표현이 가능했다. 따라서 독처와 같은 여성들의 제문 쓰기는 여성들이 자기입장에서 목소리를 내고 자기 삶을 표현하는 글쓰기로 전용될 수 있었다.

keywords
Korean Ceremonial Writing, husband, female writing, consolation, self-expression, Jakirok., 한글 제문, 여성 글쓰기, 남편, 위로, 자기표현, 자기록

참고문헌

1.

국사편찬위원회 편, 『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 두산동아, 2005, 70-71쪽.

2.

풍양 조씨, 김경미 역주, 『자기록』, 나의 시간, 2014, 260-279쪽.

3.

안동민속박물관 편, 『안동의 한글 제문』, 안동민속박물관, 1998, 1-397쪽.

4.

김상홍, 「박남수의 한글 「을미제문」에 대하여」, 『어문연구』 제22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4, 415-434쪽.

5.

김일근, 「정경부인 이씨제문: 충무공 윤숙의 한글 처 제문」, 『인문과학논총』 제9호, 건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76, 125-168쪽.

6.

김하라, 「고부갈등에 대한 착잡한 시선: 심대윤의 「제질녀문(祭姪女文)」 분석」,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5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181-206쪽.

7.

남민이·한명숙, 「조선시대 수의와 현행 수의의 착의법에 관한 연구」, 『服飾文化硏究』 제8호, 복식문화학회, 2000, 822-841쪽.

8.

류경숙, 「조선조 여성 제문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1-212쪽.

9.

조성윤, 「여성 한글 제문(祭文)에 보이는 감성 소통의 원리와 교육」, 『동악어문학』 제72호, 동악어문학회, 2017, 37-59쪽.

10.

최윤희, 「「견문록」 소재 한글 제문의 글쓰기 방식과 갈래적 변주」,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제17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8, 413-438쪽.

11.

최윤희, 「한글 제문에 나타난 여성의 애도」, 『고전과해석』 제24호,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85-110쪽.

12.

최윤희, 「한글 제문의 존재 양상과 의미」, 『동양고전연구』 제52호, 동양고전학회, 2013, 313-349쪽.

13.

홍윤표, 「딸이 쓴 아버지 제문」, 『문헌과 해석』 제17호, 문헌과 해석사, 2001, 54-69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