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An Inquiry into Intergenerational Trauma —A Mother-Daughter Relationship in Grace Cho’s Tastes Like War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2, v.0 no.57, pp.126-151
https://doi.org/10.15686/fkl.2022..57.126
Jang, Youngeun

Abstract

이 글에서는 그레이스 조의 회고록 『전쟁 같은 맛(Tastes Like War)』을 모녀 관계에 초점을 맞춰 읽으며, 어머니의 트라우마를 공부의 대상으로 삼은 딸의 자기서사가 내포한 문학적 함의를 분석했다. 1972년에 한국인이 단 한 명도 없었던 남편의 미국 고향으로 자녀들과 함께 이주한 그레이스 조의 어머니는 사업가로 활동하며 삶의 터전을 마련했지만, 1986년 무렵부터 정신질환 증상을 나타냈다. 뒤늦게 어머니가 한국에서 성노동자로 일했다는 사실을 올케로부터 듣게 된 딸은 연이어 어머니의 자살 기도 사건을 겪으며 큰 충격에 휩싸이게 되고, 결국 어머니의 자존감을 무너뜨린 요인들을 학문적으로 규명해보기로 결심한다. 고통의 원인과 구조를 밝혀내고 폭력적인 세상과 싸우기 위해 공부를 시작한 그레이스조는 어머니에게 가해진 부당한 사회적 낙인을 비판할 수 있는 언어를 획득하며 어머니의 트라우마가 딸에게 전이되었다고 해서 모녀의 삶이 송두리째 뿌리 뽑힌 것은 아님을 증명했다. 그레이스 조는 모녀를 하나로 묶어준 공부의 의미와 가치를 『전쟁 같은 맛』에서 반복적으로 강조한다. 딸이 위대한 학자가 되기를 원했던 어머니와 어머니의 비밀을 공부로 밝혀낸 딸은 트라우마를 앎의 대상으로 삼아 공부와 글쓰기라는 사회적 실천으로 전환시켰다. 『전쟁 같은 맛』에서 그레이스 조의 어머니는 정신질환으로 사회에서 추방된 사람이 아니라 식민주의, 전쟁, 군국주의, 이산, 빈곤, 인종차별, 이민, 외국인 혐오증을 감내하고 돌파하면서 딸이 위대한 학자가 될 수 있도록 가르친 여성으로 되살아난다.

keywords
Tastes Like War, trauma, inquiry, self-narrative, mother-daughter narrativ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camptown women, immigrant women, Korean War, schizophrenia, 『전쟁 같은 맛』, 트라우마, 공부, 자기서사, 모녀서사, 모녀관계, 기지촌 여성, 이주 여성, 한국전쟁, 조현병

Reference

1.

김연자, 『아메리카 타운 왕언니, 죽기 오 분 전까지 악을 쓰다』, 삼인, 2005, 9- 300쪽.

2.

Grace M. Cho, Tastes Like War: a memoir, New York, NY: The Feminist Press at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2021, pp.1-279.

3.

나혜석 외, 이상경 책임편집, 『근대여성작가선–김명순 나혜석 김일엽 이선희 임순득』, 문학과지성사, 2021, 223쪽.

4.

변학수, 『반기억으로서의 문학』, 글누림, 2016, 23-29쪽.

5.

거다 러너, 강세영 역, 『가부장제의 창조』, 당대, 2004, 377쪽.

6.

권헌익, 박충환·이창호·홍석준 역, 『베트남 전쟁의 유령들』, 산지니, 2016, 215-268쪽.

7.

리처드 그린커, 정혜영 역, 『정상은 없다–문화는 어떻게 비정상의 낙인을 만들어내는가』. 메멘토, 2022, pp.107-123.

8.

마크 월린, 정지인 역, 『트라우마는 어떻게 유전되는가』, 심심, 2016, 39-330쪽.

9.

H. S. 문, 이정주 역, 『동맹 속의 섹스』, 삼인, 2002, 13-34쪽.

10.

발터 벤야민, 윤미애 역, 『1900년경 베를린의 유년 시절/베를린 연대기–발터 벤야민 선집3』, 길, 2012, 33-242쪽.

11.

얀 아스만, 변학수 역, 『이집트인 모세–서구 유일신교에 새겨진 이집트의 기억』,그린비, 2009, 14-40쪽.

12.

에리카 L. 존슨·퍼트리샤 모런, 손희정·김하현 역, 『여성의 수치심–젠더화된 수치심의 문법들』, 글항아리, 2022, 362쪽.

13.

여지연, 임옥희 역, 『기지촌의 그늘을 넘어–미국으로 건너간 한국인 군인아내들 이야기』, 삼인, 2007, 18쪽.

14.

이진경, 나병철 역, 『서비스 이코노미–한국의 군사주의·성 노동·이주 노동』, 소명출판, 2015, 6-398쪽.

15.

주디스 루이스 허먼, 최현정 역, 『트라우마–가장 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사람의집, 2022, 10쪽.

16.

재클린 로즈, 김영아 역, 『숭배와 혐오–모성이라는 신화에 대하여』, 창비, 2020, 48쪽.

17.

제인 정 트렌카, 송재평 역, 『피의 언어』, 와이겔리, 2005, 203쪽.

18.

E. 풀러 토리, 정지인 역·권준수 감수, 『조현병의 모든 것』, 심심, 2021, 21- 606쪽.

19.

폴 콘티, 정지호 역, 『트라우마는 어떻게 삶을 파고드는가–최신 신경생물학과 정신의학이 말하는 트라우마의 모든 것』, 심심, 2022, 13-313쪽.

20.

하인즈 인수 펜클, 문상화 역, 『고스트 브라더』, 문학과의식, 2005. 13-330쪽.

21.

Ann Anlin Cheng, The Melancholy of Race, Oxford, England: Oxford Univer sity Press, 2001, p.147.

22.

Avery F. Gordon, ghostly matters: Haunting and the Sociological Imaginatio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7, pp.8-27.

23.

Grace M. Cho, Haunting the Korean Diaspora: Shame, Secrecy and Forgotten War,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8, pp.27-49.

24.

Heonik Kwon&Jun Hwan Park, Spirit power: politics and religion in Korea’s American century, New York: Fordham University Press, 2022, pp.14-68.

25.

Patricia Ticineto Clough & Jean Halley, ed., The affective turn: Theorizing the social,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2007, p.6.

26.

T. M. Luhrmann & Jocelyn Marrow ed., Our Most Troubling Madness: Case Studies in Schizophrenia Across Cultures,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6, pp.1-41.

27.

김은경, 「미군 ‘위안부’의 약물 중독과 우울, 그리고 자살–‘위안’하는 주체의 (비)일상과 정동 정치」, 『역사문제연구』 제22권 2호, 역사문제연구소, 2018,129-166쪽.

28.

김주희, 「‘독학자들’의 페미니즘과 페미니스트 지식문화의 현재성에 대한 소고–신간 페미니즘 서적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제63호, 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351-379쪽.

29.

이경수, 「여성적 글쓰기와 대중성의 문제에 대한 시론」, 『대중서사연구』 제13호,대중서사학회, 2005, 7-32쪽.

30.

정희진, 「왜 여성주의는 공부하지 않아도 “안다”고 생각하는가」, 『함께가는 여성』 제233호, 한국여성민우회, 2022, 11쪽.

31.

Hae Yeon Choo, “Selling Fantasies of Rescue: Intimate Labor, Filipina Migrant Hostesses, and US GIs in a Shifting Global Order,” Positions: East Asia cultures critique, Vol.24(1), Durham: Duke University Press, 2016, pp.179-203.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