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포스트/식민 여성성장소설의 젠더지리 —박화성의 『북국의 여명』과 『벼랑에 피는 꽃』을 중심으로

The Gender Geography of Women’s Growth Novels during the Colonial and Post-Colonial Periods — A Study of Park Hwa-seong’s Dawn of the North Country and A Flower on a Cliff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2, v.0 no.57, pp.154-183
https://doi.org/10.15686/fkl.2022..57.154
서승희 (한국학중앙연구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북국의 여명』과 『벼랑에 피는 꽃』은 박화성의 자전적 이력을 재구성한 신문연재소설로서 각각 1935년, 1957년에 발표되었다. 두 소설은 한국 사회에 병존하는 전근대적 남녀 차별과 근대적 공사 이분법, 그리고 이에 따른 공간 구획 및 젠더 배분에 비판적으로 개입하는 여성성장소설이라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북국의 여명』은 사회주의 이념의 정치성에 공명하던 식민지 시기 박화성의 입장에 근거하고 있고, 『벼랑에 피는 꽃』은 이념과 사상의 다양성을 탈색한 식민 기억과 민족주의의 지평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점도 크다. 이 글에서는 젠더 역학의 변동에 따른 공간 배치에 주목하는 젠더지리학의 방법론을 참조하며 소설을 분석했다. 『북국의 여명』이 목포, 도쿄, 경성이라는 세 공간, 그리고 ‘북국’이라는 장소성을 중심에 두고 있다면, 『벼랑에 피는 꽃』은 목포와 경성의 공간적 입지를 대폭 축소하는 대신 경성–서울에 중요성을 부여했다. 전자는 학문에서 사상으로, 자매애에서 동지애로 전환되는 이동의 궤적을 그려냈으며, 여성의 몸과 가정, 돌봄과 양육에 대한 고정관념을 해체하며 여성의 사상적 실천을 새롭게 조명했다. 후자는 식민지 시기 수난과 저항의 역사에 비추어 인물과 공간을 배치하는 한편, 엘리트 여성 교육자의 성공을 국가 발전의 필수조건으로 형상화했다. 두 소설은 식민지 근대 극복을 위한 탈향–유학의 여정을 그려내는 한국근대성장소설의 패턴을 반복하면서도, 주인공의 젠더에서 비롯되는 모순과 갈등, 저항과 봉합의 국면들을 상이하게 드러낸다는 점에서 여성성장소설의 다양한 문법을 살펴볼 수 있게 한다.

keywords
박화성, 여성성장소설, 젠더지리학, 『북국의 여명』, 『벼랑에 피는 꽃』, Park Hwa-seong, women’s growth novel, gender geography, Dawn of the North Country, A Flower on a Cliff

Abstract

Dawn of the North Country and A Flower on a Cliff are novels that were first serialized in newspapers,and they both reinterpret the biographical history of Park Hwa-seong. They were first published in 1935 and 1957, respectively. Both novels are so-called “women’s growth novels” that make critical interventions into pre-modern discrimination between men and women, the modern dichotomy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and the resulting division of space and gender distribution in Korean society. These novels, however, also contain many differences. Dawn of the North Country is grounded in Park Hwa-seong’s political beliefs, which resembled the socialist ideology o fthe colonial period. In contrast, A Flower on a Cliff exists on the horizon of colonial memories and nationalism, which had eradicated the diversity of ideologies and ideas. This study sets out to analyze the two novels by employingthe methodology of gender geography to focus on spatial arrangements in the context of changing gender dynamics. While Dawn of the North Country is centered around the cities of Mokpo, Tokyo, and Gyeongseong, as well as the sense of place of the “North Country,” A Flower on a Cliff attaches importance to Gyeongseong–Seoul while considerably diminishing the spatial prominence of Mokpo and Gyeongseong. The former novel moves along a trajectory from literature to ideology and from sisterhood to comradeship while dismantling the stereotypes of women’s bodies, families, caring, and upbringing; in this way, it sheds new light on women’s ideological practices. In the latter novel, the characters and spaces are placed within the history of hardship and resistance of the colonial period and embody the success of elite women educators as an essential condition of national development. The two novels offer a chance for readers to examine the diverse grammar of women’s growth novels by revealing the aspects of contradictions, conflicts, resistance, and repair derived from the gender of the main characters in different ways while repeating the patterns of modern Korean growth novels depicting the journey of leaving home and going overseas for study to overcome colonial modernity.

keywords
박화성, 여성성장소설, 젠더지리학, 『북국의 여명』, 『벼랑에 피는 꽃』, Park Hwa-seong, women’s growth novel, gender geography, Dawn of the North Country, A Flower on a Cliff

참고문헌

1.

박화성, 『박화성문학전집』, 서정자 편, 푸른사상, 2004.

2.

여성문화이론연구소 편, 『페미니즘의 개념들』, 동녘, 2015, 474쪽, 484-486쪽.

3.

최현주, 『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세계』, 박이정, 2002, 36-37쪽, 39쪽.

4.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편, 『현대 문화지리의 이해』, 푸른길, 2016, 81-119쪽.

5.

김부자, 조경희·김우자 역, 『학교 밖의 조선 여성들–젠더사로 고쳐 쓴 식민지 교육』, 일조각, 2009, 291-320쪽.

6.

도린 매시, 정현주 역, 『공간, 장소, 젠더』,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319- 320쪽.

7.

린다 맥도웰, 여성과 공간 연구회 역, 『젠더, 정체성, 장소–페미니스트 지리학의이해』, 한울, 2017, 38-40쪽, 268쪽.

8.

마르크 오제, 이윤영·이상길 역, 『비장소–초근대성의 인류학 입문』, 아카넷, 2017, 97쪽.

9.

질리언 로즈, 정현주 역, 『페미니즘과 지리학』, 한길사, 2011, 15-16쪽, 126- 127쪽, 330쪽, 339-349쪽.

10.

김미현, 「여성 지식인 소설 연구–박화성의 『북극의 여명』을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제22호, 이화어문학회, 2004, 115-137쪽.

11.

김미현, 「강신재의 여성성장소설 연구」, 『국제어문』 제28호, 국제어문학회, 2008, 209-235쪽.

12.

김종욱, 「일제강점기 박화성 소설의 지역성 연구–동반자 작가로서의 위상과 관 련하여」, 『한국현대문학연구』 제42호, 한국현대문학회, 2014, 207-236쪽.

13.

문재원, 「로컬리티 개념을 둘러싼 고민들」, 『로컬리티인문학』 제15호,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305-314쪽.

14.

박선영, 「신여성의 내면 풍경–박화성 『북국의 여명』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제26호, 한민족문화학회, 2008, 149-173쪽.

15.

송명희, 「박화성 소설 연구–『북국의 여명』에 나타난 성숙의 플롯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 제42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9, 301-328쪽.

16.

서승희, 「식민지 재난과 통치, 그리고 재현의 역학: 박화성의 「홍수 전후」, 「한귀 (旱鬼)」, 「고향 없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제54호, 이화어 문학회, 2021, 89-118쪽.

17.

서정자, 「‘주의자’의 성,사랑,결혼–박화성의 『북국의 여명』에 나타난 자유연애의양면성」, 『현대소설연구』 제26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5, 89-112쪽.

18.

서정자, 「콜론타이즘의 이입과 신여성 기획–‘지식인 여성 노동자’ 등장과 ‘주의자 연애’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제12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4,7-35쪽.

19.

서정자, 「박화성과 조선희 소설에 나타난 ‘떠남’의 의미와 ‘북방의’–박화성의 『북국의 여명』과 조선희의 『세 여자』를 중심으로」, 『숙명문학』 제7호, 숙명문학인회, 2019, 218-240쪽.

20.

오정화, 「19세기 영국 여성의 “성장”과 성장소설의 역동성」, 『여성학논집』 제 29권 2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2, 3-35쪽.

21.

이미림, 「박화성 여행소설 연구」, 『국어국문학』 제153호, 국어국문학회, 2009, 287-312쪽.

22.

이미화, 「박화성 소설의 탈식민적 페미니즘 연구: 『벼랑에 피는 꽃』을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제42호, 우리문학회, 2014, 291-320쪽.

23.

이자화, 「1930년대 여성 인물의 의식 연구–박화성의 『백화』와 『북국의 여명』을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제15호, 한국문예창작학회, 2016, 55-77쪽.

24.

서여진, 「신여성–사회주의자–여성 가장으로서의 작가 박화성」, 『현대소설연구』제82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21, 291-323쪽.

25.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530529&catego%20ryId =60657&cid=60657&categoryId=60657 (제공처 국학자료원 http:// www.kookhak.co.kr)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