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Self-Narratives of Burmese Student Soldiers and the Politics of Memory — The Intersection of Student Soldiers’ Narratives and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rchiv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2, v.0 no.57, pp.184-214
https://doi.org/10.15686/fkl.2022..57.184
Heo Yoon

Abstract

학병의 자기서사에는 군 ‘위안부’의 구술 증언과 유사한 기억의 정치가 발생한다. 어떤 것을 서술하고, 어떤 것은 서술하지 않느냐는 자기서사의 행위성으로 보아야 한다. 특히 일본군 ‘위안부’와의 만남은 학병 서사에서 중요한 화소가 아니다. 하지만 자신을 표현할 언어를 갖지 못한 군 ‘위안부’의 상황상 돌아온 자들의 기억 속 일본군 ‘위안부’의 흔적을 찾는 것은 중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그동안 ‘위안부’ 서사로 읽지 않았던 텍스트들을 재독하여 ‘위안부’ 재현을 논하고자 하였다. 박순동의 수기 「모멸의 시대」는 일본군을 탈출하여 OSS 훈련을 받은 항일영웅의 모델 스토리다. 그는 전선에서 조선인 ‘위안부’를 흔히 볼 수 있었다고 했지만, 일본군 ‘위안부’를 박꽃으로 대상화하며 멀리서 관찰한다. 말라리아에 걸려 몸이 약해졌다는 이유로 같은 조선인 학병들에게 버림받고 혼자 남겨진 이가형은 수기 「버마전선패잔기」와 소설 『분노의 강』을 통해서 버마 전선의 기억을 서사화한다. 그는 수기와 소설에서 위안소 방문, ‘위안부’와의 만남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이는 그가 ‘위안부’, 포로감시원, 학병 등을 모두 전쟁에 동원된 희생양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특히 이가형은 ‘위안부’와 섹스를 하지 않음으로써 헤게모니적 군인되기를 거부한다. 이는 식민지 엘리트였던 그가 상징적 거세를 기꺼이 받아들임으로써 성장을 거부하는 것과 연결된다. 하지만 그 역시 ‘위안부’와의 만남을 낭만화하는 것은 피하지 못했다. 박순동과 이가형 모두 ‘위안부’의 행위성이나 언어를 이해하지 못했다. 하지만 굴절된 재현에서 왜 ‘위안부’가 이야기되지 못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위안부’ 서사를 아카이빙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학병 서사, 일본군 ‘위안부’, 박순동, 이가형, 행위성, the self-narratives of student soldiers,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Park Soon-dong, Lee Ga-hyung, agency

Reference

1.

박순동, 「모멸의 시대」, 『신동아』 제13호, 1965.9, 350-385쪽.

2.

이가형, 『분노의 강』, 경운출판사, 1993.

3.

이가형, 「버마전선패잔기」, 『신동아』 제3호, 1964.11, 272-301쪽.

4.

1.20 동지회, 『1.20 학병사기』 1권, 삼진출판사, 1987

5.

모리카와 마치코, 김정성 역, 『버마 전선 일본군 위안부 문옥주』, 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시민모임, 2005.

6.

김윤식, 『일제 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3-64쪽.

7.

김찬호, 『모멸감』, 문학과지성사, 2014, 64쪽.

8.

안연선, 『성노예와 병사만들기』, 삼인, 2003, 160-193쪽.

9.

정종현, 『제국대학의 조센징』, 휴머니스트, 2019, 98-114쪽.

10.

황종연, 「조선 청년 엘리트의 황국신민 아이덴티티」, 『한일 역사인식 논쟁의 메타히스토리: ‘한일, 연대21’의 시도』, 뿌리와이파리, 2008, 258-268쪽.

11.

다카다 리에코, 김경원 역, 『문학가라는 병』, 이마, 2017, 165-194쪽.

12.

바바라 크리드, 손희정 역, 『여성괴물』, 여이연, 2008, 202-230쪽.

13.

샤를 보들레르, 황현산 역, 「독자에게」, 『악의 꽃』, 민음사, 2016, 7쪽.

14.

아라라기 신조, 서재길 역, 「전시 성폭력 피해를 듣는다는 것」, 『전쟁과 성폭력의 비교사』, 어문학사, 2020, 355-358쪽.

15.

오오누키 에미코, 이향철 역, 『사쿠라가 지다 젊음도 지다』, 모멘토, 2004, 408-456쪽.

16.

오오누키 에미코, 이향철 역, 『죽으라면 죽으리라』, 우물이있는집, 2007, 50쪽.

17.

우치다 준, 한승동 역, 『제국의 브로커들』, 길, 2020, 509쪽.

18.

조지 힉스, 전경자·성은애 역, 『위안부』, 창작과비평사, 1995, 153쪽.

19.

지그문트 프로이트, 김재혁 역, 『꼬마한스와 도라』, 열린책들, 2004, 11-130쪽.

20.

후루하시 아야, 『비판적으로 읽는 일본 군인 회고록 속 ‘위안부’』, 동북아역사재단, 2021, 10-14쪽.

21.

공준환, 「연합군 자료를 통해 본 버마의 일본군‘위안부’ 제도」, 『동북아역사논총』 제66호, 동북역사재단, 2019, 205-253쪽.

22.

구인모, 「근대기 한국의 보들레르 시 번 중역과 그 함의: 김억과 양주동의 설전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제80호, 동악어문학회, 2020, 11-48쪽.

23.

김도형, 「일제 말기 필리핀 버마 지역 한인 병사의 강제동원과 귀환」,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47호,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4, 153-196쪽.

24.

김준현, 「보들레르의 번역과 수용(1916~1940)」, 『코기토』 제78호,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7-50쪽.

25.

박혜숙, 「여성 자기서사체의 인식」, 『여성문학연구』 제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8-10쪽.

26.

이선미, 「세계화와 탈냉전에 대응하는 소설의 형식: 기억으로 발언하기–1990년대 박완서 자전소설의 의미 연구」, 『상허학보』 제12호, 상허학회, 2004, 403-432쪽.

27.

장수희, 「일본군 ‘위안부’ 서사자료 연구」,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2.

28.

정병준, 「박순동의 항일투쟁과 미 전략첩보국(OSS)의 한반도침투작전」, 『지방사와 지방문화』 제6권 2호, 역사문화학회, 2003, 1-53쪽.

29.

조영일, 「학병서사연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0.

최영욱, 「학병 서사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1.

최지현, 「학병의 기억과 국가」, 『한국문학연구』 제32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7, 459-486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