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고정희의 여성주의적 전회와 여성신학의 영향

Goh Jeong-Hee’s Feminist Turn and the Influence of Feminist Theology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2, v.0 no.57, pp.215-254
https://doi.org/10.15686/fkl.2022..57.215
안지영 (국민대학교)

초록

한국신학대학 재학 시절 독재정권에 맞선 민주화 투쟁에 동참했던 고정희는 이 시절을 나치에 저항한 독일 신학자들의 상황에 빗댈 만큼 엄혹한 것으로 그려낸다. 아울러 투쟁의 과정에서 지쳐갔던 당시의 모습을 성찰하며 ‘수유리’의 정신을 발전적으로 계승하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한국신학대학에 입학하기 전부터 안병무에게 관심을 지니고 있던 고정희는 그의 민중신학에 영향을 받아 민중론을 발전시켜갔다. 하지만 남성편향성을 벗어나지 못하는 80년대 민중운동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여성주의로 전회하였는데, 이는 안병무 사상과의 단절로보기는 어렵다. 안병무 역시 여성신학의 문제의식을 수용하면서 생명·살림 운동을 전개한 바 있기 때문이다. 고정희는 여성신학의 문제의식을 드러내는 글을 발표하였는데, 특히 『기독교 사상』과 『살림』에 실린 글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고정희가 여성문화운동의 종착지점으로 제시한 “모성적 생명문화”가 여성신학자 박순경에 의해 주장된 ‘민족의 어머니’와 연관성을 지니는 한편으로, 김지하를 비판하며 “해방된 모성”을 주장한 고정희의 입장이 모성이데올로기 및 젠더이원론 극복과 관련됨을 고찰하였다.

keywords
Minjung theology, Ahn Byung-moo, feminist theology, maternity ideology, women’s liberation, movement for life, care work, 민중신학, 안병무, 여성신학, 여성주의, 여성해방, 모성이데올로기, 살림 운동, 돌봄노동

참고문헌

1.

고정희, 『고정희 시 전집』1·2, 또하나의문화, 2011.

2.

『또 하나의 문화 2호–열린 사회 자율적 여성』, 또하나의문화, 1986.

3.

『또 하나의 문화 9호–여자로 말하기, 몸으로 글쓰기』, 또하나의 문화, 1992

4.

『하나보다 더 좋은 백의 얼굴이어라: 여성해방 시 모음』, 또하나의문화, 1988.

5.

『기독교 사상』

6.

『살림』

7.

『여성』1

8.

『여성신문』

9.

『현존』

10.

김명수, 『안병무–시대와 민중의 증언자』, 살림, 2006, 22-23, 51-64쪽.

11.

김애영, 『한국 여성신학의 지평』, 한울, 1995, 194쪽.

12.

김지하, 「생명사상의 전개」, 『남녘 땅 뱃노래』, 두레, 1985, 378쪽.

13.

김진호 외, 『죽은 민중의 시대, 안병무를 다시 본다』, 삼인, 2006, 98, 109, 114쪽.

14.

김진호·김영석 편저, 『21세기 민중신학–세계 신학자들, 안병무를 말하다』, 삼인, 2013, 50-51쪽.

15.

민중신학연구소 편, 『민중신학 입문』, 한울, 1995, 154-155쪽.

16.

박순경, 『민족통일과 기독교』, 한길사, 1986, 194-195쪽.

17.

박완서 외, 『자유로운 여성』, 열음사, 1984, 138쪽.

18.

안병무, 『갈릴래아의 예수』, 한국신학연구소, 1990, 172-200, 233쪽.

19.

안병무, 『민중신학 이야기』, 한국신학연구소, 1990, 257쪽.

20.

안병무, 『그래도 다시 낙원에로 환원시키지 않았다』, 한국신학연구소, 1995, 255-266쪽.

21.

이소희, 『여성주의 문학의 선구자 고정희의 삶과 문학』, 국학자료원, 2018, 202쪽.

22.

이우정선생 고희기념 논문집 편찬위원회, 『여성·평화·생명』, 1993, 경세원, 187쪽, 322-323쪽.

23.

이은선, 『여성조직신학 탐구』, 대한기독교서회, 2004, 67-68쪽.

24.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편, 『신학연구 50년』, 혜안, 2003, 390-393, 397쪽.

25.

조형 외, 『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또하나의문화, 1993, 39, 229, 269-270쪽.

26.

죽재 서남동 목사 기념 논문집 편찬위원회, 『전환기의 민중신학—죽재 서남동의 신학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신학연구소, 1992, 115쪽.

27.

한국기독교학회 편, 『오늘의 영성신학』, 양서각, 1988, 193-223쪽.

28.

더 케어 컬렉티브, 정소영 역, 『돌봄선언』, 니케북스, 2021, 55, 72쪽.

29.

디트리히 본회퍼 외, 딘 G. 스트라우드 편, 진규선 역, 『역사의 그늘에 서서: 히틀러 치하 독일 신학자들의 설교』, 감은사, 2022, 21-134쪽.

30.

오드리 로드, 주해연·박미선 역, 『시스터 아웃사이더』, 후마니타스, 2018, 196쪽.

31.

김승구, 「고정희 초기시의 민중신학적 인식」,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37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7, 249-275쪽.

32.

김문주, 「고정희 시의 종교적 영성과 ‘어머니 하느님’」,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19 No.2,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121-147쪽.

33.

김양선, 「동일성과 차이의 젠더 정치학–1970·80년대 진보적 민족문학론과 여성해방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제6호, 한국근대문학회, 2005, 154-181쪽.

34.

김양선, 「486세대 여성의 고정희 문학 체험」,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 19 No.3,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39-63쪽.

35.

김영미, 「「神」의 저편: 고정희론」, 『행복한 시인의 사회』, 이화현대시연구회 편, 소명출판, 2004, 105-131쪽.

36.

김옥성, 「고정희 시의 기독교적 인간주의」, 『한국근대문학연구』 제19권 2호, 한국근대문학회, 2018, 183-210쪽.

37.

김우창, 「시대의 중심에서」, 김지하, 『중심의 괴로움』, 솔, 1994, 111-164쪽.

38.

김은정, 「아시아 여성의 영성」, 『한국여성신학』 제29호, 한국여신학자협의회, 1997, 53-66쪽.

39.

김정은, 「‘광장에 선 여성’과 말할 권리: 1980년대 고정희의 글쓰기에 나타난 ‘젠더’와 ‘정치’」, 『여성문학연구』 제4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267-313쪽.

40.

김희헌, 「유영모와 민중 신학–한국적 범재신론과 실천적 수행종교」, 『신학연구』 제67호,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15, 145-173쪽.

41.

나희덕, 「시대의 염의를 마름질하는 손」, 『창작과비평』 2002년 여름호, 310-327쪽.

42.

노창선, 「고정희 초기 시 연구」, 『인문학지』 제20호, 충북대 인문학연구소, 2000, 61-91쪽.

43.

박선희·김문주, 「고정희 시의 ‘수유리’ 연구」, 『한민족어문학』 제66호, 한민족어문학회, 2014, 443-468쪽.

44.

염선옥, 「김지하와 안병무로부터 파생된 고정희 ‘살림’의식과 계보학적 접근」 제33호, 『국제한인문학연구』, 국제한인문학회, 2022, 155-192쪽.

45.

유성호, 「고정희 시에 나타난 종교의식과 현실인식」, 『한국문예비평연구』 제1호, 한국문예비평학회, 1997, 75-94쪽.

46.

이숙진, 「한국 근대 개신교 민족담론의 여성호명 논리와 이데올로기적 장치」, 『한국기독교 신학논총』 제53권 1호, 한국기독교학회, 2007, 197-223쪽.

47.

정혜진, 「광주의 죽은 자들의 부활을 어떻게 쓸 것인가?—고정희의 제3세계 휴머니즘 수용과 민중시의 재구성⑴」, 『여성문학연구』 제48호, 한국여성문학회, 2019, 323-360쪽.

48.

조연정, 「1980년대 문학에서 여성운동과 민중운동의 접점: 고정희의 시를 읽기 위한 시론」, 『우리말글』 제71호, 우리말글학회, 2016, 241-273쪽.

49.

최가은, 「여성–민중, 선언–『또 하나의 문화』와 고정희」, 『한국시학연구』 제66호, 한국시학회, 2021, 189-222쪽.

50.

최동호, 「정신주의 시와 생명사상」, 『삶의 깊이와 시적 상상』, 민음사, 1995, 39-51쪽.

51.

홍정선, 「죽임의 세계, 살림의 사상」, 『김지하 전집4: 이것 그리고 저것』 해설, 동광출판사, 1991, 285-295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