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기존의 연구들은 김수영의 여성관이 그의 아내나 거리의 여성, 주변의 여성들에 대한 태도나 김수영의 가족주의적 시각을 통해 드러난다고 보았다. ‘반여성주의’라는 관점의 연구들은 김수영의 신화가 한편으로는 남성적 영웅주의적 시각에서 만들어진 것이며 따라서 그 신화를 한 꺼풀 벗길 필요가 있다는 인식을 보인다. 이 시각은 주로 김수영의 아내에 대한 호칭 문제(‘여편네’)와 여성을 대체로 속물적인 존재로 그리고 있다는 점에 그 근거를 둔다. 그러나 필자의 입장은 좀 다르다. 즉 ‘생활, 현실’의 문제가 중요한 시적 대상이 될 때 비하된 여성이 등장한다는 것은, 한편으로 ‘여성’에 대한 언급이 근대적 삶의 형식에 대한 진술일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이 일종의 허영과 허위와 가식, 위악의 텍스트로 표면화되고, 문제의 핵심을 바로 파고들기보다는 그 ‘문제의 에둘러 가기’라는 형식으로 그의 텍스트가 기능할 것을 의미한다. ‘여성’을 대상으로 한 시편들은 한편으로는 연민과 동정으로 다른 하나는 위악과 공격으로 그 어조적 특성을 보여준다. ‘여편네’는 마누라의 속물근성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 호칭이라기보다는 시인 자신의 속물근성을 회피하고 정신의 긴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된 단어이다. 그것은 악이 아니라 오히려 선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해 존재하는 순간적이고 찰라적인 시간성을 갖는 일시적 개념이다. 어조의 공격성은 결국 시인 자기 자신에게 향하고 있다. 이것은 타인에 대한 공격적인 언어가 사실은 자기 내부에 갇혀서 맴도는 매저키즘적 담론의 한 양상으로 파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현실과 생활이 제거된 자리에서 그의 어조는 그리움이나 연정의 형식으로 표출되며 이는 여성적 목소리로 표면화 된다. 이 때의 목소리는 김수영이 권력적이고 계몽적인 근대적 기획의 장면 앞에서 스스로를 반성하고 반성하게 했던 바로 그것, 자기 안의 여성성, 여성적 목소리의 언어이다. ‘여성’은 점점 초월적이고 종교적인 대상으로 변용된다. ‘여성’은 ‘죽음’과 ‘사랑’의 상호 소통과 비약적인 넘나듦을 통해 정의된다. 그의 ‘반여성주의’적 어법은 결국 ‘비약적 사유’를 향해 가는 데 중요한 동기가 되며 이 때의 사변적인 시풍들은 난해시의 전범을 이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