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일제말기 모성사유와 그 연극적 재현 - 국민연극경연대회 출품작 「물새」와 「역사」를 중심으로 -

Maternity Discourses Shown in Works Performed in National PlayCompetition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8, v.19 no.19, pp.205-232
육정희 (영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일제말 전시기에 식민지 조선인을 황민화하여 총력전에 임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최된 국민연극경연대회에서 공연된 작품에 나타난 모성사유를 살피고 있다. 또한 다양한 극장치를 통해 모성사유의 해석적 지평을 마련하고자 했다. 역사적으로 조선은 유교적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모성을 제도화했다. 이 뿌리 깊은 전통은 개화기에 이르러 약간의 변조와 새로운 담론을 부가시켜 모성을 강화시킨다. 그러나 일제말 전쟁기라는 국가 비상시에는 대부분 모성담론이 국가에 의해 ‘구국의 어머니’ 또는 ‘군국의 어머니’인 제국주의적 모성담론으로 봉합된다. 그러나 국가가 전략적으로 모성을 욕망 한다 하더라도 모성에 대한 개인적 사유는 상실의 위기를 느끼며 모든 가능성을 탐색한다.

keywords
모성담론, 제국주의 모성, 목적극, 모성을 향한 개인적 사유, 극장치, maternity discourse, imperialistic maternity, thesis play, individual's desire for maternity, dramatic device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maternity discourses expressed in works performed in National Play Competition which was held to make the Koreans loyal to the Japanese emperor in the preparation for all-out war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addition, it also tried to open a new horizon of interpretation of maternity discourses through a variety of dramatic devices. Historically, the Joseon Dynasty institutionalized maternity in order to maintain the Confucian order of society. Such deep-rooted tradition enhanced maternity in the enlightenment period by going through some changes and accepting a new discourse. However, during the wartime period, when the Japanese colonial rule was close to an end, the government aggregated most maternity discourses into an imperialistic maternity discourse called 'mother devoted to saving the nation' or 'mother in a nation at war'. Nevertheless, in Joseon society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dividuals still had strong desire for maternity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Although the government forcefully tried to restore maternity toward the nation, individuals' desire for maternity was not restricted completely.

keywords
모성담론, 제국주의 모성, 목적극, 모성을 향한 개인적 사유, 극장치, maternity discourse, imperialistic maternity, thesis play, individual's desire for maternity, dramatic device

참고문헌

1.

박영호, (2004) 해방전 (1940~1945) 공연희곡집 1, 평민사

2.

송영, (2004) 해방전 (1940~1945) 공연희곡집 2, 평민사

3.

방기중, (2004) 일제파시즘 지배정책과 민중생활, 혜안

4.

안태윤, (2006) 식민정치와 모성, 한국학술정보(주)

5.

여성문화이론연구소 정신분석세미나팀, (2003)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여이연

6.

여성한국사회연구회, (1993) 여성과 한국사회, 사회문화연구소

7.

윤택림, (2001) 한국의 母性, 미래인력연구원

8.

이미원, (1994) 한국근대극연구, 현대미학사

9.

이정덕, (2002) 한국의 근대 가족윤리, 신정

10.

서연호, (1997) 식민지시대의 친일극연구, 태학사

11.

전미경, (2005) 근대계몽기 가족론과 국민생산 프로젝트, 소명

12.

아드리엔느 리치, (1995) 더 이상 어머니는 없다, 평민사

13.

우에노 치즈코, (1999) 내셔널리즘과 젠더, 박종철 출판사

14.

피에르 라르토마, (1988) 연극의 이론, 청하

15.

B. 아스무트, (1995) 드라마분석론, 영남대학교출판부

16.

레지스 드브레, (1994) 이미지의 삶과 죽음, 시각과언어

17.

이부영, (1987) Jung의 모성상과 모성콤플렉스론, 심성연구

18.

이상경, (2002) 일제말기 여성동원과 ‘군국의어머니’, 페미니즘연구

19.

박명진, 일제 파시즘시기 시나리오에 나타난 여성가 국가 이미지, 여성문학연구

20.

가와가오루, (2002) 총력전 아래의 조선여성, 실천문학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