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A Study for Yeowon's serial novel in 1960's: Focused on Social and Cultural Meaning of love Stor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8, v.19 no.19, pp.293-336
Song, In Hwa

Abstract

본고는 1961-68년까지 『여원』에 연재된 여성작가들의 소설을 대상으로 낭만적 사랑의 기획이 사랑이야기 속에 어떻게 구조화되고 있는지를 잡지에 실린 연애담론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소설은 사랑이야기가 재현되는 가장 대표적인 양식으로 소설 자체가 연애담론이라고 할 수 있지만 소설이 가지고 있는 미학적 성찰의 계기가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따라 지배담론과 거리 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연애소설의 사랑이야기가 어떻게 당대 지배담론과 관계 속에서 구조화되는가를 시기적인 변화에 주목하여 알아보고자 했다. 60년대 연애담론은 여성의 성과 사회적 위치를 남성보다 열등한 것으로 배치하는 보수적 차별성을 지속적으로 보여준다. 순결이데올로기가 재생산되면서 연애담론은 내조담론의 하위담론으로 배치되고, 부부간의 정서적 교감의 문제는 주변화된다. 내조의 하나가 된 성과 사랑은 성적 기술의 문제로 수렴되고, 여성의 성과 사랑은 남편에게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도구로 전락한다. 그럼으로써 연애담론에서 이상적 여성은 ‘순결한 마돈나’의 모순적 이미지로 재현되는데 ‘낮에는 현부, 밤에는 창부’가 되는 타자화의 모순에 노출된다. 이러한 젠더화된 연애담론에 윤리적 명분을 제공하는 것이 ‘가정’으로, 성역 혹은 천국으로 비유되는 ‘가정’은 성과 연애, 결혼과 가족 관계까지를 규율하는 절대 가치로 등극하면서 60년대 연애담론의 보수성을 생산하는 윤리적 명분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연애담론과의 관계에서 볼 때 60년대 『여원』에 발표되었던 여성작가의 연재소설들은 65년을 계기로 뚜렷한 변화를 보여준다. 전반기의 작품들이 지식인 청년들의 순수한 사랑을 중심으로 지배담론에 대한 비판과 저항을 보여준다면 후기의 작품들은 부부관계의 갈등을 중심으로 특히 외도의 문제에 집중하면서 지배담론에 통합된다. 전기의 작품들에서 연애는 근대적 각성의 계기가 되거나, 사회를 변혁하는 정치적 힘으로, 또 자본주의적 속물성과 봉건적 관습을 비판하는 준거로 의미가 확장됨으로써 낭만적 사랑의 기획에 내포된 근대적 성찰의 계기를 일정하게 반영하고 있다. 반면 후기로 갈수록 작품들은 파격적인 사랑이야기를 흥미 유발을 위한 소재로 사용하면서 ‘가정’을 절대화한다. 여성의 성은 과잉 노출되면서 호기심을 자극하는 멜로물의 대상으로 재현되고, 연애는 삶을 결정적으로 파괴하는 비극적 조건으로, 타락한 청년들의 오락 정도로 취급된다. 여성의 성은 ‘가정’을 통해서만 안정과 화해를 찾게 되는데, 순결을 상실한 여성에게 도덕적 응징이 가해지면서 여성 억압이 강화된다. ‘로맨스빠빠’의 형상을 통해 봉건적 아버지와 외적 맥락은 다른, 그러나 실제 내용은 그대로 계승한 가부장의 아버지를 재정립한다. 로맨스 빠빠와 현모양처의 아내, 그리고 순결과 절제의 윤리성이 내부동력으로 규율하는 ‘가정’이 바로 65년 이후 연애소설의 중심 내용이 된다.

keywords
Romantic love, love discourse, Dominating discourse, Critical reflection, 'Home', Moral justice, 연애담론, 사랑이야기, 낭만적 사랑, 가정이데올로기, 비판적 성찰성, 로맨스 빠빠

Reference

1.

대중서사장르연구회, (2007) 대중서사장르의 모든 것, 이론과 실천

2.

박숙자, (1995) 가족과 성의 사회학, 나남

3.

앤소니 기든스, (1996) 현대사회의 성·사랑·에로티시즘, 새물결

4.

앨리 자레스키, (1983) 자본주의와 가족제도, 한마당

5.

윅스 제프리, (1994) 섹슈얼리티:성의 정치, 현실문화연구

6.

재크린 살스비, (1985) 낭만적 사랑과 사회, 민음사

7.

정용옥, (2004)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와 지식인, 선인

8.

조은, (1997) 근대가족의 변모와 여성문제, 서울대출판부

9.

또 하나의 문화, (1991) 새로 쓰는 사랑이야기, 또 하나의 문화

10.

김복순, (2007) 전후 여성교양의 재배치와 젠더정치, 여성문학연구

11.

김양선, (2007) 전후 여성문학 장의 형성과 『여원』, 여성문학연구

12.

김예림, (2007) 1960년대 중후반 개발 내셔널리즘과 중산층 가정 판타지의 문화정치학, 현대문학의 연구

13.

김은하, (2006)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 걸(전후 여성)” 표상의 의미, 여성문학연구

14.

김현주, (2006) ‘아프레 걸’의 주체화 방식과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의 구조, 한국문예비평연구

15.

다니자키 아쯔코, (2002) 현대 한국중산층 주부역할 형성과정에 관한 분석-6,70년대 여성잡지를 중심으로,

16.

송인화, (2004) 1960년대 여성소설과 '낭만적 사랑'의 의미 - 강신재와 한무숙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17.

송인화, (2008) 1960년대 연애 서사와 여성 주체- 정연희 <석녀>를 중심으로 -, 한국문예비평연구

18.

윤택림, (1996) 생활문화 속의 일상성의 의미-도시 중산층 전업주부의 일상생활과 모성이데올로기, 한국여성학

19.

이선옥, (2002) 열광, 그후의 침묵과 단절의 의미, 4월혁명과 한국문학, 창비

20.

임지연, (2006) 1960년대 초반 잡지에 나타난 여성/청춘 표상, 여성문학연구

21.

장미경, (2007) 1960-70년대 가정주부(아내)의 형성과 젠더정치: 여원, 주부생활 잡지 담론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