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arch for Unworldly Self-space of the Heroines in Chuimisamsonrok and Hwajungsonhaengrok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9, v.22 no.22, pp.149-185
Han Gil-Yeo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고는 여주인공이 시댁을 떠나 탈속적 자기공간으로 향하는 <취미삼선 록>과 <화정선행록> 두 작품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공간에 대한 당대 여성의 주체적 인식이 지니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고찰하는 한편, 공간의식과 관련한 두 작품의 의식적 지향성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두 작품에서의 탈속적 자기공간은 선계(仙界)와 흡사하게 형상화되고 있는 데, 이는 조선후기 당대 현실에서 고통을 겪었던 여성들이 한시 등을 통해 상 상 속에서 지향했던 선계를 실재적인 공간으로 구체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 통점을 보이고 있었다. 관념화된 이상을 현실화된 실재로 그려냄으로써 여성 의 새로운 대안공간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취미삼선록>에서는 여주인공이 일시적으로 탈속적 자기공간을 찾는다면, <화정선행록>에서는 여주인공이 지속적으로 탈속적 자기공간에 머문다는 점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그 원인은 <취미삼선록>의 여주 인공이 적국(敵國)보다 우위의 입장에서, 못난 남편을 만났다는 특수한 상황 이 부각되는 가운데, 별다른 자기각성 없이 자기공간으로 향한다면, <화정선 행록>의 여주인공은 적국보다 열세의 상황에서, 군자형 남편과의 불화를 통 해 당대 남성 일반의 여성에 대한 태도를 문제 삼으며, 대외적 활약을 통한 자기각성 속에서 자기공간으로 향하였기 때문임을 규명하였다. <취미삼선록>의 탈속적 자기공간이 시가(媤家)에 대한 ‘일시적 일탈공간’ 이라면, <화정선행록>의 탈속적 자기공간은 시가에 대한 ‘근원적 대체공간’ 으로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keywords
Chuimisamsonrok, Hwajungsonhaengrok, woman, space, unworldly self-space, space culture, temporary deviational space, substantial alternative space, 취미삼선록, 화정선행록, 여성, 공간, 공간문화, 탈속적 자기공간, 일시적 일 탈공간, 근원적 대체공간

Reference

1.

구선정, 「<취미삼선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105쪽.

2.

김명희, ꡔ허난설헌의 문학ꡕ, 집문당, 1987, 84~117쪽.

3.

김미선, 「<화정선행록> 연구-결연양상과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86쪽.

4.

김열규, 「여성과 집에 관한 시론」, ꡔ가와 가문ꡕ(김열규 외),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8, 1~29쪽.

5.

김영선, 「조선시대 양반가옥의 공간구조를 통해 본 여성통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1~108쪽.

6.

박부진, 「한국사회의 공간문화와 성차(性差)」, ꡔ여성가족생활연구ꡕ 4, 명지대학교 여성가족생활연구소, 1999, 137~157쪽.

7.

소인호, 「<취미삼선록> 연구」, ꡔ국어국문학ꡕ 113, 국어국문학회, 1995, 171~194쪽.

8.

손찬식, 「호연재 김씨의 시문학 연구」, 열상고전연구회 편, ꡔ호연재 김씨의 생애와 문학ꡕ, 보고사, 2005, 151~191쪽.

9.

신혜경, 「공간문화여 여성」, ꡔ한국여성학ꡕ 12권 2호, 한국여성학회, 1996, 227~260쪽.

10.

심재숙, 「고전소설에 나타난 늑혼 삽화의 양상과 그 의미」, ꡔ한국고소설사의 시각ꡕ, 국학자료원, 1996, 873~907쪽.

11.

이숙희, 「허난설헌과 김호연재의 시세계」, ꡔ한문교육연구ꡕ 20, 한국한문교육학회, 2003, 227~265쪽.

12.

이순구, 「조선시대 가족제도의 변화와 여성」, ꡔ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ꡕ 10,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119~142쪽.

13.

이승복, 「<옥환기봉>과의 관계를 통해 본 <취미삼선록>의 성격」, ꡔ국문학연구ꡕ 6, 국문학회, 2001, 283~322쪽.

14.

이이효재, ꡔ조선조 사회와 가족ꡕ, 한울아카데미, 2003, 1~200쪽.

15.

임치균, 「<취미삼선록> 연구-<옥환기봉>, <한조삼성기봉>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ꡔ고전문학연구ꡕ 30, 한국고전문학회, 2006, 351~378쪽.

16.

장효현, 「<화정선행록> 연구」, ꡔ정신문화연구ꡕ 26권 3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03, 93~120쪽.

17.

조광국, 「<화정선행록>에 나타난 다중결혼의 복합 구조」, ꡔ한국문학논총ꡕ 45, 한국문학회, 2007, 91~115쪽.

18.

탁원정, 「가정소설에 나타난 ‘집’ 연구」, ꡔ한국고전연구ꡕ 12, 한국고전연구학회, 2005, 407~450쪽.

19.

탁원정, 「17세기 가정소설의 공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180쪽.

20.

태혜숙, 「한국의 식민지 근대체험과 여성공간-여성주의 문화론적 접근을 위하여」, ꡔ한국여성학ꡕ 20, 한국여성학회, 2004, 33~56쪽.

21.

한길연, 「대하소설의 능동적 보조인물 연구-<임화정연>, <화정선행록>, <현씨양웅쌍린기> 연작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1~93쪽.

22.

한길연, 「탈속 공간을 지향하는 여성 영웅에 관한 소고」, ꡔ국문학연구ꡕ 7, 국문학회, 2002, 325~355쪽.

23.

한길연, 「<유씨삼대록>의 ‘설초벽’ 연구」, ꡔ국문학연구ꡕ 19, 국문학회, 2009, 171~191쪽.

24.

홍형옥, 「조선후반기 가족의 주거조절에 관한 연구」, ꡔ한국민속학보ꡕ 4, 한국민속학회, 1994, 139~175쪽.

25.

바슐라르, ꡔ공간의 시학ꡕ(곽광수 옮김), 민음사, 1990, 113~200쪽.

26.

배리 소온․매릴린 얄롬, 권오주 외 옮김, ꡔ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ꡕ, 한울아카데미, 1991, 1~338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