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Female Subjects in Zhang Lu's Films as Incarnated 'Boundarie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9, v.22 no.22, pp.123-146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소설가이며 영화감독이고 중국인이자 조선인의 정체성을 가진 장률 감독 은 살아있는 문화적 ‘경계’와도 같은 인물이다. 그의 영화에서 중국, 조선 그 리고 여성은 빠지지 않는 키워드이다. 특히 여성의 육체는 장률 감독이 디아 스포라 지식인으로서 가지고 있는 근원적 불안감과 복합적 욕망이 충돌하는 공간이다. 그의 영화에서 여성의 육체는 한 사회 내에서 권력이 작동하는 방 식이 가장 첨예하게 가시화되는 대상이며, 이는 ‘섹스’를 통해 더욱 극명하게 드러난다. ‘섹스’는 한 여성이 개인으로서 한 남성과 관계 맺는 방식과 국적과 계층적, 젠더적 특성들이 사회 안에서 어떻게 구조화되는지 보여주기 때문이 다. <경계>, <이리>, <중경>은 하위주체로서의 특성을 갖는 여성 주체와 생물학적으로는 남성지만 사회적으로 남성성을 상실한 여성적 주체들이 어떻 게 그들의 육신 위에 차별적 기표와 공간의 상처들을 각인하는지를 보여준다. 반면 이 작품들에서 남성적 주체들은 원초적 남성성이 구현될 수 있는 시공 *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 124 여성문학연구 22 간을 복원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그 시도는 예고된 좌절로 귀결되고 만다. 이 세 편의 작품에서 재현의 차원에서 가장 문제적인 인물은 <이리>의 진서인 데, 그녀는 스스로의 이름을 반복적으로 호명하는 행위를 통해 자신뿐 아니라 다른 여성인물까지 상징적 기표에서 살아있는 주체로 전환시킨다.

keywords
장률 영화, 문화 경계, 디아스포라, 여성 주체, 성, 호출, 상징표상, Zhang Lu's films, cultural boundary, diaspora, female subject, sex, primitive masculinity, calling, symbolic sign

Reference

1.

<경계>(Desert Dream), 2007, 125min.

2.

<이리><Iri>, 2008, 108min.

3.

<중경>(Chongqing), 2008, 95min.

4.

김영진, 「영화는 가짜입니다. 그렇지만 진짜이기도 합니다.’ <경계>의 장률 감독」, ꡔ필름 2.0ꡕ, 2007.11.17.

5.

「<중경>과 <이리>의 장률 감독」, ꡔ네오 이마주ꡕ, 2008.11. http://www.neoimages.co.kr/news/view/2014

6.

「<중경>, <이리> 장률 감독, 내 마음 속엔 시인이 앉아있다.」, ꡔScreenꡕ, 2008, 11. http://www.storysearch.co.kr/story?at=view&azi=157580

7.

Bourdieu, Pierre, 김용숙 역, ꡔ남성지배ꡕ, 동문선, 2003, pp.60~61.

8.

Grosz, E. A., 임옥희 역, ꡔ뫼비우스 띠로서의 몸ꡕ, 여이연, 2001. p.290.

9.

Morton, Stephen, 이운경 역, ꡔ스피박 넘기ꡕ, 앨피, 2005, p.119.

10.

Laura Mulvey,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a, Visual and other pleasures, Bloomington : Indiana University Press, 1989, p.17.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