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Feminization of Migration, Creating multi-scalar Placees and Juggling Identitie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9, v.22 no.22, pp.7-36
Hyun-Jae Lee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주여성에 대한 국내의 논의들은 이주여성을 단순히 체제나 구조의 희생 물로 볼 것이 아니라 주어진 정체성을 변형시키고 교섭시키는 행위자성을 발 휘하는 존재로 볼 것을 제안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필자는 이 논의들이 다음 과 같은 개념적 문제 자체를 다루지는 않고 있다고 본다. 우선 그들은 여성의 이주와 함께 만들어진 혼종적 공간을 언급하지만 그 공간의 다양한 켜들을 드러내 줄 수 있는 개념을 도입하고 있지 않다. 둘째로 그러한 논의들은 이주 여성들의 행위자성이 이주와 함께 생성된 새로운 장소성의 문제와 어떤 관련 을 맺고 있는지를 개념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본 논문에서 린다 멕다웰이 발전시키고 있는 “장소” 및 장 소의 “다층적 스케일”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여성의 이주와 함께 형성된 삶의 공간을 파악하고, 이 장소 속에 어떠한 다양한 스케일들이 교차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나아가 필자는 이주여성의 행위자성이 다층적 스케일의 장소 를 열어가고 그 안에서 자신의 정체성들을 “저글링”하는 과정에서 실현되고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keywords
agency, place, multiple scale, politics of scale, feminization of migration, 행위자성, 장소, 다층적 스케일, 스케일의 정치, 이주의 여성화

Reference

1.

김은실, 민가영, 「조선족 사회의 위기담론과 이주경험 간의 성별정치학」, ꡔ여성학논집ꡕ 23권 1호,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2006, 35~72쪽.

2.

김은실, 「지구화, 국민국가 그리고 여성의 섹슈얼리티」, ꡔ여성학논집ꡕ 제19집,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2002, 29~46쪽.

3.

김이선, 김민정, 한건수, ꡔ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과제ꡕ, 한국여성개발원, 2006.

4.

김현미, 「국제결혼의 전 기구적 젠더 정치학: 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ꡔ경제와 사회ꡕ 여름호 통권 70호, 비판사회학회, 2006, 10~35쪽.

5.

나윤경 외, 「결혼이주여성의 행위자성과 평생교육의 지향점 모색」, ꡔ평생교육학연구ꡕ 14권 4호, 한국평생교육학회, 2008, 185~213쪽.

6.

노승희, 「전지구화 시대의 대항 페미니스트 주체: 글로리아 안잘두아의 유색여성 페미니즘과 메스티자 주체론」, ꡔ영어영문학21ꡕ 제18권 1호, 21세기 영어영문학회, 2005, 27~52쪽.

7.

변혜정, 「조선족 여성의 몸일 경험과 여성성의 변화가능성」, ꡔ여성학논집ꡕ 24권 1호,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2007, 111~149쪽.

8.

아파두라이, 아르준, 차원현/채호석/배개화 역, ꡔ고삐 풀린 현대성ꡕ, 현실문화연구, 2004.

9.

이수자, 「이주여성 디아스포라: 국제성별분업, 문화혼종성, 타자화와 섹슈얼리티」, ꡔ한국사회학ꡕ 38권 2호, 한국사회학회, 2004, 189~264쪽.

10.

이안지영, 「젠더 시각에서 본 결혼 이주 여성의 ‘협상하는 시민권’」, 성공회대학교 NGO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9.

11.

이주영, 「한국 내 조선족 여성이주자의 가사노동 경험」, ꡔ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ꡕ, 한국사회학회, 2005, 33~38쪽.

12.

이해응, 「한국이주 경험을 통해 본 중국 조선족 기혼 여성의 정체성 변화」, ꡔ여성학논집ꡕ 22권 2호,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2005, 107~143쪽.

13.

이현재, 「정체성 개념분석-자율적 주체를 위한 시론」, ꡔ철학연구ꡕ 제71권 1호, 철학연구회, 2005, 263~292쪽.

14.

양정혜, 「소수 민족 이주여성의 재현;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관한 뉴스보도 분석」, ꡔ미디어, 젠더 & 문화ꡕ 7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47~77쪽.

15.

정현주, 「이주, 젠더, 스케일; 페미니스트 이주 연구의 새로운 지형과 쟁점」, ꡔ대한지리학회지ꡕ 43권 제6호, 대한지리학회, 2008, 894~913쪽.

16.

정현주, 「경계를 가로지르는 결혼과 여성의 에이전시」, ꡔ한국도시지리학회지ꡕ 12권 1호, 한국도시지리학회, 2009, 109~121쪽.

17.

한국염, 「이주의 여성화와 국제결혼」, ꡔ국제결혼을 통한 전복지역 이주여성의 올바른 지원방안을 위한 워크숍ꡕ, 2006, 3~17쪽.

18.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ꡔ느린 언어로의 낯설지 않은 대화2/이주여성 삶 이야기ꡕ, 2008.

19.

Norma Alarcón, “‘Doing’ Theory” in Gloria Anzaldúa(ed.), Making Face, Making Soul: Haciendo Caras, San Francisco: Aunt Lute, 1990, pp.356~369.

20.

Anzaldúa, Gloria, Borderlands/La Frontera: The New Mestiza, Sanfrancisco: Spinsters/Aunt Lute, 1987.

21.

Constable, Nicol(ed.), Cross-Border Marriages, Gender and Mobility in Transnational Asia,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5.

22.

Dean, Jodi, Solidarity of Strangers. Feminism after Identity Politics, Berkeley: Uni. of California Press, 1996.

23.

Hall, Stuart, “Cultural identity and diaspora”(1990), in L. McDowell(ed.), Undoing Place?, London: Arnold, 1997, pp.231~242.

24.

McDowell, Linda, Gender, Identity and Place,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9.

25.

Massey, Doreen, Space, Place and Gender, Minneapolis:Minnesota, 1994, Massey, Doreen, “Spaces of Politics”, Doreen Messey(eds.), Human Geography Today, Cambridge: Polity Press, 1999, pp.279~294.

26.

Massey, Doreen, “Spaces of Politics”, Doreen Messey(eds.), Human Geography Today, Cambridge: Polity Press, 1999, pp.279~294.

27.

Smith, Michael Peter, Transnational Urbanism; Locating Globalization, Blackwell, 2001. Smith, N., “Homeless/global: scaling places” In J. Bird, B. Curtis, T. Putnam, G. Robertson and L. Ticker(eds.), Mapping the Futures: Local Cultures, Global Change, London: Routledge, 1993, pp.99~101.

28.

Smith, N., “Homeless/global: scaling places” In J. Bird, B. Curtis, T. Putnam, G. Robertson and L. Ticker(eds.), Mapping the Futures: Local Cultures, Global Change, London: Routledge, 1993, pp.99~101.

29.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20XX716672.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