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Time of Repatriation and Reinstatement —The epics of women who experienced exil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9, v.22 no.22, pp.37-63
Jang, Youngeu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여성이라는 하위 주체의 침묵이나 죽음을 저항이나 치환 퍼포먼스로 해석 하는 작업의 중요성 못지않게 살아남기 위해 말하고 글을 쓴 여성들에 대한 관심과 독해의 필요성에 대한 문제의식이 이 글의 출발점이다. 특히, 망명지 에서 살아남기 위해 혹은 돌아오기 위해 글을 쓴 여성들의 청원서와 수기 형 식에 주목하여, 1946년 주세죽이 스탈린에게 제출했던 청원서와 1999년 박성 희가 귀국 후 출간했던 망명 수기를 분석했다. 주세죽의 청원서에서 주세죽이 생존과 귀환 그리고 복권을 위해 전(前) 남편인 박헌영에 대한 보필과 딸에 대한 양육을 간절하게 요청할 수밖에 없었던 맥락 그리고 박성희가 베를린에 서 서울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선택한 글쓰기의 의미를 기억의 복원과 주체 회복의 의지로 독해했다. 또한, 여성 망명자의 주체 회복의 의지와 그 과정을 귀환의 여정과 연결시켜 본다면, 망명 여성의 서사는 망명 여성의 복권(復權) 과정이며 동시에 망명 체험의 서사가 역사에 개입되는 역사적 글쓰기로 평가 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exile, repatriation, purge, reinstatement, subaltern, sati, 망명, 귀환, 여성 서사, 숙청, 복권(復權), 하위 주체, 순장(殉葬), 주체 회복, 주 세죽, 박성희

Reference

1.

박성희, ꡔ베를린, 그리고 3천일 만의 귀향-전 전대협 남측 대표 박성희의 망명수기ꡕ, 한울, 1999.

2.

이정박헌영전집편집위원회, ꡔ이정 박헌영 전집8ꡕ, 역사비평사, 2004.

3.

강만길․성대경 엮음, ꡔ한국사회주의운동 인명사전ꡕ, 창작과비평사, 1996, 469쪽.

4.

김진석, ꡔ니체는 왜 민주주의에 반대했는가ꡕ, 개마고원, 2009, 81~82쪽.

5.

권명아, ꡔ식민지 이후를 사유하다-탈식민화와 재식민화의 경계ꡕ, 책세상, 2009, 281~309쪽.

6.

고부응, ꡔ초민족 시대의 민족 정체성-식민주의․탈식민 이론․민족ꡕ, 문학과 지성사, 2002, 97쪽.

7.

박홍규, ꡔ누가 아렌트와 토크빌을 읽었다 하는가-한국 인문학의 왜곡된 추상주의 비판ꡕ, 글항아리, 2008, 348~353쪽.

8.

심지연, ꡔ최창익 연구ꡕ, 백산서당, 2009, 161~168쪽.

9.

송두율, ꡔ미완의 귀향과 그 이후ꡕ, 후마니타스, 2007, 225쪽.

10.

이상경 편집, ꡔ강경애전집ꡕ, 소명출판, 1999, 515쪽.

11.

이수자, ꡔ내 남편 윤이상 상․하ꡕ, 창작과비평사, 1998.

12.

이철, ꡔ경성을 뒤흔든 11가지 연애사건ꡕ, 다산초당, 2008, 239~260쪽.

13.

임경석, ꡔ이정 박헌영 일대기ꡕ, 역사비평사, 2004, 468~469쪽.

14.

임철규, ꡔ귀환ꡕ, 한길사, 2009, 13~17쪽.

15.

최인훈, ꡔ최인훈 전집15-화두2ꡕ, 문학과지성사, 2008, 77쪽.

16.

최진섭, ꡔ희망에 反하여 희망하라-한총련을 위한 변명ꡕ, 살림터, 1999.

17.

최혜실 편집, 백신애, ꡔ아름다운 노을ꡕ, 범우, 2004, 247~278쪽.

18.

나데쥬다 만델슈탐, 홍지인 옮김, ꡔ회상ꡕ, 2009, 21~85쪽, 579~612쪽.

19.

니콜 라피에르, 이세진 옮김, ꡔ다른 곳을 사유하자ꡕ, 푸른숲, 2007, 87~94쪽.

20.

니체, 송무 옮김, ꡔ우상의 황혼/반그리스도ꡕ, 청하, 1984.

21.

니체, 김정현 옮김, ꡔ니체전집14-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ꡕ, 책세상, 2002.

22.

라인하르트 코젤렉, 한철 옮김, ꡔ지나간 미래ꡕ, 문학동네, 1998, 235~415쪽.

23.

레이 초우, 장수현․김우영 옮김, ꡔ디아스포라의 지식인-현대 문화연구에 있어서 개입의 전술ꡕ, 이산, 2005, 60쪽.

24.

안토니 파그덴, 한은경 역, ꡔ민족과 제국ꡕ, 을유문화사, 2003, 169~170쪽.

25.

오다 스스무, 김은주 역, ꡔ동양의 광기를 찾아서ꡕ, 르네상스, 2004, 94~95쪽.

26.

차학경, 김경년 옮김, ꡔ딕테ꡕ, 2004, 34~41쪽, 54~71쪽.

27.

케이트 밀렛, 김전유경 옮김, ꡔ성 정치학ꡕ, 이후, 2009, 88쪽.

28.

폴 리쾨르, 김한식․이경래 옮김, ꡔ시간과 이야기1-줄거리와 역사 이야기ꡕ, 문학과지성사, 1999, 25~188쪽.

29.

한나 아렌트, 박미애․이진우 옮김, ꡔ전체주의의 기원1ꡕ, 한길사, 2006, 509~525쪽.

30.

江藤 淳, ꡔ小林秀雄ꡕ, 講談社, 2002, p.9.

31.

橋川文三, 「ꡔ葉隱ꡕとꡔわだつみꡕ」, ꡔ橋川文三著作集1ꡕ, 筑摩書房, 1985, pp.312~319.

32.

Svetlana Boym, The Future of Nostalgia, New York: Basic Books, 2001, Susannah Radstone, The Sexual Politics of Time: Confession, Nostalgia, Memory, London: Routledge, 2007.

33.

김철, 「프롤레타리아 소설과 노스탤지어의 시공(時空)」,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한국문학연구소 편, ꡔ‘고향’의 창조와 재발견ꡕ, 역락, 2007, 165~188쪽.

34.

구재진, 「이산문학으로서의 강경애 소설과 서발턴 여성」, ꡔ민족문학사연구ꡕ 34, 2007, 392~413쪽.

35.

권보드래, 「신소설의 성(性)․계급․국가」, ꡔ여성문학연구ꡕ 제20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12, 26~37쪽.

36.

박경화, 「탈식민주의와 페미니즘」, 고부응 편, ꡔ탈식민주의-이론과 쟁점ꡕ, 문학과지성사, 2003, 152쪽.

37.

이혜령, 「감옥 혹은 부재의 시간들-식민지 조선에서 사회주의자를 재현한다는 것, 그 가능성의 조건」, ꡔ대동문화연구ꡕ 64, 2008.

38.

임유경, 「북한 소설과 기억의 정치학-‘비전향장기수 주제’를 중심으로」, ꡔ사이ꡕ 4, 2008.

39.

Ashis Nandy, “Sati: A Nineteenth Century Tale of Women, Violence and Protest”, At the Edge of Psychology-Essay in Politics and Culture, Delhi: OUP, 1980, pp.1~31.

40.

Bill Ashcroft et al., The Empire Writes Black, London: Routledge, 1989, p.178.

41.

Gayatari Chakravorty Spivak, “Can the Subaltern Speak?” edited by Cary Nelson & Lawrence Grossberg, Marxism and Interpretation of Culture,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86, pp.271~313.

42.

Hayden White, “The Value of Narrativity in the Representation of Reality”, edited by Thomas Mitchell, On Narrativ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pp.2~3.

43.

Sonali Perera, Rethinking Working-Class Literature: Feminism, Globalization, and Socialist Ethics, differences: A Journal of Feminist Cultural Studies Vol. 19, No. 1, 2008, pp.2~10.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