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켈트족은 지구상에서 이미 사라진 민족이지만, 그 문화는 아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켈트 문화와, 서구 문화의 바탕을 이루는 그리스-로마 문화의 가장 큰 차이점은 켈트 문화가 자연과 꿈과 낭만성을 중시했다는 점이다. 이 점은 여성에 대한 켈트족의 태도에도 반영되고 있다. 켈트 사회 역시 모든 인도 유럽어족 사회처럼 가부장사회였지만, 그리스-로마 문화에 근간을 둔 다른 가부장사회들과는 큰 차이점을 보인다. 켈트족은 여성에게 상당한 권리를 부여했으며, 여성을 아주 귀하게 여겼다. 이러한 사실은 켈트족의 사회제도를 살펴보면 분명하게 드러난다. 그러한 특성은 켈트 신화 안에도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다. 켈트 여신들은 그리스-로마 여신들과는 큰 차이점을 보인다. 그녀들은 남성신에게 종속 되어 있는 존재가 아니라 독립적인 존재이며, 주체적으로 활동하며, 자신의 섹슈얼리티를 드러내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켈트 여신의 독립성은 <주권 여신>이라는 신화적 개념 안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켈트 신화 안에서 왕권의 보유자는 남성인 왕이 아니라,여성인 여신이다. 왕권은 왕의 존재로부터 나오는 것이 아니라, 여신의존재로부터 나온다. 여신은 왕권의 궁극적 담지자이며, 그것을 일시적으로 인간인 남성 왕에게 위탁하는 것에 불과하다. 서구에서 켈트적인 것은 바야흐로 대대적으로 부활하고 있다. 이것은충분히 예상되었던 것으로서, 우리는 이러한 문화 현상 안에서 켈트 신화가 가지고 있는 대안 담론으로서의 위치에 주목하게 된다. 켈트 신화는 상상력과 환상성이 중시되고 있는 탈근대 맥락 안에서 뚜렷한 문화적적성을 드러낸다. 그 적성의 중심에 켈트 여신 신화가 있다. 우리가 켈트여신들을 주목해 보아야 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서혜숙, ꡔ아일랜드 요정 이야기ꡕ,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4.
다케루베 노부야키 外, 박수정 옮김, ꡔ켈트 북구의 신들ꡕ, 들녘, 2000.
찰스 스콰이어, 나영균ㆍ전수용 옮김, ꡔ켈트 신화와 전설ꡕ, 황소자리, 2009.
Yann Brékilien, Mythologie celtique, Ed. du Rocher, Paris, 2000.
Jean-Louis Brunaux, Les Druides, Seuil, Paris, 2000.
Robert Graves, Les Mythes celtiques, Ed. Rocher, Paris, 2000.
Miranda Jane Green, Mythes celtiques, Points, Paris, 2003.
Ch. T. Le Roux, Carnac, Locmariaquer et Gavrinis, Ed. Ouest-France, Rennes, 2009.
F. Le Roux, Ch-J. Guyonvarc'h, La Souveraineté guerrière de l'Irlande, Gallimard, Paris, 2006.
Ch-J. Guyonvarc'h, Razzia des Vaches de Cooley, Gallimard, Paris, 1994.
Jean Markale, L'Epopée celtique de l'Irlande, Payot, Paris, 1993.
Jean Markale, La Femme Celte, Payot, Paris, 1987.
Jean Markale, Les Dames du Graal, Pygmalion, Paris, 1999.
Thierry Jolif, Tradition celtique, Pardès, Puiseaux, 2001.
Juliette Wood, Le livre de la sagesse celte, Grund, Paris, 2001.
이건우, 「보편적 신화소로서의 주권여신」, ꡔ인문논총ꡕ, 서울대학교, 2003, 269~30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