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4 · 19는 근대 한국에서 정권교체에 성공한 ‘혁명’이지만 그간의 연구는 주로 서울 지역 대학생들의 희생과 봉기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어왔다. 그러나기실 4 · 19는 전국의 고등학생들이 부패 정권에 항거하며 시작한 학생 의거로부터 출발해 3 · 15를 거치며 대학생과 시민 계층으로 순식간에 확산되었다. 이 논문은 4 · 19의 도화선으로 평가받은 3 · 15에 주목하여 3 · 15 당시 여성들의 활동을 기록물에 근거해 실증적으로 재구성했다. 3 · 15에 참여한 여성들의 그룹은 세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김주열의죽음을 애도하며 시위에 참가한 어머니 그룹은 3 · 15의 근저에 모성적 슬픔의 정서가 깔려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비약적인 정치의식의 발전을 보여주는 엘리트 여학생 그룹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백윤선 의거담은 김주열의 유서로 바뀐 한성여중생 진영숙의 유서와 함께 남성적으로 젠더화되는 혁명의성격을 드러내는 중요한 사례이다. 마지막으로 공적 기록에 남아 있지 않고, 자신을 드러낼 수도 없었던 윤락여성들의 참여가 있었다. 3 · 15 50주년을 맞이하여 이들은 지역에서 제작한뮤지컬과 드라마의 주요 인물로 부활하여 대중의 정서 속에서 혁명(의거)의거친 성격을 순화시키는 특별한 존재로, 또 3 · 15의 주역으로 새롭게 복권되고 있다. 이처럼 3 · 15뿐 아니라 4 · 19는 이제 지역별로, 또 젠더적 시각에서연구가 필요하며, 이런 방식을 통해 그간의 연구에서 놓친 4 · 19의 전지역적의미를 보충할 수 있을 것이다.
「고맙습니다 진 영숙 언니」, ꡔ조선일보ꡕ, 1960. 5. 1, 4면.
백한기, 「3월 15일을 세계적인 축제의 날로 만들자」, ꡔ3․15의거ꡕ 제10호, 3․15 의거기념사업회, 2008. 12.
「백윤선 의거담」, ꡔ3․15의거ꡕ 제4호, 3․15의거기념사업회, 1997년 봄.
3․15의거기념사업회, ꡔ승리의 기록ꡕ, 마산일보사, 1960.
「3․15당시의 학생들에게 듣는다」, ꡔ3․15의거ꡕ 제2호, 3․15의거기념사업회, 1996. 4.
「3․15의거 당시 학생회장들에게 듣는다」, ꡔ3․15의거ꡕ 제5호, 3․15의거기념사업회, 1997.
이윤택․문종근 뮤지컬 대담 「마산의 슈산보이 오성원이 의거 50년만에 다시 살아난다」, ꡔ3․15의거ꡕ 제11호, 3․15의거기념사업회, 2009. 12.
정성자, 「3․15증언대: 최류탄 뽑을 때 모두 피신했죠」, ꡔ3․15의거ꡕ 제7호, 3․15의거기념사업회, 1999. 10.
지현모, ꡔ마산의 혼ꡕ, MCY, 1961.
「진영숙양의 위령제 거행 한성여중서」, ꡔ동아일보ꡕ, 1960. 5. 17, 3면.
ꡔ학생혁명시집ꡕ, 효성문화사, 1960.
강만길, 「3․15항쟁의 역사성과 민주주의적 성격」, ꡔ3․15의거ꡕ 제7호, 3․15 의거기념사업회, 1999. 10, 40~45쪽.
김미란, 「김승옥 문학의 개인화 전략과 젠더」,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2005.
김주현, 「1960년대 ‘한국적인 것’의 담론지형과 신세대의식」, ꡔ상허학보ꡕ 제16집, 상허학회, 2006, 379~410쪽.
민유기, 「국가기억 대 민간기억의 갈등과 대안적 기념문화의 모색」, ꡔ사회와 역사ꡕ 제78집, 한국사회사학회, 2008, 65~95쪽.
3․15의거기념사업회편, ꡔ3․15의거사ꡕ, 휘문출판사, 2004.
에밀 뒤르케임, 노치준 외 역, ꡔ종교생활의 원초적 형태ꡕ, 민영사, 1992.
오창은, 「1960년대 소설의 4․19혁명 관련 양상 연구」,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1998. 6.
유럽사회문화연구소, ꡔ축제와 문화적 본질ꡕ,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6.
이은진, 「3․15마산 1차 의거, 누가 왜 참가하였는가」, ꡔ3․15의거ꡕ 제6호, 3․15의거기념사업회, 1998. 10, 28~49쪽.
이학렬, ꡔ간추린 마산 역사ꡕ, 경남, 2003.
최원식,임규찬, ꡔ4월 혁명과 한국문학ꡕ, 창작과비평사, 2002.
홍태영, 「프랑스 공화주의 축제와 국민적 정체성」, ꡔ정치사상연구ꡕ 제11집 1호, 한국정치사상학회, 2005, 153~17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