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조선후기 한글대하소설 속 여성의 시작(詩作) 양상과 그 소통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을 대상으로

A Study of Women's hanmun poetry in Korean roman-fleuve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0, v.24 no.24, pp.121-145
서정민 (서울대학교)

Abstract

본고는 조선후기 향유된 한글대하소설을 대상으로 작중에 형상화된 여성의 시작(詩作) 활동과 관련된 양상들을 살펴보고 그 의의를 논의한 것이다. 시를 짓는 것은 부덕에 어긋난다는 당대 현실 규범을 적절히 견제하면서 한글대하소설에서는 긍정적인 인물로 그리는 많은 주인공군 여성들의 시작 활동이 일상화된 모습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런 가운데 여성 작시(作詩)의 소통과 관련한 구체적인 상황 설정을 보여줌으로써 여성 작시의 소통이 내외의분별로 제한된다는 것 이상의, 보다 예각화된 소통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문학적 소양을 갖추고 시를 쓴 당대 현실 속 여러 여성들이 스스로 자신의 작품을 없애버렸다는 전형화된 기록의 양상과는 달리, 소설 작품속에서는 그러한 함장(含章)의 덕에 대한 관심이나 고려가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 나아가 소설에서는 오히려 여성들의 시로써 병풍을 제작하여 남기기도한다는 점에서 현실과 작중 현실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the second half of the Chosun Dynasty, Korean roman-fleuves, Woman, hanmun poetry, 조선후기, 한글대하소설, 소현성록, 유씨삼대록, 명행정의록, 여성, 한시

참고문헌

1.

<소현성록>, 이화여대 소장본 15권15책.

2.

<유씨삼대록>,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20권20책.

3.

<명행정의록>,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소장본 70권70책.

4.

심능숙, <옥수기>(김기동 편, 필사본고소설전집 권11, 아세아문화사, 1982, 745~747쪽).

5.

홍희복, 제일기언 , 박재연・정규복 교주, 국학자료원, 2001, 21~24쪽.

6.

<중앙일보>, 1966년 8월 25일자.

7.

구지현, 「김성달 집안의 문학적 공간과 교유」, 열상고전연구 16집, 열상고전연구회, 2002, 39~62쪽.

8.

구지현, 「시선집 우진(宇珎) 과 김성달 집안의 여성문학적 전통」, 열상고전연구 15집, 2002, 55~83쪽.

9.

구지현, 「 安東世稿 附聯珠錄 소재 작품의 작가와 시작시기 및 이를 통해 본 김성달 집안의 詩作活動 樣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9집, 2004, 45~83쪽.

10.

권성민, 「玉所 權燮의 국문시가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92, 1~84쪽.

11.

김경미, 「18세기 양반여성의 글쓰기의 층위와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1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5~50쪽.

12.

김명희, 「조선시대 여성 한시 문학사」, 동방학 9집,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03, 97~121쪽.

13.

김세은, 「통제 메카니즘으로서의 언어와 말하기-여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언어학보 46-3호, 한국언어학회, 2002, 80~115쪽.

14.

문희순, 「시화에 구현된 사대부가 여성 한시의 미적 특질」, 한국언어문학 62집, 한국언어문학회, 2007, 259~286쪽.

15.

박무영, 「여성시문집의 간행과 19세기 경화사족의 욕망- 정일당유고 의 간행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33집, 한국고전문학회, 2008, 369~406쪽.

16.

박무영, 「18세기 祭亡室文의 공적 기능과 글쓰기」, 한국한문학연구 32집, 한국한문학회, 2003, 317~352쪽.

17.

박무영, 「 호연유고 와 18세기 여성문학」, 열상고전연구 16집, 열상고전연구회, 2002, 63~89쪽.

18.

박무영, 「金浩然齋의 생애와 「호연유고」」,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1, 97~125쪽.

19.

박무영, 「‘여성적 말하기’와 여성한시의 전략」, 여성문학연구 2호, 한국여성문학학회, 1999, 15~42쪽.

20.

박영희, 「장편가문소설의 향유집단 연구」, 한국고전문학회 편, 문학과 사회집단 , 집문당, 1995, 319~361쪽.

21.

박영희, 「17세기 才子佳人小說의 수용과 영향-<호구전>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4집, 1998, 181~203쪽.

22.

백두현, 「조선시대 여성의 문자 생활 연구」, 진단학보 97호, 진단학회, 2004, 139~187쪽.

23.

서정민, 「<명행정의록>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6, 1~238쪽.

24.

서정민, 「<명행정의록>의 여성 형상화 양상」,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1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5, 279~300쪽.

25.

송성욱, 「17세기 중국소설의 번역과 우리소설과의 관계」, 한국고전연구 7집, 2001, 70~93쪽.

26.

심경호, 「낙선재본 소설의 선행본에 관한 일고찰-온양정씨 필사본 <옥원재합기연>과 낙선재본 <옥원중회연>의 관계를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38호, 한국학중앙연구원, 1990, 169~188쪽.

27.

이경하, 「17세기 士族 여성의 한문 생활, 그 보편과 특수」, 국어국문학 140집, 국어국문학회, 2005, 101~120쪽.

28.

정길수, 한국 고전장편소설의 형성 과정 , 돌베개, 2005, 1~379쪽.

29.

조혜란, 「<소현성록>의 보여주기 서술과 그 의미」, 한국고전연구 17집, 2008, 217~264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