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World's Notable Women's Biography in the Colonial Chosun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0, v.24 no.24, pp.147-179
Kim Sung yeu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한성도서주식회사의 『세계명부전』은 1922년부터 1937년까지 4판이 발행된 식민지 시기 대표적 번역 여성 전기이다. 한성도서는 출판부장 장도빈의관여 속에 번역 ‘위인전기총서’를 기획 간행했는데 출판사 실무진이자 인기대중작가 노자영이 『세계명부전』의 역자로 참여했다. 『세계명부전』을 발간한한성도서는 문화통치기를 맞아 대규모 민간 자본과 언론·문학·역사계 인물을확보하여 설립되었고 기업체형으로 운영된 출판사였다. 따라서 한성도서는1919년 3·1운동 직후 문화운동·계몽운동적 성격을 띠며 세계적 지식의 유입에 앞장섰지만 현실적으로는 총독부 검열에 통과될 수 있으며 상업적 경쟁력도 있는 출판물을 발간해야 했다. 이러한 정황 속에서 발간된 『세계명부전』은1890∼1900년대 발간된 서양 서적을 참조로 탄생한 1900∼1910년대 일본어본 여성 열전들을 다수 참조하여 편집·번역한 산물이다. 남성 전기와의 비교를 통해 『세계명부전』의 특성을 밝혀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세계명부전』이라는 여성 전기는 개인 단행본이 아닌 ‘열전’의 형식으로존재한다. 따라서 이들의 삶은 개별적 특수성이 조명되기보다는 어떤 패턴들을 보여주는데, 그것은 결국 현모양처 서사로 귀결된다. 따라서 여성 전기는‘공적 영역’의 ‘공인’으로 조명된 남성 전기와는 다른 삶의 서사를 가지고 있었다. 그들의 삶의 서사에서는 사회와 가정, 공과 사의 구분이 사실상 없었다. 또한 인물들의 내면적 고투는 노출되지 않고 본분에 충실함을 강조하여 기능적 인간으로 형상화된다. 『세계명부전』은 그 발간 전후 전기물과의 대조를 통해 통시적 존재 좌표를살펴볼 수 있다. 『세계명부전』 중 ‘로란부인’은 1907년에 『라란부인전』로 번역된 전사(前史)가 있어 이 둘의 비교를 통해 시대별 번역 전기의 특성을 규명할 수 있다. 또한 『세계명부전』 이후 발간된 『조선명부전』과의 비교를 통해번역 전기가 창작 전기에 미친 영향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한성도서 번역전기물 책임자였던 장도빈은 세계명부전 이 발간된 지 3년 후 『조선명부전』을 직접 저술·간행하는데 그 인물 선별 기준과 구성이 『세계명부전』과 유사한 측면을 보였던 것이다. 영미권 여성 전기들을 참조로 탄생된 일본어 여성전기의 직접적 영향력 속에서 탄생한 『세계명부전』이 『조선명부전』으로 귀결되는 경로는 조선의 근대적 정체성 형성에 서구화와 식민화의 문제가 가로놓여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keywords
Translated Biography, Women's Biography, Westernization, Colonization, good wife and wise mother(Hyun mo yang che), World's Notable Women's Biography(Segye myongbu jeon), Chosun Notable Women's Biography(Chosun myongbu jeon), 『세계명부전』, 『조선명부전』, 『라란부인전』, 한성도서주식회사, 번역전기, 서양여성전기, 현모양처 서사, 서구화, 식민화

Reference

1.

동아일보

2.

서울

3.

학생계

4.

개벽

5.

삼천리

6.

여성

7.

춘성, 양주 공편, 세계명부전 , 한성도서주식회사, 1937.

8.

永山盛良, 泰西名婦伝 , 勢陽堂, 1901.

9.

松浦政泰. 近世名婦伝 (大日本文明協会刊行叢書 ; 第13編), 大日本文明協会, 1909.

10.

高須芳次郎(梅渓)著, 東西名婦の面影 (家庭百科全書 ; 第32編),博文館, 1911.

11.

前田雪子著, 偉人の妻 (家庭百科全書 ; 第37編), 博文館, 1912.

12.

김예림, 「조선, 별천지의 소비에서 소유까지-에로그로 취향과 식민지 근대의 타자 상상」, 1930년대 후반 근대 인식의 틀과 미의식 , 소명, 2004, 263~275쪽.

13.

노자영, 유수낙화집 , 청조, 1935, 58~59쪽.

14.

동아일보사, 동아일보사1 , 동아일보사, 1975, 421쪽.

15.

박용옥, 한국근대여성운동사연구 , 정신문화연구원, 1984, 114쪽.

16.

양문규, 「1910년대 매일신보 소설에 나타난 일상성의 문제」,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 근대 일사생활과 매체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6, 24~25쪽.

17.

이중연, ‘책’의 운명-조선~일제 강점기 사회 사상사 , 혜안, 2001, 438~439쪽.

18.

이형랑, 「근대 이행기 조선의 여성교육론」, 동아시아의 국민국가 형성과 젠더 , 하야카와 노리요 외 지음, 이은주 옮김, 소명, 2009, 139쪽.

19.

이혜령, 한국소설과 골상학적 타자들 , 소명, 2007, 252쪽.

20.

임경석 편저, 동아시아 언론매체 사전 , 논형, 2010, 1491쪽.

21.

전경옥, 한국 여성 정치사회사 , 숙명여대 아시아여성연구소, 2004, 210쪽.

22.

최혜실, 신여성들은 무엇을 꿈꾸었는가 , 생각의 나무, 2000, 147쪽.

23.

홍금자, 「 기독신보 에서 보는 식민지 조선의 비공식적 여성교육」, 동아시아의 국민국가 형성과 젠더 , 하야카와 노리요 외 지음, 이은주 옮김, 소명, 2009, 161쪽.

24.

사이토 준이치 지음, 윤대석 외 옮김, 민주적 공공성 , 이음, 2009, 35쪽.

25.

앙드레 슈미트 자음, 정여울 옮김, 제국 그 사이의 한국 , 휴머니스트, 2009, 55쪽.

26.

우에노 치즈코 지음, 이선이 옮김, 내셔널리즘과 젠더 , 박종철출판사, 1999, 204쪽.

27.

조지 모스 지음,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옮김, 내셔널리즘과 섹슈얼리티 , 소명, 2004, 169쪽.

28.

하버마스, 공론장의 구조변동 , 나남, 2001, 27~28쪽.

29.

권보드래, 「1920년대 ‘연애’담론과 기획출판」, 한국현대문학연구 27집, 2009, 7~30쪽.

30.

김성연, 「한성도서주식회사 출간 번역전기물 연구」, 상허학보 30집, 2010.10, 223~262쪽.

31.

김성연, 「근대 초기 청년 지식인의 성공 신화와 자기 계발서로서의 번역 전기물: 프랭클린 자서전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42집, 2010.10, 273~310쪽.

32.

김수진, 「전통의 창안과 여성의 국민화: 신사임당을 중심으로」, 분단체제하 남북한의 사회변동과 민족통일의 전망 , 국학연구원 학술회의 자료집, 2007.7, 191~223쪽.

33.

김종수, 「일제 강점기 경성의 출판문화 동향과 문학서적의 근대적 위상-한성도서주식회사의 활동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 35, 2009, 247~292쪽.

34.

김지연, 「조선명부전」에 반영된 여성인식」, 여성문학연구 9호, 2003.6, 213~232쪽.

35.

이태숙, 「1920년대 ‘연애’담론과 기획출판」, 한국현대문학연구 27집, 2009, 173~180쪽.

36.

박숙자, 「1920년대 사생활의 공론화와 젠더화」, 한국근대문학연구 13호, 2006, 179~198쪽.

37.

송명진, 「역사, 전기소설의 국민 여성, 그 상상된 국민의 실체 - 애국부인전 과 라란부인전 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46집. 2010.3, 249~268쪽.

38.

우미영, 「신여성 최영숙론-여성의 삶과 재현의 거리」, 민족문화연구 45호, 2006, 293~328쪽.

39.

유선영, 「3・1운동 이후의 근대 주체 구성」, 대동문화연구 66집, 대동문화연구원, 2009, 255~295쪽.

40.

이영아, 「신소설의 개화기 여성상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0, 10~11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