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여성 혁명가의 귀환, 그 이후 -해방기 여성혁명가의 형상과 가족 서사

Return of Woman Revolutionaries and Afterward -The Figuration and Family Epics of Woman Revolutionaries in the Liberation Period-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0, v.24 no.24, pp.181-223
박지영 (성균관대학교)

Abstract

본고는 해방기 텍스트에 나타난 여성 혁명가의 형상을 살펴보는 것이 그목적이다. 해방이 되자 해외에 있거나 지하에 숨어있던 여성 혁명가들은 조국으로 귀환한다. 해방기 여러 매체에서는 이들의 귀환을 앞다투어 다루고 이는식민지 시기 서사화되지 못했던 여성 혁명가의 존재성을 입증한다. 이러한 여성혁명가들의 존재는 당대 여성 해방의 열망에 큰 계기를 제공한다. 실제로남북한 단정 수립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여성해방은 민족국가건설 운동과 함께 여성들의 주요 투쟁 목표였다. 이러한 해방과 혁명 열기에 힘입어 문학 텍스트에도 여성혁명가의 형상이나타난다. 문학텍스트에서 여성혁명가들은 가족 서사의 틀 내부에서 등장한다. 아버지가 부재하거나, 부정하고 출발하는 해방기 혁명 서사에서 어머니는이를 대신할 새로운 진보적 표상이었다. 또한 여성노동자인 누이의 형상화 역시 혁명기 노동자 주체의 소환과 동시에 진행된다. 그리하여 김상훈의 경우처럼, 해방기 혁명 서사의 주체들은 혁명적인 가족서사를 꿈꾸었고 이는 연대와포용을 기반으로한 새로운 유토피아적 ‘민족 국가’의 형상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 역시 남성중심주의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다. 해방기는아비를 부정하고, 여성혁명가들이 호명되지만, 이들은 직접적으로 형상화되지못한다. 대신 그 자리에 이름을 잃은 ‘어머니’와 여성노동자 ‘누이’가 등장한다. 더 나아가 결국 어머니들은 희생되며, 이를 딛고 아들(오빠)가 일어선다. 이는 해방기가 여전히 청년의 시대였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또한 이들 누이,혹은 어머니의 호명 역시 당대 남성 주체 재건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당대 역사적 상황으로 인해 훼손된 남성 주체성을 보상받기 위한 것이었다. 정서적파토스로 이성적 논리의 파행을 극복하려 한 것이다. 그런데 해방기를 지나 대한민국 건국 이후의 텍스트에는 여전히 혁명가인누이와 어머니가 호출된다. 1980년대 민중 서사에 등장하는 어머니, 누이상이그 예이다. 이는 해방기에 남성주체들이 어머니를 호명했던 것처럼, 이 또한대한민국 정치사 전반을 넘어, 아직도 이러한 남성성의 억압, 그리고 위기가현재 진행형이라는 점을 암시하는 것이다. 그래서인지 소위 진보적 남성 작가들도 ‘어머니’ 혹은 ‘누이’를 대한민국 남성성의 상처를 수습해 줄 만병통치약으로 호명하는 데 무의식적으로 공모하게 된다. 해방기 가족 서사는 이러한공모의 출발점이다.

keywords
the liberation period, woman revolutionary, return, women’s liberation, establishment of a nation state, family epics, progressive mother, woman worker, sister, masculine independence, impairment, compensation, 해방기, 여성혁명가, 귀환, 여성해방, 민족국가건설, 가족서사, 진보적인 어머니, 여성노동자, 누이, 남성주체성, 훼손, 보상

참고문헌

1.

신천지

2.

여성공론

3.

여성문화

4.

여성신문

5.

독립신보

6.

민성

7.

인민

8.

신건설

9.

학병

10.

문학

11.

김남천, 1945년 8.15 , 작가들, 2007.

12.

김상훈, 항쟁의 노래-김상훈전집 , 친구, 1989.

13.

권명아, 「가족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책세상, 2000.

14.

김동훈, 「마지막 빨치산’ 정순덕 할머니 숨져.”」, 한겨레 , 2004년 4월 2일.

15.

김윤식, 임화연구 , 문학사상사, 1989.

16.

김지혜, 「해방기 소설에 나타난 여성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7.

남화숙, 「인물발굴, ‘여장군’ 김명시의 생애」, 여성사연구회 편, 여성 2, 창작사, 1988.

18.

류진희, 「염상섭의 「해방의 아들」과 해방기 민족서사의 젠더」, 상허학보 27집, 상허학회, 2009.10, 161쪽~190쪽.

19.

박용규, 「미군정기의 여성신문과 여성운동」, 한국언론정보학보 , 통권 19호, 한국언론정보학회, 2002.11, 125쪽〜154쪽.

20.

윤덕영, 「자료소개 해방 직후 신문자료 현황」, 역사와현실 , 제16권, 한국역사연구회, 1995.6, 341쪽~379쪽.

21.

이기성, 「해방기 시에 나타난 가족주의와 국가주의」, 상허학보 , 제26집, 상허학회, 2009.6, 151쪽~192쪽.

22.

이나영, 「금지주의와 국가규제 성매매 제도의 착종에 관한 연구」, 사회와역사 통권 제75집, 한국사회사학회, 2007.9, 39쪽~76쪽.

23.

이상경, 「1930년대 사회주의 여성에 관한 연구」, 성평등연구 제10집, 2006, 49쪽∼80쪽.

24.

이승희, 「한국여성운동사 연구 : 미군정기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梨花女大 박사학위논문, 1991.

25.

이임하, 「특집 : 역사 속의 여성노동; 해방 뒤 국가건설과 여성노동」, 역사연구 제15호, 역사학연구소, 2005.12, 33쪽~62쪽.

26.

이혜령, 「‘해방기’ 식민기억의 한 양상과 젠더」, 여성문학연구 Vol.19, 2008, 233쪽〜266쪽.

27.

이혜령, 「해방(기); 총 든 청년의 나날들」, 상허학보 27집 상허학회, 2009.10, 9쪽~50쪽.

28.

이혜령, 「특집 : 근대지식으로서의 사회주의와 그 문화,문화적 표상 : 감옥 혹은 부재의 시간들-식민지 조선에서 사회주의자를 재현한다는 것, 그 가능성의 조건-」, 대동문화연구 Vol.64,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8, 71쪽〜118쪽.

29.

장영은, 「특집 : 근대지식으로서의 사회주의와 그 문화, 문화적 표상 : 아지트 키퍼와 하우스 키퍼-여성 사회주의자의 연애와 입지-」, 대동문화연구 64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8, 185쪽〜214쪽.

30.

조대형, 「미군정기의 출판연구」,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 석사학위논문, 1988.

31.

정종현, 「유관순 표상의 창출과 전승」, 한국문학연구 제36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9.6, 155쪽~209쪽.

32.

천정환, 「해방기 거리의 정치와 표상의 생산」, 상허학보 , 제26집, 상허학회, 2009.6, 55쪽~101쪽.

33.

최명표, 「해방기 김상훈 시의 갈등 양상」, 현대문학이론연구 Vol.35, 현대문학이론학회, 2008, 49쪽〜71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