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백신애 소설 연구 -여성 작가와 정체성 탐색의 글쓰기

A Study on the Paik Shin-ae's novel -Female Author and Writing of the Quest for Identity-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0, v.24 no.24, pp.257-291
우신영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본고는 백신애 소설이 여성 작가의 정체성 탐색 과정을 보여준다는 가정하에, 그 정체성 탐색의 소설적 형상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백신애는 그가 갖고 있는 경계인적 성격으로 인해 소설 창작 과정에서 작가 의식의 변천을 보였다. 백신애는 안락한 여성 부르주아의 삶을 향유하도록 요구하는 어머니와 투쟁과 참여의 삶을 추구하는 오빠 사이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한다. 이는 데뷔작 「나의 어머니」를 통해 형상화되며, 이 작품은 이후 백신애 소설 세계의 해석 방향을 틀지워줄 수 있다. 둘째, 백신애의 소설 세계를 1기, 2기, 3기로 나누어 각 작품군의 특징과통시적 변화를 살폈다. 먼저 백신애는 자전적 서사의 시도를 통해 작가 자신의 글쓰기 자체가 정체성 투쟁의 성격을 가지는 것임을 보인다. 1기 소설에서는 유이민 문학이나 빈민소설 등을 창작함으로써 이념을 통한 세계 이해 경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작품들은 백신애라는 작가 개인의 삶과는 다소 거리가있는 세계를 다루고 있었던데 반해 2기 소설에서는 작가 자신이 몸담고 있던체험 세계에 대한 성찰이 수행된다. 이 시기 작품들에서는 무력한 남성지식인의 내면이나 가부장제에 의해 희생되는 중산층 여성들의 삶이 형상화되기 시작한다. 3기 소설에서는 절대미나 힘에 능동적으로 투신하는 여성 주체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이를 통해 작가 자신이 참된 여성 주체를 표명하는 과정을엿볼 수 있다. 셋째, 작가의식의 궤적과 작품 세계를 분석하는데 있어 백신애의 수필을활용하였다. 그 결과 수필에 드러난 작가의 경험과 관념이 백신애 소설의 해석에 원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이 과정에서 백신애의 새로운 수필 「서리찬새벽. 벌레 먹은 포푸라입새. 아! 상엽(霜葉)의 임종(臨終)이여, 부러워라」를발굴하였다.

keywords
Paik Shin-ae, Paik Shin-ae's novel, quest for identity, marginal being, female subject, feminine writing, autobiographical novel, 백신애, 백신애 소설, 정체성 탐색, 경계인, 여성 주체, 여성적 글쓰기, 자전적 소설

참고문헌

1.

백신애, 「나의 어머니」, 조선일보 , 1929.1.1.

2.

백신애, 「落伍」, 중앙 , 1934.2.

3.

백신애, 「納凉二題」, 조선문단 , 1935.4~5., 183쪽.

4.

백신애, 「정거장 4제」, 삼천리 , 1935.10.

5.

백신애, 「鄭賢洙」, 조선문단 , 1935.12.

6.

현대조선여류문학선집 , 조선일보출판부, 1937.

7.

백신애, 「私囁」, 조광 , 1937년 제3권9호, 45쪽.

8.

백신애, 「서리찬 새벽. 벌레 먹은 포푸라입새. 아! 霜葉의 臨終이여, 부러워라」, 조선일보 , 1937.10.7 5면.

9.

백신애, 「昏冥에서」, 조광 , 1939년 5월.

10.

백신애, 「狂人手記」, 조선일보 , 1938.6.25~7.7.

11.

백신애, 「아름다운 노을」, 여성 , 1939.11~1940.2.

12.

백신애 저, 최혜실 편, 아름다운 노을(외) , 범우, 2004.

13.

백신애 저, 이강언 편, 제목 없는 이야기 , 홍익출판사, 2005.

14.

백신애 저, 이중기 편, 백신애 선집 , 현대문학, 2009.

15.

이재선, 한국단편소설연구 , 한국학술정보, 2003, 193쪽.

16.

Philippe Lejeune, 윤진 역, 자서전의 규약 , 문학과 지성사, 1998, 35쪽.

17.

김지영, 「백신애 소설 연구」, 현대소설연구 38, 2008, 35~67쪽.

18.

김현전, 「백신애소설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논문, 1991.

19.

방영이, 「한국근대소설에 나타난 여성의식연구」, 전북대학교 박사논문, 1992.

20.

서정자, 「일제강점기 한국 여류소설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논문, 1987.

21.

안숙원, 「백신애의 반미학과 페미니즘」, 여성문학연구 4, 2000, 315~349쪽.

22.

이강언, 「백신애 생애고」, 향토문학연구 6, 2003, 64~82쪽.

23.

이은숙, 「백신애 소설연구」,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석사논문, 1989.

24.

이은희, 「백신애 소설연구」, 건국대학교 석사논문, 1990.

25.

정끝별, 「여성성의 발견과 ‘여성적 글쓰기’의 전략」, 여성문학연구 5, 2001, 307~336쪽.

26.

정일진, 「백신애소설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논문, 1989.

27.

조남현, 「개화기 지식인소설의 양상」, 한국학보 7, 1981, 89~106쪽.

28.

조남현, 「박영희소설 연구」, 인문과학논총 18, 1986, 25~43쪽.

29.

최혜실, 「백신애 문학에 나타난 이중적 타자성」, 현대소설연구 24, 2004, 25~48쪽.

30.

표언복, 「한민족문화의 외연」, 한민족문화연구 20, 2007, 117~156쪽.

31.

하소양, 「백신애연구」, 충남대학교 석사논문, 1990.

32.

한명환, 「백신애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1986.

33.

한명환, 「백신애문학연구의 향방과 전망」, 인문과학논총 23, 2009, 103~133쪽.

34.

홍성순, 「백신애 소설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003.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