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1960년대 여대생 작가의 글쓰기와 대중성

Female college student writers’ writing and popularity in 1960'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0, v.24 no.24, pp.87-118
조은정 (성균관대학교)

Abstract

이 글은 1950년대 말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여대생 작가의 글쓰기 특징과대중성을 최희숙과 박계형을 통해 해명하였다. 1959년 최희숙을 필두로 신희수, 박계형 등 일련의 여대생 작가가 출현하였는데, 이들의 작품은 독서시장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모두 영화화되었다. 1950∼60년대 제도권 여성문학이 ‘부인’ 작가 중심이었던 점을 감안할 때, 그리고 기존 논의가 ‘아프레걸’로 재현된 여대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음을 상기할 때 여대생 작가의 글쓰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대생 작가가 등장하는 배경에는 전후 ‘프랑스와즈 사강’이나 ‘안네 프랑크’와 같은 ‘10대’ 여성의 글쓰기가 흥행한 측면이 관련된다. 한국의 ‘유사 사강’을 필요로 했던 출판시장은, 글쓰기를 실천할 수 있는 교양과 지성을 구비하였을 뿐 아니라, 대중들의 선망과 비난의 시선이 착종된 양가적 위치에 있었던 여대생 필자를 발견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등장한 최희숙의 일기는 심각한 경제난과 어머니의 죽음을 통해 방황하는 젊음을 형상화하고 있다. 여기에서 1950∼60년대 신문에 등장한 여대생의 자살, 의식조사 기사를 함께 비교해보면, 최희숙의 작품은 당대 여대생의 고민과 내면을 핵심적으로 관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프레걸’에 대한 편견과 달리, 여대생은학력자본과 경제자본의 불일치 속에서 불행한 일상을 보내고 있었으며, 그리하여 몇몇은 일탈을 경험하기도 했던 것이다. 한편 박계형의 소설은 개인의 자유로운 선택에 따른 연애와 결혼, 부르주아 가정의 행복한 일상으로 그 사랑이 완성되는 ‘낭만적 사랑’의 서사를 보여준다. 이때 다른 작가와 다른 박계형의 ‘낭만적 사랑’이 갖는 특징을 포착하기위해서는 서사와 동시에 소설적 장치, 디테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시기여대생의 설문조사를 참조해보면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은 여대생의 결혼과 관련된 판타지를 적확하게 반영하고 있다. 그런데 이 소설이 주인공의 시한부 선고에서 시작되어 죽음으로 끝난다는 점에서, 이 같은 스토리가 판타지라는 것을 작품 스스로 확인시킨다.

keywords
여대생, 아프레걸, 최희숙, 박계형, 낭만적 사랑, 프랑소와즈 사강, 댄스, female college students, Apres-guerre, Choi Hee-sook, Park Gye-hyeong, romantic love, Francoise Sagan, dance

참고문헌

1.

경향신문

2.

동아일보

3.

매일경제

4.

조선일보

5.

박계형,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 삼육출판사, 1992.

6.

최희숙, 슬픔은 강물처럼 , 신태양사, 1959.

7.

권보드래 외, 아프레걸 사상계를 읽다 , 동국대학교출판부, 2009, 61∼286쪽.

8.

양평, 베스트셀러 이야기 , 우석, 1985, 110∼145쪽.

9.

고선희, 「사랑이야기의 젠더적 특성과 1960년대 여성 주체」, 성균관대 국문과 대학원 ‘한국근대문화론’ 수업 발표문, 2009, 1∼12쪽.

10.

김복순, 「1960년대 소설의 연애전유 양상과 젠더」, 대중서사연구 19호, 2008, 7∼56쪽.

11.

김은하, 「전후 국가 근대화와 ‘아프레 걸(전후 여성)’ 표상의 의미-여성잡지 여성계 여원 주부생활 을 대상으로」, 여성문학연구 16호, 2006, 177∼209쪽.

12.

김현주, 「‘아프레 걸’의 주체화 방식과 멜로드라마적 상상력의 구조-정연희의 목마른 나무들 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21호, 2006.

13.

노지승, 「1950년대 후반 여성 독자와 문학 장의 재편」, 한국현대문학연구 30호, 2010, 346∼375쪽.

14.

박정애, 「‘여류’의 기원과 정체성-50~60년대 여성문학을 중심으로」, 인하대 박사학위논문, 2003.

15.

송인화, 「1960년대 여성소설과 ‘낭만적 사랑’의 의미-강신재와 한무숙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11호, 2004, 222∼250쪽.

16.

송인화, 「1960년대 연애 서사와 여성 주체」, 한국문예비평연구 25호, 2008, 143∼175쪽.

17.

최미진, 「1950년대 신문소설에 나타난 아프레 걸」, 대중서사연구 18호, 2007, 119∼152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