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The Concept of Urban Carrying Capacity and its Application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05, v.0 no.23, pp.108-127

Abstract

환경용량의 개념은 지속가능한 개발을 달성할 수 있는 실행적이고 이용가능한 수단으로 볼 수 있다. 자연환경과 인공적인 환경과 결합된 특성으로 인해서 환경 용량 특히 도시환경과 관련된 연구들이 많지 않은 편이다. 도시는 기본적으로 자 연환경과 인공환경으로 구성되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공간이어서 도 시환경용량의 평가를 더욱 복잡하게 만든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환경용량을 평가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영국의 역사 도시 체스터 시를 사례로 자세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체스터 시의 도시환경용량 평가는 크게 2단계로 구성되며 1단계에서는 도 시와 관련된 활동과 수요 간의 긴장관계를 인식하는 단계이며, 2단계에서는 용량 을 인식하고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체스터 시에서 제시한 환 경용량 평가의 틀은 경기도와 같이 급속히 성장하는 도시의 성장관리정책을 위한 유용한 분석틀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도시환경용량, 체스터 시, 성장관리정책, carrying capacity, chester, threshold

Reference

1.

국토연구원, (1999) 국토 환경용량에 관한 연구,

2.

김선희, (1999) 환경용량 개념과 측정방법 , 국토연구원 working paper

3.

김선희, (2001) 환경용량평가이론 및 사례분석 연구, 국토연구

4.

경기개발연구원, (1999) 경기지역 도시개발용량 평가항목과 평가기준 개발연구,

5.

경기개발연구원, (1999) 경기도 도시성장관리 정책에 관한 연구,

6.

경기개발연구원, (2002) 성장관리 프로그램구축과 수도권계획 합리화 방안,

7.

경기개발연구원, (2003) 경기도의 계획적 개발․관리를 위한 기본계획 및 개발계획의 정합성 확보방안,

8.

(2000) 지속가능한 평가대상 시행방안.평가항목.평가 지표(설명회자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9.

문태훈, (2001) 지탱가능한 발전을 위한 서울시 환경용량의 산정과 정책적 함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10.

문태훈, (1999) 환경용량평가의 적용사례 및 활용방안, 서울시 환경용량평가의 의의 및 추진방향에 관한 워크숍

11.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6) 서울시 성장관리기법의 도입에 관한 연구,

12.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9) 서울시 환경용량 평가에 관한 연구Ⅰ,

13.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0) 서울시 환경용량 평가에 관한 연구Ⅱ,

14.

오규식, (2003)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달성하기 위한 통합적 도시 수용력 평가체계 수립, 국토계획

15.

이동근 ; 윤소원, (2002) 동아시아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평가모형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16.

이희연, (2001) 시스템-오리엔터 분석기틀을 적용한 도시의 지속가능성 측정을 위한 지표설정 방안, 국토계획

17.

전유신 ; 문태훈, (2003) 도시성장관리를위한개발밀도관리모델 수립에관한연구, 국토연구

18.

제주도, (1997) 제주도 친환경지표 개발연구,

19.

환경부, (2000) 국가환경성 평가지표 개발․적용연구,

20.

Godschalk, David R, (1977) Carrying Capacity Application in Urban Plannning,

21.

Cheshire County Council, (1993) Chester City Council,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English Heritage, Environmental Capacity and Development in Historic Cities,

22.

Bo Shelby and Thomas A. Herberlein, (1996) Carrying Capacity in Recreation Settings, Oregon State Univ. Press

23.

Godschalk, David R, (1979) Carrying Capacity Applications in Growth Management A Reconnaissance, Department of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24.

Helne Briassoulis and Jan van der Straaten, (1992) Tourism and the Environment Regional, Economic and Policy Issu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5.

Oh, Kyushik, (1998) Visual Threshold Carrying Capacity in Urban Landscape Management: A Case Study of Seoul, Kore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26.

Peter Drummond and Corinne Swain, (1993) Environmental Capacity of a Historic City: The Chester Experience (The Compact City: A Sustainable Urban Firm?), E & FN SPON

27.

Onishi, Takashi, (1994) A Capacity Approach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An Empirical Study, Journal of the Regional Studies Association, Regional Studies

28.

末石富太, (1993) 環境計劃論: 環境資源 開發‧保全の 基礎として, 森北出版社

29.

國立公害硏究所, (1989) 제1회 環境容量シンホシ゜ウ- 環境容量の槪念と應用,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