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을 위한 수도권 정책 방향

Suggestions on Seoul Metropolitan Area Policy for Promoting Mutual Concern with Other Areas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07, v.0 no.27, pp.52-80
강현수 (중부대학교)

초록

참여정부는 국가균형발전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삼고 수도권 기능의 지방분산정책을 추진해왔다. 그렇지만 기존의 수도권 규제를 일부 완화하는 등 수도권정책에 대해서는 다소 혼란스러운 입장에 있다. 이 와중에 수도권 규제 정책의지속을 주장하는 입장과, 수도권 규제 정책의 완화나 철폐를 주장하는 입장 사이에 갈등이 드러나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수도권 규제를 둘러싼 소모적인 갈등은 국민 통합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의식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이함께 상생할 수 있는 해법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상생을위해서는 수도권의 인구와 산업이 지금 수준보다 더 집중되지는 않아야 한다는전제에서 수도권 집중억제 정책의 필요성과 수도권 규제 완화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상생 방안으로, 수도권은 양적 성장보다는질적 성장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수도권 정책의 목표, 수도권에 대한지나친 개발 규제, 수도권 기능과 재원의 지방 이전 장치 확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유기적 분업과 특화, 합의에 의한 수도권의 계획적 관리 및 구체적인 목표지표, 수도권 시민들의 자발적 역할 등을 제시했다. 마지막으로 비수도권 지역에서 지역 발전을 위한 주체적 노력을 강조했다.

keywords
수도권 정책, 수도권 규제, 국가균형발전, 지역 간 상생발전, Seoul Metropolitan area policy. regulations at Seoul Metropolitanarea, decentralization policy,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bstract

In Korea, the very rapidly economic industrialization resulted in a mono-polarized spatial structure of the Capital Region, that is,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divergence of regional disparities. The socio-economic dominance of Seoul Metropolitan Area in the last few decades accelerated the depression of other areas. As a result,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become a sort of national black hole.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has pushed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as the core policy tasks since 2003. However, as some mitigation of regulations at Seoul Metropolitan area by this government, decentralization policy had got confused, and started contradicting itself. This paper aims to suggest on Seoul Metropolitan area policy for promoting mutual concern with other areas in Korea and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e conclusion is as follow: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hould shift its focus from quantitative expansion to qualitative development and it should promote mutual development with other areas rather than racing ahead as a sole axis for development as was the case in the past. So the current framework of regulations for the area should be maintained, and exceptional mitigation of regulations should be selectively limited on parts for national competitiveness enhancement. it is important that a policy to stabilize the area’s population. The move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government bodies out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hould be pushed forward. On the top of the strong population stabilization policy, local authorities should plan and promote various businesses to make the area a better place to live in. This approach will make the mutual development with other parts of Korea through cooperation and facilitate the area’s growth as a world-class city.

keywords
수도권 정책, 수도권 규제, 국가균형발전, 지역 간 상생발전, Seoul Metropolitan area policy. regulations at Seoul Metropolitanarea, decentralization policy,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참고문헌

1.

강현수, (2002) 수도권 경제력 집중의 실태와 개선방안 . 수도권과 비수도권간의 지역격차 , 한울

2.

강현수, (2003) 국가균형발전특별법(안)의 주요쟁점,

3.

_____. 206. 수도권 계획적 관리의 개념과 필요성 . ≪도시정보≫,

4.

강홍빈 , (2004) 신개발주의 비판: 균형발전과 신개발주의의 갈등, 공간환경학회와 도시연대 공동개최

5.

_____. 205b. 수도권 발전대책 . 국가균형발전위원회.,

6.

_____. 206. 2006년도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

7.

경기도, (2004) 수도권 성장관리 기본구상 ,

8.

고영구, (2006) 수도권 규제완화 논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강원발전연구원 공동주최

9.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3) 국가균형발전의 비전과 과제,

10.

_____. 205. 경기도 발전전략 연구 .,

11.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4) 신수도권 발전 및 혁신도시 건설 방안 ,

12.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3) 수도권정책의 현황 및 개선방향,

13.

국토연구원, (2006) 국토개발전략의 국제비교와 한국에 대한 시사점,

14.

국토연구원, (2005) 지방분산·분권과 국토균형발전의 대응과제,

15.

김용웅, (2003) 참여정부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성공조건과 과제 , 한국공간환경학회·참여사회연구소 공동주최 정책심포지엄

16.

김용웅, (2006) 대수도론의 본질과 대응방안, 21세기 낙동포럼 대구경북경제통합포럼 공동주관

17.

대한민국 정부, (2006) 제3차 수도권 정비계획,

18.

류종현, (2006) 최근 수도권 규제완화의 주요쟁점과 대응방안 ,

19.

박양호, (2004) 수도권과 지방의 상생발전방안,

20.

박양호, (2002)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중추기능의 공간적 재편방안 , 국토연구원

21.

변창흠, (2006) 참여정부 수도권 정책의 성격과 개선과제 , 환경정의 주최

22.

변창흠, (2001) 수도권 성장관리 관점에서 본 수도권 정책의 쟁점 , 푸른경기21 실천협의회·한국공간환경학회 공동주최

23.

변창흠, (2003) 국가경쟁력 강화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수도권 계획적 관리 방안. 동북아경제중심 추진을 위한 수도권의 계획적 관리방안,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

24.

서순탁, (2006) 수도권 계획적 관리를 위한 시스템 구축방향,

25.

이동우, (2004) 형성을 위한 수도권 공장입지규제시책의 과제와 개선방안. 상생과 도약을 향한 국토정책방안, 국토연구원

26.

이상대, (2004) 수도권 성장관리계획의 필요성과 수립방안,

27.

정준호, (2007) 한국경제의 공간구조― 현실과 함의, 참여사회연구소

28.

초의수, (2006) 수도권 정책이 지역균형발전정책에 미치는 효과, 환경정의

29.

통계청, (2005) 시도별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30.

허재완, (2004) 수도권 정책전환과 수도권성장관리체제의 구축방안,

31.

황희연, (2001) 수도권 정책은 지방육성책과 연동화되어야, 공간과 사회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