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nd the Recovery of Publicness: Critical Reflections on the Korean Practices of Urban Regeneration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1, v.21 no.3, pp.39-65

Abstract

도시재생은 변동기의 우리 도시들을 환골탈태시키고, 나아가 지구화시대 도시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이고, 도시의 개성과 정체성을 고양시키는 데 적잖은 기여를 할 것이라고 한다. 이는 도시재생의 긍정성을 의미하는 것이고, 또한 도시재생이 도시계획의 새로운 지배담론이 되고 정책 프로그램이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정책의 경로 의존성 때문인지, 아니면 우리의 실천 역량 부족 때문인지모르지만, 정책으로 보편화되고 또한 제도로 표준화되는 추세 속에서 드러나는도시재생의 실질적인 모습은 기존 도시정비방식과의 변별이 뚜렷하지 않은 한계가 엿보이고 있다 말하자면, 도시재생이란 이름의 도시정비사업들은 여전히 기존의 싹쓸이 재개발, 재건축 방식을 닮아 있고, 재생이란 이름으로 장소화된 오랜역사와 문화를 말끔히 지워낸 뒤, 그 위에 강한 부동산 개발의 욕망이 꿈틀거리는 기호를 달아 놓고 있다. 특히 문화가 도시재생의 화두가 되고 몸통이 되는 추세와 비례하여, 문화의 도구화, 상업화, 식민화, 권력화 경향도 동시에 읽혀지고있는 것이 사실이다. 잘못 꿰어진 도시재생은 급격한 도시화를 겪는 동안 더불어살아가는 미덕을 갖추지 못한 우리 도시의 병, 즉 ‘공공성의 결핍증’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 우리 도시에 도시재생이란 수술의 칼을 들이댄다면, 그 효과는 ‘공공성 결핍’이란 환부를 도려내고 치유하는 데 집중되어야 한다. 하지만 거꾸로이를 악화시키는 역효과를 낳는다면, 아직도 제도화가 안 된 ‘도시재생’, 특히 문화적 얼굴을 한 도시재생에 대해 가감 없는 비판이 가해져야 하고, 또한 예방을위한 철저한 보완책이 지금쯤은 강구되어야 한다.

keywords
도시재생, 문화적 재생, 경로의존성, 사회적 재생, 재생주체, 문화적 재생산구조, urban regeneration, cultural regeneration, path dependency, social regeneration, cultural reproduction structure

Reference

1.

김호철. 2010. 도시재생활성화를 위한 법제 개편의 방향 . 국토해양부. 한국토지주택공사 주관 <도시재생활성화 및 법제 개편을 위한 공청회> 발제자료 (2010.4.17).

2.

서수정 조준배 임현성. 2007. 공공건축의 가치향상을 위한 정책방향 및 추진방향 . 건축도시연구소 보고서(AURI-기본-2008-6).

3.

양재섭. 2008. 자족도시 육성을 위한 복합 뉴타운 건설방안 . 인천광역시의회 주관<성공적인 도시관리를 위한 시민토론회> 토론문(2008.6.10).

4.

염철호 조준배 심경미. 2008. 건축도시공간의 현대적 공공성에 관한 연구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보고서(AURI-기본-2008-8).

5.

이명범. 2009. 우리는 왜 도시재생을 이야기 하는가? . 도시재생네트워크 지음. 뉴욕 런던 서울의 도시재생 이야기. 서울: 픽셀하우스.

6.

이재우 이영은. 2010. 포괄적 도시재생을 위한 연계성 강화방안 . 국토해양부. 한국토지주택공사 주관 <도시재생활성화 및법제 개편을 위한 공청회> 발제자료 (2010.4.17).

7.

조명래. 2002. 한국사회의 도시론. 서울: 한울.

8.

조명래. 2006b. 문화도시만들기의 문제점과 특성화 전략 . 푸른경기21협의회 주관 <지자체의 문화도시 조성과 특성화 전략 심포지엄> 발표논문(2006.12.18).

9.

조명래. 2007a. 지속가능한 균형발전을 위한 지역공동체의 회복과 구성 . 국토연구원주관 <지역문화발전과 지역공동체 형성전략모색 토론회> 발표원고 (2007.7.19).

10.

조명래. 2007b. 지속불가능한 토목도시의 문제와 과제: 부산 영도고가도로를 중심으로 . 부산환경운동연합 주관 토론회 발표문(2007.7.14).

11.

조명래. 2007c. 지구화 시대 경제사회의 변화와 도시재생의 중요성 . ≪국토≫, 3월호.

12.

조명래. 2007d. 우리의 공공건축, 무엇이 문제인가? . 건설기술건축문화선진화위원회 주관 <제1차 공공건축 설계포럼> 발제문(2007.9.10).

13.

조명래. 2008a. 광주아시아문화도시론 . 광주아시아문화도시백서 수록 원고.

14.

조명래. 2008b. 도시, 공공영역, 공공디자인 . 홍익대학교 대학원 특강 발제문 (2008.4.9).

15.

조명래. 2008c. 인천의 변신은 무죄인가?: 최근 인천도시발전의 빛과 그림자 . 세얼재단 조찬경연 발표문(2008.7.9).

16.

조명래. 2009a. 한국도시개발의 비판적 성찰 . 인천광역시 주최 <세계지속가능도시 포럼> 기조발제문 (2009.8.20).

17.

조명래. 2009b. 왜 우리는 초고층에 열광하는가 . 부산 환경운동연합 주관 <부산의 지역재생형 공간으로의 재탄생을 위한 시민토론회> 발제문(2009.8.25).

18.

충남발전연구원. 2008. 중소도시재생 정책방향과 추진계획(최종보고서안).

19.

Douglass, M. 2008. “Livable cities: neo-liberal v. convivial modes of urban planning in Seoul.” ≪국토연구≫, 제59권.

20.

Lefevre, H. 1991. Production of Space. Nicholson-Smith D. (trans.). Oxford: Blackwell.

Space and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