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국제적 대규모 행사의 유치 경쟁에 따른 파급 효과의 왜곡 구조 사례 연구

Case Study on the Distortion of the Regional Development Effects of World Scale Events as a Result of Hosting Competition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1, v.21 no.4, pp.164-194
변창흠 (세종대학교)

Abstract

최근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장소마케팅과 지역개발의 수단으로 경쟁적으로 올림픽경기대회나 세계박람회와 같은 대규모 행사를 유치하기 위하여 경쟁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대규모 행사는 항상 지역발전을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며, 어떤 행사는 재정적자와 불균형발전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논문은 대규모 행사의 유치와 집행의 구조를 분석하여 파급효과가 어떻게왜곡되는지를 대규모 행사의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분석하고자 한다. 사례 대상이되는 대규모 행사로는 인천세계도시축전, F1 자동차경기대회, 2012 여수세계박람회, 2018평창 동계올림픽경기대회 등이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공식적인 예산서나 감사 결과서, 수입과 비용을 담은 계획서를 주로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사례 연구를 통해 대규모 행사는 당초의 유치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가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실패의 원인으로는 임기 내 가시적인 성과를내고자 하는 지방자치단체장의 느슨한 계획, 낙관적인 예산 전망, 과장된 명분 등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 연구에서 대규모 행사는 결국 지방자치단체의재정적자를 유발해내는 반면 파급효과는 크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를 통해 대규모 행사의 유치구조와 집행체계는 유사하지만 지역발전효과는 상이함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대규모 행사를 유치하기 전에 지역의상황이나 유치 후에 건설된 시설의 활용가능성을 미리 검토하고, 대규모 행사의유치에 대해 신중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대규모 행사, 여수세계박람회, 평창동계올림픽, 장소마케팅, mega-events, the Yeosu EXPO, 2018 Pyeongchang Wnter Olympic Gamesplace marketing

참고문헌

1.

감사원. 2011. 「감사결과 보고서: 지방자치단체 국제행사 유치 및 예산집행 실태」. 2011.7.

2.

김길성‧박복재. 2006. 「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한 여수시 국제화전략」. 한국항만경제학회.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2권 제1호.

3.

김길성. 2008. 「여수세계박람회의 경제적 효과 제고방안: 광양만권을 중심으로」. 한국항만경제학회.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4권 제3호.

4.

김성현. 2005. 「지역축제의 지역경제 활성화 영향분석」. ≪한국행정학보≫, 제39권 제4호(2005 겨울호), 221~246쪽.

5.

김창수. 1990. 「특집: 박람회와 건축, 대전엑스포93 마스터플랜을 수행하면서」. 대한건축학회. ≪건축≫, 제34권 제16호, 통권 제157호.

6.

김현호. 2009. 「지역축제의 현황과 합리화 방안」. 한국재정공제회, 35~48쪽.

7.

레이 치리. 2007. 「전시되는 것과 은폐되는 것: 세계박람회는 상하이에 무엇을 남길까」. 인천문화재단. ≪플랫폼≫, 통권 제6호.

8.

박근수. 2004. 「축제유형별 브랜드개성의 차이를 활용한 대전엑스포과학공원 활성화 방안」. 한국관광학회. ≪관광학연구≫, 제28권 제2호, 통권 47호.

9.

박홍철. 2002. 「EXPO행사장의 사후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산업연구원. 2004. 「2012년 세계박람회 유치타당성 연구」. 최종보고서.

11.

서명희. 2002. 「독일과 한국의 국제박람회 비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송종석. 1990. 「특집: 박람회와 건축, 세계 박람회의 의의와 연혁」. 대한건축학회. ≪건축≫, 제34권 제16호, 통권 제157호.

13.

신용석. 2008. 「특집: 세계박람회, 세계박람회를 다시 생각한다」. 인천문화재단. ≪플랫폼≫, 통권 제8호.

14.

안경모. 2000. 「2000고양세계박람회의 경영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제48차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15.

오덕성. 1996. 「특집: 국가이벤트와 건축, 대전엑스포93 사후의 기능적 전이」. 대한건축학회. ≪건축≫, 제40권 제9호.

16.

오 명. 1990. 「특집: 박람회와 건축, 대전엑스포93의 의의와 방향」. 대한건축학회. ≪건축≫, 제34권 제16호, 통권 제157호.

17.

유명희. 2006. 「박람회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 2000 & 2003 고양세계꽃박람회의 운영 및 성과 비교분석」. 한국창업정보학회. ≪창업정보학회지≫, 제9권 제1호.

18.

유재경. 2003. 「지역진흥 이벤트로서 일본 박람회 역할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일본학회. ≪일본문화연구≫, 제9집.

19.

윤영우. 2003. 「메가이벤트(Mega Event)를 통한 지역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건철. 2008. 「2012여수세계박람회 준비관련 보완대책(안)」. 전남발전연구원. ≪리전인포≫, 통권 제132호.

21.

이낙현. 2004. 「일본 근대화에 있어서의 박람회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제5권 제1호.

22.

이낙현. 2006. 「지역개발에 있어서의 박람회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제7권 제1호.

23.

이만희. 2002. 「안면도 국제꽃박람회가 지역경제에 미친 효과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장은주. 1996. 「지방자치단체 이벤트사업의 활성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7쪽.

25.

전영옥. 2003. 「도시어메니티 개선과 기업의 대응」. 삼성경제연구소.

26.

조길환. 2008. 「여수세계박람회를 대비한 도시재생의 추진전략과 과제」. 전남발전연구원. ≪전남비전21≫, 통권 제53호.

27.

주수현. 2003. 「대규모 이벤트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분석 모형 개발」. 부산발전연구원.

28.

최진혁. 2007. 「대전엑스포(과학공원)의 운영합리화 방안」. 한국거버넌스학회. 2007 동계공동학술대회자료집 .

29.

한혜진. 2007. 「2005 아이치국제박람회를 이용한 지역조성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동북아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현대경제연구원. 2011.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의 경제적 효과」. 2011.7.6.

31.

2012여수세계박람회조직위원회. 2007. 「2012세계여수박람회 기본계획」

32.

2012여수세계박람회조직위원회. 2008. 「2012세계여수박람회 종합 기본계획」.

33.

Burbank, Matthew J., Greg Andranovich, Charles H. Heying. 2002. “Mega-event, Urban Development, and Public Policy.” Review of Policy Research, vol.19, no.3, pp.179~202.

34.

Byeon, Changheum. 2010. “Implementation Structure and Regional Development Effects of World Scale Mega-event in Korea: focused on the EXPO.” International Symposium on City Planning 2010, 2010. 8.28-30. Nara., Japan. hosted by The City Planning Institute of Japan.

35.

Cobb, Steven. 2003. “The Importance of Import Substitution in Regional Economic Impact Analysis: Empirical Estimates from Two Cincinnati Area Events.”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August 1993. Vol.7, 3. pp.282~286.

36.

Hall, C. Michael. 2006. “Urban entrepreneurship, corporate interests and sports mega-events: the thin policies of competitiveness within the hard outcomes of neo-liberalism.” Sociological Review, vol.54, pp.59~70.

37.

Hong-bin Kang. 2004. “Mega events as urban transformer: the experience of Seoul.” ≪서울도시연구≫, 제5권 제3호(2004.9), 1~15쪽.

38.

Jones, Calvin. 2001. “Mega-events and host-region impacts: determining the true worth of the 1999 Rugby World Cup.”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Research, vol.3, no.3, May/June, pp.241~251.

39.

Koch, Karl. 2002. “Classification of local and regional events in central Europe based on estimates of S-wave spectral variance.” Geophysical Journal International, vol.151, no.1, pp.196~208.

40.

Ritchie, J. R. B. 1984. “Assessing the Impact of Hallmark Events: Conceptual an Research Issues.”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23, no.1, pp.2~11.

41.

Ritchie, J. R. Brent and Brian H. Smith. 1991. “The Impact Of A Mega-Event on Host Region Awarenes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Travel Research, Vol.30, No.1, pp.3~10

42.

Roche, Maurice. 1994. “Mega-events and urban policy.”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21, no.1, pp.1~19.

43.

Spilling, Olav R. 1996. “Mega event as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The case of the 1994 Lillehammer Winter Olympics.” Entrepreneurship & Regional Development:An International Journal, Vol.8, no.4, pp.321~344.

44.

Spilling, Olav R. 1996. “The entrepreneurial system: On entrepreneurship in the context of a mega-even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36, no.1, pp.91~103.

45.

Wall, Geoffrey. 1988. “Effects of hallmark events on cities.”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15, no.2, pp.280~281.

46.

Whiteford, Michelle. 2009. “A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event public policy:Facilitating regional development.” Tourism Management, vol.30, no.5, pp.674~682.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