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동아시아의 복합위기의 특성과 대응단위로서 평화도시의 가능성과 전략

The Complex Crisis in East Asia and the Peace City as its response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2, v.22 no.3, pp.39-66
이기호 (한신대학교)

초록

이 글은 동아시아에 대한 복합위기의 특징을 논하고 이에 대한 대응전략으로서기존의 거대도시들이 갖는 위험성을 지적하고 평화도시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동아시아 복합위기의 특성은 기존의 도시화가 진전되면서 발생한 전통적 위기와 21세기 이후 더욱 분명해진 새로운 도전들이 복합되어나타나며 위기의 요인들 간에 상호작용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다양하고 불확실한 위기를 초래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 복합위기는 동아시아의 냉전체제를 비롯한 국가 간 갈등이 중첩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국가 단위의 대응전략이 근본적으로 한계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동시에 거대도시군을 이루면서 성장의 동력으로 작동하고 있는 도시들은 그 자체가 하나의권력이 되어 중소도시를 비롯한 도시 간의 격차와 불균형을 초래하여 새로운 위기를 만들어내고 있음을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 평화도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특히 평화도시는 동아시아의 냉전구조와 기존의 민족주의 혹은 국가주의 담론의 틀에 갇혀 있는 국가 및 국가 간 협력의 한계를 내재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히 도시 간 협력이 아니라 국가의 성격을 동시에 전환해가는 새로운 패러다임임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평화도시의 전략이 시민국가와 친화력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시민국가의 개념과 시민국가로의 전환 가능성을 동시에모색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평화도시가 국경을 넘는 협력단위로 어떻게 가능할수 있는지를 시론적 차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keywords
복합위기, 동아시아, 평화도시, 시민국가, 거대도시, 평화도시네트워크, Peace City network, Mega City, Complex Crises, East Asia, Civic State

Abstract

This article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crises in East Asia through the concept and expanding role of the ‘Peace City’ as a possible strategy in responding to such crises while considering the perils of ‘mega cities’as well. The aspects of complex crisis in East Asia have become ever more complicated, interconnected between traditional crises and the new challenges of the 21st century and coupled with greater uncertainty. Particularly in East Asia, there remain remnants of the Cold War which have contributed to and further aggravated the complex crises in the region, creating even greater uncertainties and testing the limitations of nation-states’ problem solving. At the same time, Mega-cities have become another factor contributing to the growing gap betwee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is article intends to focus on the concept of ‘peace city’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is crisis. Peace city is suggested as a solution that not only strengthens cooperation beyond borders to overcome the nationalism and statism left over from the Cold War structure, but also one that can gradually transfo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itself from nation state to civic state and possibly herald a new state paradigm. Though it is at a trial level, this paper attempts to articulate the concepts of both the peace city and the civic state and how these concepts can practically respond to the complex crisis in East Asia.

keywords
복합위기, 동아시아, 평화도시, 시민국가, 거대도시, 평화도시네트워크, Peace City network, Mega City, Complex Crises, East Asia, Civic State

참고문헌

1.

강상중 외저. 2007. 공간: 아시아를 묻는다 . 한울.

2.

강현수. 2007. 도시, 소통과 교류의 장 . 삼성경제연구소.

3.

구갑우. 2006. 「한반도분단체제와 평화국가 만들기」.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3주년 기념심포지엄(2006.8.10).

4.

김국신. 2007. 동북아 지역 내 NGO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 . 통일연구원.

5.

김세훈·이기호 외저. 2009. 공공성 PUBLIC . 미메시스.

6.

김용창. 2011. 「새로운 도시발전 패러다임 특징과 성장편익 공유형 도시발전 전략의구성」. ≪공간과 사회≫, 35, 105~150.

7.

박재욱. 2009. 지방정치와 동북아 도시 거버넌스: 부산, 오사카, 상하이의 비교사례 연구 . 집문당.

8.

사사키 마사유키. 2010. 창조도시를 디자인하라 . 미세움.

9.

신도철. 2008. 21세기 새로운 지역발전정책 패러다임 .

10.

아키오 이가라시. 2009. 「일본 도시의 평화정책」. 분쟁지역 평화를 위한 도시 간 네트워크와 평화도시의 역할 (성공회대학교 국제심포지엄, 2009.7.23).

11.

와다 하루키. 2004.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 . 일조각.

12.

이기호. 2010. 「동아시아 시민사회 지역구상에 대한 고찰」. ≪동향과 전망≫, 78, 183~212.

13.

이태호. 2006. ‘평화국가 만들기와 시민사회운동’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3주년 기념 심포지엄(2006.8.10).

14.

장세훈. 2005. 「체제전환기 북한의 도시화 추이와 전망」, <북한 ‘도시정치’의 발전과 체제변화: 청진, 신의주, 혜산을 중심으로> 북한도시연구 세미나 제3회 2005년 6월 9일.

15.

한광섭. 2012. 새로운 물결의 동아시아를 본다 . 한울.

16.

吉本哲郎. 2008. 地元学を始めよう . 岩波書店.

17.

坂本義和. 2005. 世界秩序と市民社会 . 岩波書店.

18.

篠原一. 2005. 市民の政治学 . 岩波書店.

19.

東アジア環境情報発伝所(編). 2006. 環境共同体としての日中韓 . 集英社.

20.

梅林宏道. 2011. 非核兵器地帯 . 岩波書店.

21.

鳩山由紀夫. 2009. 「私の政治哲学」. ≪VOICE≫, 2009年 9月号.

22.

毛利和子·森川裕二編. 2006. 図説ネットワーク解析 . 岩波書店.

23.

Bookman, Milca Z. 2006. Tourist, Migrants and Refuges.

24.

Florida, Richard, Gulden Tim, Mellander Charlotta. 2008. “The Rise of the Mega-Region.”Cambridge Journal of Regions, Economy and Society, vol1. Issue. 3, 459~476.

25.

http://peace.cside.to/

26.

http://www.aseanregionalforum.org

27.

http://www.mayorsforpeace.org/data/pdf/mayors_for_peace_document_pack_en.pdf

28.

http://www.mayorsforpeace.org/english/index.html

29.

http://www.peace.net.nz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