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both historical-structural aspect and socialpractices that produce specific space through the case of the Jeju-Island. Both natural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that has been recognized and lived as spaceof the Jeju have been the conditions of actions or practices of the Jeju people, butthese environments could not have existed without their actions or practices. Inorder to analyse these complex interrelations, this paper employs spatial social theoryproposed and developed by Henry Lefebvre. Lefebvre had tried to sophisticate spatialsocial theory that could deal with spatial aspect of our society. His idea on spacereached its high point in The Production of the Space. There have been controversiesaround his urban theories, but it is undeniable that he played a pivotal role ofinspiring a lot of geographers, sociologists and historians to introduce space intotheir research. With Lefebvre, this paper explores conflicts between dominant abstractspace and everyday concrete space(space of differences). From this point ofview, the case of Jeju through which we can explore how the development focusingtourism has eroded the spatial consciousness of Jeju people will be analyzed in termsof communal ties. And then it criticizes the modern urban development and discussesan alternativ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강세나. 「새로운 관광 인프라 조성-‘탐라문화광장’」.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지방행정≫, 62권 714호, 70~71.
구도완. 2006. 「한국 환경운동의 담론-낭만주의와 합리주의」. ≪경제와 사회≫, 제69호, 128~153.
김동주. 2012. 「제주도 바람의 사회적 변형과 그 함의-자원화와 공유화」. ≪환경사회학연구ECO≫, 제16권 1호, 163~204.
김선필. 2013. 「제주 지하수의 공공적 관리와 공동자원 개념의 도입-먹는 샘물용지하수 증산 논란을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ECO≫, 제17권 2호, 41~78.
김치완. 2011. 「제주에서 철학하기 시론: 로컬리티 담론과 제주학 연구 현황 검토를 중심으로」. ≪탐라문화≫, 제39호, 177~213.
매일경제 세계지식포럼 사무국. 2012. 다보스 포럼, 자본주의를 버리다 . 매일경제신문사
배윤기. 2012. 「제주해군기지 건설에 대한 로컬-기반의 이해와 로컬리티의 정치」. ≪한국민족문화≫, 제43호, 345~389.
부만근. 2012. 제주지역개발사 . 제주발전연구원
서영표. 2008. 「영국 신좌파 논쟁의 재해석-헤게모니개념에 대한 상이한 해석」. ≪경제와 사회≫, 제80호, 248~274.
서영표. 2009a. 런던코뮌-지방사회주의의 실험과 좌파 정치학의 재구성 . 이매진
서영표. 2009b. 「소비주의 비판과 대안적 쾌락주의-비자본주의적 주체성 구성을 위하여」. ≪공간과 사회≫, 32호, 5~41.
서영표. 2012a. 「도시적인 것, 그리고 인권?-‘도시에 대한 권리’ 논의에 대한 비판적개입」. ≪마르크스주의연구≫, 제9권 4호, 68~102.
서영표. 2012b. 「사회비판의 급진성과 학문적 주체성-급진민주주의론의 옹호를 위한 자기비판」. ≪경제와 사회≫, 제96호, 190~217.
서영표. 2013. 「사회운동이론 다시 생각하기: 유물론적 분석과 지식구성의 정치」. ≪민주주의의 인권≫, 제13권 2호, 303~346.
서영표. 2014. 「민주주의의 생태적 확장과 녹색사회로의 전환」. ≪계간민주≫, 제10호, 44~69.
엄상근. 2013. 제주시 원도심 도지재생 전략 연구 . 제주발전연구원.
양영수. 2011. 세계 속의 제주신화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윤순진. 2006. 「제주도 마을 공동목장의 해체과정과 사회·생태적 함의」. ≪농촌사회≫, 제16집 2호, 45~88.
이상철. 1995. 「제주사회변동론 서설-개발정책과 산업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신행철 외 지음. 제주사회론 . 한울아카데미.
이상철. 1998. 「제주도 개발정책과 도민 태도의 변화」. 신행철 외 지음. 제주사회론2 . 한울아카데미.
이창기. 1995. 「제주도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환경-도전·적응·초월의 메커니즘」. 신행철 외 지음. 제주사회론 . 한울아카데미.
제주도. 1996. 제주100년 . 제주도.
제주시. 2009. 「(문화광장) 사진으로 보는 제주 옛모습」. ≪(열린)제주시≫, 제31호.
조성윤. 1995. 「개발과 환경, 그리고 농촌공동체의 붕괴-제주도의 골프장 건설 반대 운동을 중심으로」. 신행철 외 지음. 제주사회론 . 한울아카데미.
조성윤. 1998. 「개발과 지역주민운동-제주시 탑동 개발반대운동을 중심으로」. 신행철 외 지음. 제주사회론 2 . 한울아카데미.
조성윤. 2013. 「제주도 해양문화 전통의 단절과 계승」.≪탐라문화≫, 42호, 75~99.
조성윤·문형만. 2005. 「지역 주민 운동의 논리와 근대화 이데올로기」. ≪현상과 인식≫, 통권97호, 9~30.
최병두. 2012. 자본의 도시-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도시정책 . 한울아카데미.
최현. 2013. 「제주의 토지와 지하수-공동자원으로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환경사회학연구ECO≫, 제17권 2호, 79~106.
허남춘. 2011. 제주도 본풀이와 주변신화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Adorno, Theodore. W & Max Horkheimer. 1969. Dialectic of Enlightenment. New York:Seabury Press.
Althusser, L. 1977. For Marx. London: NLB.
Althusser, L. & E. Balibar. 1979. Reading Capital. London: Verso.
Castells, M. 1977. The Urban Question. London: Edward Arnold.
Devine, P. 2002. “Participatory Planning through Negotiated Coordination.” Science and Society 66(1), 72~93.
Devine, P. 2010. Democracy and Economic Planning. Cambridge: Polity Press.
Dryzek, J. S. 2005. The Politics of the Earth. 2nd Ed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판 번역 정승진 역. 2005. 지구환경정치학 담론 . 에코리브르)
Foucault, M. 1979.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New York: Vintage Books.
Foucault, M. 1984. “Nietzsche, Genealogy, History.” Paul Rabinow ed. The Foucault Reader. New York: Pantheon Books.
Foucault, M. 1998. The Will to Knowledge: The History of Sexuality Ⅰ. Harmondsworth: Penguin Books.
Gibson-Graham, J. K. A Postcapitalist Politics. Minneapolis & London: Minneapolis University Press.
Harvey, D. 2000. Spaces of Hope, Berkeley &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최병두 역. 2009. 희망의 공간 . 한울아카데미)
Harvey, D. 2012. Rebel Cities: From the Right to the City to the Urban Revolution. London & New York: Verso.
Jacobs, J.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Harmondsworth: Penguin Press. (유강은 역. 2010.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 그린비)
Keat, R. and J. Urry. Social Theory As Scienc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Lefebvre, H. 1991. The Production of Space. Oxford: Blackwell. (양영란 역. 2011. 공간의 생산 . 에코리브르)
Lefebvre, H. 2004. Rhythmanalysis: Space, Time and Everyday Life, London & New York:Continuum. (정기헌 역. 2013. 리듬분석: 공간, 시간, 그리고 도시의 일상생활 . 갈무리)
McNay, L. 1992. Foucault and Feminism: Power, Gender and the Self. Cambridge: Polity Press.
Marcuse, H. 1956. Eros and Civilization-A Philosophical Inquiry into Freud.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김인환 역. 2004. 에로스와 문명-프로이트 이론의 철학적 연구 . 3판. 나남)
Marcuse, H. 1964. One Dimensional Man-Studies in the Ideology of Advanced Industrial Society.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Merrifield, A. 2000. “Henri Lefebvre: A Socialist in Space.” M. Crang & N. Thrift eds. Thinking Space. London & New York: Routledge.
Merrifield, A. 2013. The Politics of the Encounter: Urban Theory and Protest under Planetary Urbanization. Athens, Georgia: The Georgia University Press.
O’Connor, J. 1998. Natural Causes. London & New York: Guilford Press.
Saunders, P. 1986. Social Theory and the Urban Question. 2nd edition. London: Hutchinson.
Soja, E. W. 1985. “The Spatiality of Social Life: Towards a Transformative Retheorization.” D. Gregory & J. Urry eds. Social Relations and Spatial Structures. London: Macmillan.
Soja, E. W. 1989. Postmodern Geographies: The Reassertion of Space in Critical Social Theory. London & New York: Verso. (이무용 역. 1997. 공간과 비판사회이론 . 시각과 언어)
Soja, E. W. 1996. Thirdspace. Oxford: Blackwell.
Soper, K. 2008. “Alternative Hedonism, Cultural Theory and the Role of Aesthetic Revisioning.” Cultural Studies, 22(5), 567~587.
Thompson, E. P. 1991[1963]. The Making of the English Working Class, London: Penguin
Urry, J. 1985. “Social Relations, Space and Time.” Derek Gregory & John Urry eds. Social Relations and Spatial Structures. London: Macmillan
Thompson, E. P. 2004. “The ‘System’ of Automobility.” Theory, Culture, Society, 21(4/5), 2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