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발전국가와 원전산업의 형성한국전력공사 중심의 원전산업구조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Shaping Civil Nuclear Industry in Korea: Focusing on the Bureaucratic Politics in Developmental State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6, v.26 no.1, pp.273-308
https://doi.org/10.19097/kaser.2016.26.1.273
홍덕화 (서울대학교)

초록

본 논문은 연구개발-설비제작-전력공급 부문 간의 경쟁과 타협 속에서 전력공기업집단이 주도하는 원전산업구조가 형성된 과정을 분석한다. 기존 연구들은 정부와 한전 등 개발기구 안에 존재하는 갈등과 균열에 주목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원전산업의 발전과정을 성공적인 기술추격의 역사로 바라보는 논의들의 경우정부가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을 목표로 장기계획을 수립, 일관되게 지원한 것이성공의 원동력이라고 가정한다. 그러나 원자력발전을 추진한 목적은 핵무기 개발을 통한 안보 강화, 발전설비산업의 수출산업으로의 육성, 가격왜곡을 통한 수출보조 등 중층적이었다. 이로 인해 정부 부처 간, 정부 부처와 하위 기구 간, 정부와 대기업 간에 추진방법을 놓고 이해관계가 엇갈렸다. 한국전력공사를 중심으로수직계열화된 원전산업구조는 이와 같은 각축의 과정에서 핵기술의 병행개발이차단되고 대기업의 진출이 실패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계획 실패의 결과물에 가깝다.

keywords
원자력발전, 원전산업, 핵무기 개발, 한국전력, 발전국가, nuclear power, nuclear industry, nuclear weapon, KEPCO, developmental stat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process of shaping nuclear industryin Korea in terms of bureaucratic politics between three sectors; R&D, manufacturingand utilities. Regardless of pros and cons, previous studies tend to presupposethat nuclear industry in Korea has grown up rapidly because developmental statemade a long-term plan and implemented it consistently without contentions. Somestudies, especially focusing on technological catch-up, emphasize that the peacefuluse of nuclear technology led to the success. However, three sectors had a differentstrategy to develop nuclear industry even though they shared the necessity of anuclear power plant. Therefore, a fierce competition to seize the initiative occurredbetween related organizations and a pilot agency presupposed on developmental statetheory was not exist in at least nuclear industry. A vertically integrated nuclearindustry led by KEPCO, the public utilities, was not the outcomes of the successof a state’s systematic plan. The plan was not so strong and continually transformedby bureaucratic politics which was influenced by over-investment in heavy industryand the U.S. non-proliferation policy and so on.

keywords
원자력발전, 원전산업, 핵무기 개발, 한국전력, 발전국가, nuclear power, nuclear industry, nuclear weapon, KEPCO, developmental state

참고문헌

1.

경제기획원. 1980a. 「발전설비 제작을 위한 창원공장 정상화 대책」.

2.

경제기획원. 1980b. 「현대양행 운영정상화 방안」.

3.

경제기획원. 1983a. 「한국중공업 경영개선방안(안)」.

4.

경제기획원. 1983b. 「한국중공업 경영개선방안 보고」.

5.

고대승. 1992. 「한국의 원자력기구 설립과정과 그 배경」. ≪한국과학사학회지≫ 제14권 제1호, 62~87쪽.

6.

과학기술부. 2007. 『70~90년대 주요 과학기술정책이 과학기술발전과 산업발전에 기여한 성과조사 분석』.

7.

국가기록원. 2008. 『해외수집기록물 번역집 2: 1970년대 한미관계(하)』. 국가기록원.

8.

기미야 다다시. 2008. 『박정희 정부의 선택: 1960년대 수출지향형 공업화와 냉전체제』. 후마니타스.

9.

김성준. 2012. 「한국 원자력 기술체제 형성과 변화: 1953~1980」.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김성환·이승준. 2014. 『한국 원전 잔혹사』. 철수와영희.

11.

김수진. 2011. 「원자력 정책에 대한 몇 가지 가설」. 김수진 외. 『기후변화의 유혹, 원자력: 원자력 르네상스의 실체와 에너지 정책의 미래』. 도요새.

12.

김정렴. 2006. 『최빈국에서 선진국 문턱까지: 한국 경제정책 30년사』. 랜덤하우스.

13.

김형아. 신명주 옮김. 2005. 『유신과 중화학공업, 박정희의 양날의 선택』. 일조각.

14.

녹색당·뉴스타파·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정보공개센터. 2015. 『핵마피아 보고서』.

15.

니시노 준야. 2011. 「일본 모델에서 한국적 혁신으로: 1970년대 중화학공업화를 둘러싼 정책과정」. ≪세계정치≫ 제14권, 167~207쪽.

16.

동력자원부. 1988. 『동력자원행정 10년사』. 동력자원부.

17.

미 상. 1980. 「통합 경위 및 정상화 방안」.

18.

미 상. 1982. 「한국중공업 경영합리화 대책안 검토」.

19.

류상영. 2011. 「박정희의 중화학공업과 방위산업정책: 구조-행위자 모델에서 본 제약된 선택」. ≪세계정치≫ 제14권, 135~167쪽.

20.

문만용. 2007. 「박정희 시대의 과학기술정책」. 정성화·강규형 엮음. 『박정희 시대와한국 현대사: 연구자와 체험자의 대화』. 선인.

21.

문순홍. 2013. 『개발국가의 녹색성찰』. 아르케.

22.

민병원. 2004. 「1970년대 후반 한국의 안보위기와 핵개발: 이중적 핵정책에 관한 반(反)사실적 분석」. ≪한국정치외교사논집≫ 제26권 제1호, 127~165.

23.

박영구. 2012. 『한국의 중화학공업화: 과정과 내용』. 해남.

24.

박익수. 1999. 『한국원자력창업비사』. 과학문화사.

25.

박진희. 2012. 「원자로의 정치경제학과 안전」. ≪공학교육연구≫ 제15권 제1호, 45~52쪽.

26.

박현수. 2015. 「국산 에너지 자원 사용후핵연료: 탠덤(Tandem)에서 파이로(Pyro)에 이르기까지」. ≪경제풍월≫ 2015년 5월호.

27.

상공부. 1979a. 「중화학투자조정조치에 따른 현대그룹 통합현황 보고」.

28.

상공부. 1979b. 「발전설비분야 통합추진 상황 및 조공용선선박 매각 문제」.

29.

상공부. 1981. 「한국중공업 운영 현황 보고」.

30.

서익진. 2003. 「한국 산업화의 발전양식」. 이병천 엮음.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우리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창비.

31.

석광훈. 2005. 「한전과 토건국가」. 홍성태 엮음. 『개발공사와 토건국가』. 한울.

32.

석광훈. 2006. 「원자력기술체제와 민주주의」.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제10권, 35~78쪽.

33.

신장섭. 2014. 『김우중과의 대화: 아직도 세계는 넓고 할 일은 많다』. 북스코프.

34.

오원철. 1994. 「박정희·카터 혈투와 핵개발 강행」. ≪신동아≫ 12월호.

35.

오원철. 1996. 『한국형 경제건설 3』. 기아경제연구소.

36.

외무부. 1976. 「캐나다 차관 도입 관련 서류」.

37.

원자력위원회. 1976. 「제4차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원자력산업의 국산화」.

38.

윤순진·오은정. 2006. 「한국 원자력 발전정책의 사회적 구성: 원자력기술의 도입 초기(1954-1965년)을 중심으로」. ≪환경정책≫ 제14권 제1호, 37~74쪽.

39.

이명박. 1995. 『신화는 없다』. 김영사.

40.

이병천. 2003. 「개발독재의 정치경제학과 한국의 경험: 극단의 시대를 넘어서」. 이병천 엮음.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우리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창비.

41.

이상철. 2003. 「박정희 시대의 산업정책」. 이병천 엮음.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우리시대의 정치경제적 기원』. 창비.

42.

이장규. 1991. 『경제는 당신이 대통령이야: 전두환 시대의 경제비사』. 중앙일보·중앙경제신문.

43.

이종훈. 2012. 『한국은 어떻게 원자력강국이 되었나: 엔지니어 CEO의 경영수기』. 나남.

44.

이필렬. 2002. 『석유시대 언제까지 갈 것인가』. 녹색평론사.

45.

재무부. 1980. 「현대양행 정리방안 검토」.

46.

정주영. 1998. 『이 땅에 태어나서: 나의 살아온 이야기』. 솔.

47.

조철호. 2000. 「1970년대 초반 박정희의 독자적 핵무기 개발과 한미관계」. ≪평화연구≫ 제9권, 189~207쪽.

48.

조철호. 2002. 「이중적 핵력개발정책과 한미갈등」. ≪아세아연구≫ 제45권 제4호, 277~309쪽.

49.

주성돈. 2011. 「원자력발전정책의 변동과정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22권 3호, 153~182쪽.

50.

진상현. 2009. 「한국 원자력 정책의 경로의존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제18권 제4호, 123~144쪽.

51.

차종희. 1994. 『영광과 탁마의 세월: 원자력과 함께 30년』. 신우사.

52.

코리아아토믹번즈앤드로. 1975. 「사업계획서」.

53.

하승수. 2015. 『착한 전기는 가능하다』. 한티재.

54.

하영선. 1991. 『한반도의 핵무기와 세계질서』. 나남.

55.

한국산업은행. 1982. 「한국중공업(주)에 대한 경영현황 검토 보고」.

56.

한국원자력연구소. 1979. 『한국원자력 20년사』. 한국원자력연구소.

57.

한국원자력연구소. 1990. 『한국원자력연구소 30년사』. 한국원자력연구소.

58.

한국원자력연료. 2002. 『한국원자력연료 20년사』. 한국원자력연료주식회사.

59.

한국전력공사. 2001. 『한국전력 40년사』. 한국전력공사.

60.

한국전력기술. 1995. 『세계 속의 미래를 설계하며: 한국전력기술(주) 20년사』. 한국전력기술.

61.

한국전력주식회사. 1971a. 「제4차 5개년 전원개발계획(안) 검토서」.

62.

한국전력주식회사. 1971b. 「제4차 5개년 전원개발계획 수립」.

63.

한국전력주식회사. 1975. 「전원개발계획조정(안)」.

64.

한국전력주식회사. 1976. 「제4차 5개년 전원개발계획(수정안)」.

65.

한국전력주식회사. 1981. 『한국전력 20년사』. 한국전력주식회사.

66.

한국중공업. 1995. 『한중발전사』. 한국중공업.

67.

한필순. 2014a. 「지도자의 자주국방 의지」. ≪경제풍월≫ 2014년 9월호.

68.

한필순. 2014b. 「미, 핵의혹 대상 지목으로 폐쇄 압력」. ≪경제풍월≫ 2014년 12월호.

69.

현대건설. 1980. 「각서」.

70.

현대양행. 1980. 「현대양행 정상화 방안에 대한 건의」.

71.

현대양행·대우. 1980. 「현대양행 경영정상화를 위한 건의」.

72.

홍성걸. 2005. 「박정희의 핵개발과 한미관계」. 정성화 엮음. 『박정희시대 연구의 쟁점과 과제』. 선인.

73.

홍성태 엮음. 2005. 『개발공사와 토건국가: 개발공사의 생태민주적 개혁과 생태사회의 전망』. 한울.

74.

Amsden, A. 1989. Asia’s Next Giant: South Korea and late Industrializ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이근달 옮김. 1990. 『아시아의 다음 거인: 한국의 후발공업화』. 시사영어사).

75.

Campbell, J. L. 1988. Collapse of an Industry: Nuclear Power and the Contradictions of U.S. Policy. Cornell University Press.

76.

Choi, S., Jun, E., Hwang, I., Starz, A., Mazour, T., Chang, S., and Burkart, A. R. 2009. “Fourteen lessons learned from the successful nuclear power program of the Republic of Korea”. Energy Policy, 37(12), pp. 5494~5508.

77.

CIA. 1978. “South Korea: Nuclear Developments and Strategic Decision making.”

78.

Evans, P. 1995. Embedded Autonomy: States and Industrial Transformati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79.

Haggard, S. 1990. Pathways from the Periphery: The Politics of Growth in the Newly Industrializing Countries. Cornell University Press. (박건영·강문구·양길현 옮김. 1994. 『주변부로부터의 오솔길: 신흥 공업국의 정치경제학』. 문학과지성사).

80.

Hecht, G. 2009. The Radiace of France: Nuclear Power and National Identity after World War 2. The MIT Press.

81.

Jasper, J. 1992. “Gods, Titams and mortals: Patterns of State Involvement in Nuclear Development.” Energy Policy, 20(7), pp. 653~659.

82.

Johnson, C. 1982. MITI and the Japanese Miracle. Stanford University Press.

83.

Kim, J.-D. and Byrne, J. 1990. “Centralization, Technicization and Development On the Semi-Periphery: A Study of South Korea’s Commitment to Nuclear Power.” Bulletin of Science, Technology & Society, 10(4), pp. 212~222.

84.

Kim, S. 2001. “Security, nationalism and the pursuit of nuclear weapons and missiles: The South Korean case, 1970~82.” Diplomacy & Statecraft, 12(4), pp. 53~80.

85.

Park, C.-T. 1992. “The experience of nuclear power develop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Growth and future challenge.” Energy Policy, 20(8), pp. 721~734.

86.

Price, T. 1990. Political Electricity: What Future for Nuclear Energy?. Oxford University Press.

87.

Rüdig, W. 1987. “Outcomes of Nuclear Technology Policy: Do Varying Political Styles Make a Difference?” Journal of Public Policy, 7(4), pp. 389~430.

88.

Sung, C. S., and Hong, S. K. 1999. “Development process of nuclear power industry in a developing country: Korean experience and implications.” Technovation, 19(5), 305~316.

89.

Thomas, S. D. 1988. The Realities of Nuclear Power: International Economic and Regulatory Experien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0.

Valentine, S. V., and Sovacool, B. K. 2010. “The Socio-political Economy of Nuclear Power Development in Japan and South Korea.” Energy Policy, 38, pp. 7971~7979.

91.

Wade, R. 1990. Governing the Market. Princeton University Press.

92.

Weisss, L. 1998. The Myth of the Powerless State: Governing the Economy in a Global Era. Polity Press. (박형준·김남줄 옮김. 2002. 『국가 몰락의 신화: 세계화시대의 경제운용』. 일신사).

93.

Woo-Cummings, M. (Ed.). 1999. The Developmental State. Cornell University Press.

94.

≪동아일보≫. 1974.5.23. “원자력공사 설립방침.”

95.

≪동아일보≫. 1976.6.8. “연내 원자력발전공사 설립.”

96.

≪동아일보≫. 1976.9.27. “원자력발전공사 내년에 설립키로.”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