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파리협정과 도시에너지 전환 : 서울시 에너지·기후변화대응정책에 주는 함의

Paris Agreement and Urban Energy Transition: A Lesson for Seoul’s Energy and Climate Policy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6, v.26 no.1, pp.48-78
https://doi.org/10.19097/kaser.2016.26.1.48
이태화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초록

이 논문은 2015년 파리협정이 도시의 에너지기후정책에 미치는 영향 및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 서울시의 사례를 적용해서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은 도시에너지 전환을 설명하는 이론적 분석틀로 기존의 ‘다층적 관점’과 국제적 규범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국제정책 조율이론’을 함께 이용했는데,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했다. 첫째, 서울시 에너지 및 기후변화대응관련 법제와 정책에 파리협정이 기술하고 있는 기본원칙들이 반영될 필요가 있다. 둘째, 기후변화적응과 기후회복력이 에너지정책과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서울시의 에너지 및 기후정책이 전체적인 맥락에서조율되어야한다. 셋째, 파리협정은 기후변화에 대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시들의 에너지 전환과 관련된 여러 가지 노력을 정당화하고 있고, 국가가이들을 지원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파리협정의 체결되면서 중앙 정부도 도시 정부의 에너지 전환과 관련한 다양한 시도에 정책적인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파리협정이 도시에너지 전환과 관련한 가능한 틈새전략들을 정당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틈새전략들이 더욱 강화되어실천된다면 새로운 도시에너지 레짐 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keywords
Paris Agreement, Urban Energy Transition, Seoul, Urban Energy and Climate Policy, Multilevel Perspective, International Policy Harmonization, 파리협정, 도시에너지 전환, 서울시, 도시 에너지·기후 정책, 다층적 관점, 국제정책 조율

Abstract

This paper aims to draw several lessons on how the Paris agreement can influenceon urban energy and climate policies. It selects Seoul’s energy and climate policiesas the case study. The theoretical framework in this paper is composed of multilevelperspective and international policy harmonization theory. The paper draws the followinglessons from the analysis. First, principles and aims of the Paris agreementshould be reflected in Seoul’s energy and climate policies. Second, Seoul’s energypolicy and climate policy should be harmonized as a combined policy after mutuallyconnecting energy policy and climate adaptation and resilience policies. Third, sincethe Paris Agreement justifies national government’s support to the efforts of urbangovernments, Korean national government should support Seoul’s diverse efforts forurban energy transition. Forth, niche strategies strengthened due to the emergenceof the Paris Agreement will paly positive roles to create new urban energy regime.

keywords
Paris Agreement, Urban Energy Transition, Seoul, Urban Energy and Climate Policy, Multilevel Perspective, International Policy Harmonization, 파리협정, 도시에너지 전환, 서울시, 도시 에너지·기후 정책, 다층적 관점, 국제정책 조율

참고문헌

1.

고재경·주정현. 2014. 「유럽 에너지자립마을 중간지원조직의 역할과 특징연구」. ≪환경정책≫ 22(2), 101~135쪽.

2.

백종학·윤순진. 2015. 「서울시 ‘원전 하나 줄이기’를 위한 전략적 틈새로서 미니태양광사업과 에너지 시민성의 변화: 서울시 노원구 주민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서울도시연구≫ 16(3), 91~111쪽.

3.

서울특별시. 2009. 『세계녹색경쟁력 선도 도시 구현을 위한 ‘2030 서울형 저탄소 녹색성장’』. 서울특별시.

4.

서울특별시. 2012. 『에너지 수요절감과 신재생에너지 생산확대를 통한 ‘원전하나줄이기’종합대책』. 서울특별시.

5.

서울특별시. 2013. 『2013 환경백서: 서울의 환경』. 서울특별시.

6.

서울특별시. 2014a. 『서울에너지정책의 희망메세지-성과보고서: 원전하나줄이기』. 서울특별시.

7.

서울특별시. 2014b. 『원전하나줄이기 2: 에너지살림도시 서울』. 서울특별시.

8.

서울특별시의회. 2014. 『서울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후회복력 연구』. 서울특별시의회.

9.

윤순진·심혜영. 2015.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전략적 틈새로서 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의 가능성과 제도적 한계: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5(1), 140~178쪽.

10.

이강준. 2015. 「박원순 서울시장의 에너지정치와 시민참여 거버넌스」. ≪경제와 사회≫ 통권 107, 140~172쪽.

11.

이상윤. 2015. 「2015 파리 합의문: 감축관련 조항검토」. 2015년 12월 29일 연세대학교 SSK 기후변화와 국제법센터 파리협정 협상실무자 초청세미나 “신기후체제 파리협정의 채택과정과 주요내용” 발제자료.

12.

이상훈. 2005. 「기후변화협약과 도시에너지 문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의 역할과 과제」. ≪도시문제≫ 40, 29~38쪽.

13.

이정필·한재각. 2014. 「영국 에너지 전환에서의 공동체에너지와 에너지시티즌십의함의」. ≪ECO≫ 18(1), 73~112쪽.

14.

이종열·이재호. 2000. 「한국 환경정책의 전개과정과 특성 분석」. ≪지방정부연구≫4(1), 235~255쪽.

15.

임성은·서순탁. 2012. 「서울시 기후변화대응의 통합조정제도 분석」. ≪서울도시연구≫ 13, 195~212쪽.

16.

임성진. 2011. 「태양의 도시 프라이부르크의 에너지 전환」. ≪사회과학논총≫ 27(1), 179~198쪽.

17.

최병두. 2013. 「대구의 도시 에너지 전환과 에너지 자립」. ≪한국경제지리학회지≫16(4), 647~669쪽.

18.

Albrecht, J., Arts, B. 2005. “Climate Policy Convergence in Europe: An Assessment Based on National Communications to the UNFCCC.” Journal of European Public Policy 12(5), pp. 885∼902.

19.

Blanchet, T. 2015. “Struggle Over Energy Transition in Berlin: How Do Grassroots Iinitiatives Affect Local Energy Policy-Making?” Energy Policy 78, pp. 246~254.

20.

Busch, P., Jörgens, H. 2005. “The International Sources of Policy Convergence: Explaining the Spread of Environmental Policy Innovations.” Journal of European Public Policy 12(5), pp. 860∼884.

21.

Chmutina, K., Bouke, W., Chris I. Goodier, C. I., Devine-Wright, P. 2014. “Concern or Compliance? Drivers of Urban Decentralised Energy Initiatives.”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10, pp. 122~129.

22.

Dodson, J. 2014. “Suburbia under an Energy Transition: A Socio-technical Perspective.”Urban Studies 51(7), pp. 1487∼1505.

23.

Droege, P. 2008. Urban Energy Transition: From Fossil Fuels to Renewable Power. Elsevier, Amsterdam.

24.

Emelianoff, C. 2014. “Local Energy Transition and Multilevel Climate Governance: The Contrasted Experiences of Two Pioneer Cities (Hanover, Germany, and Växjo, Sweden).” Urban Studies 51, pp. 1378∼1393.

25.

Geels, F. W. 2002. “Technological Transitions as Evolutionary Reconfiguration Processes:a Multi-Level Perspective and a Case-Study.” Research Policy 31, pp. 1257∼1274.

26.

Hargreaves, T., Hielscher, S., Seyfang, G., Smith, A. 2013. “Grassroots Innovations in Community Energy: The Role of Intermediaries in Niche Development.”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3, pp. 868~880.

27.

Heyvaert, V. 2009. “Globalizing Regulation: Reaching Beyond the Borders of Chemical Safety.” Journal of Law & Society 36(1), pp. 110∼128.

28.

Hodson, M., Marvin, S. 2009. “Cities Mediating Technological Transitions: Understanding Visions, Intermediation and Consequences.” Technology Analysis & Strategic Management 21, pp. 515~534.

29.

Howlett, M. 2000. “‘Beyond Legalism? Policy Ideas, Implementation Styles and Emulation Based Convergence in Canadian and U.S. environmental Policy’.” Journal of Public Policy 20(3), pp. 305∼329.

30.

ICLEI. 2016. ICLEI Welcomes the Landmark Paris Agreement of 12 December 2015. http://www.iclei.org/details/article/press-release-cop21-iclei-welcomes-the-landmark-paris-agreement-of-12-december-2015.html. 2016년 2월 1일 검색.

31.

Jaglin, S. 2014. “Urban Energy Policies and the Governance of Multilevel Issues in Cape Town.” Urban Studies 51, pp. 1394~1414.

32.

Keirstead, J., Schulz, N. B. 2010. “London and beyond: Taking a Closer Look at Urban Energy Policy.” Energy Policy 38, pp. 4870~4879.

33.

Lee, T., Lee, T., Lee, Y. 2014. “An Experiment for Urban Energy Autonomy in Seoul:The One ‘Less’ Nuclear Power Plant policy.” Energy Policy 74, pp. 311~318.

34.

Lenschow A., Liefferink D., Veenman S. 2005. “When the birds sing: A Framework for Analysing Domestic Factors Behind Policy Convergence.” Journal of European Public Policy 12(5), pp. 797~816.

35.

Monstadt, J., Wolff, A. 2015. “Energy Transition or Incremental Change? Green Policy Agendas and the Adaptability of the Urban Energy Regime in Los Angeles.” Energy Policy 78, pp. 213~224.

36.

Puig, J. 2008. “Barcelona and the Power of Solar Ordinances: Political Will, Capacity Building and People’s Participation.” In Droege, P. (Ed.). Urban Energy Transition:From Fossil Fuels to Renewable Power. Elsevier, Amsterdam, pp. 433~450.

37.

Rohracher, H., Späth, P. 2014. “The Interplay of Urban Energy Policy and Socio-technical Transitions: The Eco-cities of Graz and Freiburg in Retrospect.” Urban Studies 51, pp. 1415~1431.

38.

Rutherford, J. 2014. “The Vicissitudes of Energy and Climate Policy in Stockholm: Politics, Materiality and Transition.” Urban Studies 51, pp. 1449~1470.

39.

Todoc, J. L. 2008. “Integrating Energy in Urban Planning in the Philippines and Vietnam.” In Droege, P. (Ed.,), Urban Energy Transition: From Fossil Fuels to Renewable Power. Elsevier, Amsterdam, pp. 507~532.

40.

UNFCCC. 2015. Adoption of the Paris Agreement FCCC/CP/2015/L.9/Rev.1.

공간과 사회